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DNA 추출 TIP 플라스미드라는 유전체이외의 자가복제 DNA의 분리를 통하여 DNA의 추출 및 정제방법의 원리를 배우고, DNA의 이화학적 특성을 이해한다. DNA의 발견1869년 스위스의 화학자인 미셔는 고름에서 채취한 백혈구 핵의 단백질 을 펩신으로 분해한 결과 인을 함유한 물질이 남는 것을 발견하고, 이 물질이 유전 물질일지도 모른다고 추측했다. 그 후 1914년에 독일 화학자인 포일겐은 DNA의 양에 따라 세포핵의 염색 정도가 달라지는 ‘포일겐의 염색법’을 발명하여 DNA의 양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한 생물체 내의 세 포핵은 모두 같은 양의 DNA를 가지고 있으며, 난자와 정자는 그 절반만 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DNA의 존재가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1940년대까지 많은 과학자들은 조성이 단..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4. 6. 10. 일반화학실험 | 아세트산, 살리실산의 분리와 적정 TIP 1. 본 실험에서는 색깔을 띠지 않는 유기산(organic acid)인 아세트산과 살리실산을 같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카트리지로 분리하고 산-염기 적정으로 정량한다. 이 과정을 통해 극성, 무극성, 소수성 상호작용 등 중요한 개념을 체험적으로 학습한다. 2. 본 실험에서는 표준 용액인 KHP를 이용해 NaOH의 농도를 측정해보고, 적정을 통해 혼합 용액 속 산의 몰수를 구해보며, 크로마토그래피로 산을 분리 해 본 후 혼합 용액 속에 들어있던 두 종류 산의 몰수 비를 구하고자 한다. 분리와 분석은 화학에서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왜 분석물리학이라는 분야는 따로 없는데 분석화학이라는 분야는 화학의 한 분야로 독립되어 있는 것일까? 그 이유는 물리학과는 달리 화학의 궁극적인 관심사는 원자의 재배열.. Chemistry/일반화학 2021. 1. 6. 일반화학실험 | 색소의 분리와 흡광분석 TIP 1. 화학부문의 연구에 있어서 ‘분리’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화학의 궁극적인 관심사는 물리나 생물과는 달리 원자의 재배열을 통한 화학적 현상 탐구에 있기 때문이다. 이 화학적 현상에는 화합물의 합성, 분해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합성과 분해와 같은 화학적 현상의 탐구를 위해서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양적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런 측정은 혼합물상태보다는 ‘분리’의 과정을 거친 순수한 상태에서 하는 것이 더 쉽고 정확하다. 2. 이런 분리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가 바로 크로마토그래피이다. 크로마토그래피는 분리하려는 물질들의 고정상과 이동상과의 친화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한다. 또한 흡광도 분석을 통해서도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데,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경우는 황색.. Chemistry/일반화학 2020. 12. 27. 유기화학실험 | Separation by Extraction - 추출에 의한 분리 TIP 묽은 용액에서 어떤 물질은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용매에 분배되며 온도가 일정하면 한 용매에서의 농도와 다른 용매에서의 농도의 비는 항상 일정하다. 이 일정비를 그 물질의 두 용매간의 분배계수라 한다. 이 상수는 또한 두 용매에서의 그 물질의 용해도의 비로 정의 된다. 이 실험에서는 한 가지 물질, 즉 아세트산이 물과 에테르에 분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추출의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추출 공정 추출의 원료를 추료라고 하며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이다. 추료(feed)는 추제(extraction solvent)에 가용성이 있는 성분인 추질(solute)과 가용성이 없는 기타 성분(inert material)으로 구성된 혼합물이다. 추제(extracting solvent)를 사용하여 이 혼합물로부터 추질을.. Chemistry/유기화학 2020. 3. 8. GMP 의약품 제조 품질관리 | 시설 및 환경의 관리 TIP 1. 시설관리 2. 자동화장치의 관리 3. 환경관리 의약품의 제조 공정 만큼 중요한 것이 시설 및 환경의 관리 입니다. 의약품의 제조 시설이 청결하지 않고 환경 관리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는다면 아무리 의약품을 깨끗하게 잘 만들고 싶어도 청결하게 만들 수 없습니다. 만약 주방이 지저분하다면 그곳에서 만드는 음식이 깨끗하다고 할 수 있을까요? 이렇듯 시설 및 환경을 제대로 관리 하는 것은 의약품을 청결하게 만드는 것의 기본 중의 기본이며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의약품도 마찬가지겠죠? 의약품 제조 시설이 청결하지 못하면 깨끗하지 못한 의약품이 만들어집니다. 의약품은 사람의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특별히 더 시설 및 환경의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 1. 시설관리 의약품 제조소는 .. 보건의료/GMP 규정 및 품질관리 개론 2019. 11. 21. GMP 산업화 공정 | 의약품의 품질과 제조소 시설기준의 이해 TIP 1. 의약품 제조소의 시설기준의 기본 원칙 2. 의약품 제조소 시설기준 : 작업소 3. 의약품 제조소 시설기준 : 시험실, 보관소 의약품은 인류의 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제품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의약품의 제조에서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류의 많은 규제가 이루어져 왔습니다. 의약품은 유효성(有效性, efficacy), 안전성(安全性, safety)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확인, 순도 및 함량시험은 물론 안정성(安定性, stability) 등 품질의 확보가 매우 중요합니다. GMP는 품질이 보증된 우수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여러 요건을 구체화한 것으로 원자재의 입고에서부터 완제품의 출하에 이르기까지 의약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 분야의 전반에 걸쳐 준수하여야 할 규범입니다. 특히, 자.. 보건의료/GMP 실무 및 제약공정의 이해 2019. 10.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