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흡광도를 이용한 BSA의 단백질 정량 및 미지 농도의 BSA 용액 농도 추정 TIP 본 보고서에서는 Beer-Lambert Law를 이용해 서로 다른 농도의 Bovine Serum Albumin(BSA) 용액을 만들어 흡광도계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선형 회귀곡선을 그려 미지 농도의 BSA용액의 농도 추정을 목표로 한다. 생명체에 있어서 모든 종류의 고분자 물질은 생명체에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하지만 단백질처럼 광범위한 범위의 기능을 담당하는 물질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생물학에서 단백질은 떼려야 뗄 수 없는 분야이다. 생물학의 중추를 이루는 효소, 면역체계, 항상성, 수용체 등등은 모두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백질을 정량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많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Beer–Lambert Law를 이용한 방법이다. Beer-Lambert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6. 18. 생화학실험 | UV-VIS KMnO4 극대 흡수 파장 측정 TIP UV-Vis의 기기 사용방법을 습득하고 특급 시약으로 조제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KMnO4의 극대 흡수 파장을 구한다. Beer-Lambert Law 빛의 투광도는 시료의 농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지만 그 로그함수는 다음과 같이 시료의 농도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 log T = K×C C : 시료 중의 흡광물질의 농도, K: 상수 위의 식에서 -log T를 흡광도(absorbance,A)라고 함으로 흡광도는 시료의 농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를 지니게 된다. A = K×C 위의 A = KC의 관계를 Beer's law라고 한다. 하지만 시료의 흡광도는 위에서 설명한 시료중의 흡광 물질의 농도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는다. 즉, cuvette의 직경 또는 폭에 따라서 흡광도는 달.. Biology/생화학 2020. 5. 2. 화학생물공정실험 | Production of Glucono-D-Lactone from Glucose Using Glucose Oxidase - 산화효소를 이용한 Glucono-D-Lactone 생성 Glucose가 Glucose oxidase에 의해서 분해되는 과정을 통해 효소의 활동을 이해하는 실험이었다. 이때, redox indicator와 glucose가 oxidation될 때 1:1의 비율로 발생하는 hydrogen peroxide의 농도를 UV/VIS spectrophotometer를 통해 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효소 반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효소 반응의 mechanism과 효소를 다루는 실험에서 주의해야 할 점들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을 간략하게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발생한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peroxidase를 이용한 또다른 효소반응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o-dianisidine은 Electron donor 역할을.. Engineering/화학생물공정 2020. 1. 22. 기기분석실험 | 자외선-가시선 흡수분광법을 이용한 분석 - Beer법칙, 2성분 혼합물의 동시분석 TIP 흡광도를 파장에 대하여 도시한 것을 흡수 스펙트럼이라 한다. 파장에 따른 Cr(ⅲ) 용액의 흡광도를 이용해서 미지시료의 농도를 결정하고, Cr(ⅲ) 용액과 Co(ⅱ)용액의 혼합물을 흡광도를 이용해서 분석해본다. 원자 흡수와 농도와의 관계(Beer-Lambert law) 어떤 빛이 지나가는 통로에 시료가 존재하여 시료에 의해서 빛이 흡수되면 빛살(beam of light)의 복사세기(radiant power)는 감소한다. 복사세기, P는 빛살의 단위면적당, 초당 에너지를 의미한다. 복사세기가 I0인 이들 파장의 빛은 길이가 b인 시료를 두드린다. 두드리는 반대편 쪽으로 시료를 통과되어 나온 빛살의 복사세기는 I0이다. 빛의 일부는 시료에 의해 흡수될 것이므로, It & I0이다. 투광도(transm.. Chemistry/기기분석 2020. 1.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