반응형 미생물실험 | 균 배양 미생물은 현미경과 같은 기구를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작은 생물이지만 인간과 동물, 그리고 환경에 꼭 필요한 존재이다. 항암제․농약․에너지 생산 등 활용이 안 되는 분야가 없으며, 단 하루 만에도 수백만 마리의 자손을 번식시키는 이 미물중의 미물이 세계를 주름잡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놀라움을 직접 관찰해보기 위해서 지금도 우리 주위에서 끊임없이 번식하고 있는 미생물을 직접 배양해 볼 것이다. 그리고 배양을 하기 위해서 배지를 만드는 것도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도말 자연상태에서는 여러 종류의 생물종이 섞여 자라는데, 이러한 경우 한 종의 미생물을 연구하기 힘들다. 따라서 종의 특성을 연구할 때는 단일세포에서 자라난 세포 집단인 순수배양체(pure culture)가 필요한데, 이를 얻는 방법이 도말이다... Biology/미생물학 2021. 2. 2. 미생물실험 | 순수 분리 및 배양 미생물에 대한 연구 시, 미생물의 생태적,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등 다양한 생물학적 특징을 밝혀야 하며 이를 위해 목표하는 미생물을 순수 분리하고 배양할 필요가 있다. 다른 종류의 생명체가 섞여 있지 않은 단일 종의 미생물의 배양을 순수 배양이라 하며, 적절한 환경에서 다른 미생물의 노출 및 오염 없이 배양해야 한다. 미생물의 배양은 미생물의 먹이가 되는 배지(media)를 이용하며, 배지의 상태에 따라 액체 배지와 고체 배지로 나눈다. 본 실험에서는 Luria Bertani media (이하 LB 배지)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LB배지는 균 배양액의 생장에 필요한 질소, 탄소, 비타민, 및 무기염류 등을 제공한다. 실험에서는 배지에 균 배양액을 streak plate method(획선 평판법)와 s.. Biology/미생물학 2020. 9. 23. 미생물학실험 | 미생물학 실험 연습 Streak plate method Practice 1. 실험 방법 1) 루프를 수직으로 세워서 화염멸균하고, 멸균한 루프를 식혀준다. 2) 배양된 세균을 조금 찍어 배지에 모양대로 선을 그으면서 1~4회 도말한다. 3) 배지 뚜껑을 조금 열고 루프를 이용하여 세균을 퍼지게 만든다. 4) 1차 도말을 끝낸 후에, 다음 도말시 루프를 멸균한다. 5) 마지막으로, 37도 인큐베이터에 넣어주고 다음날 확인한다. Spread plate Practice 1. 실험 방법 1) pipet에 팁을 꼽아서 튜브 안에 대장균 10㎕를 뽑아낸다. 2) 대장 균을 뚜껑을 완전히 열지 않고 배지 중심에 떨어뜨려 준다. 3) 알코올에 멸균된 삼각 밀대를 불로 다시 멸균시켜준다. 4) 멸균된 삼각밀대를 이용하여, 균이 퍼지도록 밀.. Biology/미생물학 2020. 3. 17. 미생물 실험 | 평판배양법에 의한 생균수 측정 TIP 평판배양법에 의하여 세균의 생균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고체배지(agar medium) : MR-VP 고체배지를 제조한 후 고압증기 멸균(120℃, 15분)하고 크린벤취에서 고체평판배지를 만든다. 2) 희석(dilution) : 세균 배양액을 멸균한 생리식염수 혹은 증류수로 희석한다. 3) 도말(smearing) : 마이크로피펫으로 희석한 배양액 1㎖를 완전히 굳은 고체 평판배지에 넣고 좌우로 기울이거나 돌려 골고루 분산되도록 한다. 4) 건조(drying) : 평판배지상의 배양액을 자연건조로 건조시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5) 밀봉(sealing) : Sealing film(para film)으로 밀봉하고 실험자, 날짜, 배지명, 희석배수 들을 표시한다.. Biology/미생물학 2019. 12. 1. 일반생물학실험 | 미생물 배양과 관찰 TIP 1. 미생물 배양은 미생물연구의 첫 단계로 매우 중요하다. 미생물은 반드시 각 미생물에게 적절한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배양 될 수 있어야 한다. 2. 직접 배지를 만들고 미생물을 배양하고 관찰해 봄으로써 미생물 배양의 기본원리를 안다. 미생물 (Microorganism) 미생물은 주로 단세포 또는 균사로 되어 있고 생물로서의 최소단위이며, 크기가 너무 작아 현미경을 사용해 관찰해야하는 생물이나 병원체이다.즉, 단어의 뜻이 암시하듯이 보통의 경우 사람의 눈으로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 작은 생명체로 크기는 지름이 1㎜ 이하의 작은 존재로 나노메타나 마이크로메타 단위로 표기한다. 대부분의 고등생물은 서식지가 매우 제한적이지만 미생물은 지구상의 모든 곳에서 서식한다. 조류, 세균류, 원생동물류, 사상균류,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1.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