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과학/인터넷 정보 관리

인터넷정보화 | 웹의 구성과 작동 원리

곰뚱 2019. 8. 22.

 

 

 

웹의 구성

월드 와이드 웹을 구성하는 부분으로는 우선 하이퍼텍스트가 있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 언 어를 정의하고 이에 따라서 하이퍼텍스트를 표현하는 것이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이다. 또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존재해야 하고 이들 사이의  프로토콜인 HTTP가 있다.

(1) 클라이언트(Client)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인데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 되어서 HTTP를 통신 규약으로 사용하여 웹 서버와 접속한다.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접근하 고자 하는 URL을 해석하고 그것에 따라 자원(문서)을 제공하는 호스트(웹 서버)에 접속해서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널리 이용되고 있는 웹 브라우저로는 넷스케이   프의 네비게이터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이 있다.

 

(2) 서버(Server)

서버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웹 브라우저)이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속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요청을 받아서 요청에 해당하는 자원(문서)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전송하는 것은 HTML 형태의 문서나 이미지이다. 웹 서버는 HTTP를 디폴트로 TCP의 80번 포트에 httpd라는 프로그램으로 수행한다. 주로 HTML 문서가 파일 시스템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HTML 문서의 데이터베이스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HTML 형식이 아닌 정보를 위해 CGI(Common Gateway Interfac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HTML 형태가 아닌 정보를 HTML 형식으로 바꾸어서 전송하는 경우도 있다. CGI를 이용하면 웹에서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나 뉴스, 메일 등의 정보 서비스를 받아 볼 수 있게 웹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3) Helper(Plug-in)

월드 와이드 웹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취급하기 때문에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모든 정 보를 전송할 수 있다. 웹 서버에서 전송되어 오는 정보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웹 브라우저  에서 해석되고 표시되어야 하는데, 웹 브라우저가 모든 정보의 형태를 이해하고 표시할 수는 없으며, 특정한 형태의 정보는 별도의 표시방법을 통해서 정보를 해석하고  표시해야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Helper Program 또는 Plug-in이라고 하는데,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웹 브라우저가 Helper/Plug-in에 해당하는 정보를 받으면 호출되어 브라우저 대신 정보를 해석하고 표시하게 된다.

 

 

웹의 작동 원리

(1)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링크로 연결된 호스트의 서버는 DNS를 통해 IP주소를 찾아내거나, 또는 바로 지정되는 IP주소에 URL에 명시된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상대 호스트의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HTTP 프로토콜의 경우, 지정된 호스트의 웹 서버에 HTTP를 이용하여 연결을 시도한다.

 

(2) 일단 접속이 이루어지면 Web Browser는 링크(URL)에 있는 서버에게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요청하게 되고 서버는 문서를 보내기 시작한다.

 

(3) 만일 문서를 수신하는 도중에 해당 문서가 그림을 포함하거나 다른 멀티미디어 자료를 포함하고 있을 때는 서버에게 추가적으로 해당 자료를 요청하게 되며, 역시 서버는 해당 자료를 추가로 전송하게 된다.

 

(4) 클라이언트라는 웹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링크를 따라 웹 문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HTTP는 하이퍼 텍스트 문서의 교환을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을 갖춘 통신 규약이기 때문에, HTML을 사용해 작성된 웹 페이지의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교환하는 데는 HTTP 통신규약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월드 와이드 웹에서 사용되는 통신규약으로 웹의 문서 교환을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TCP/IP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이며,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갖고 있어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파일을 전송해 준다. 전송 파일은 단순 HTML 문서뿐만 아니라 일반문서, 멀티미디어(음성, 화상 정보) 등 모든 파일을 보낼 수 있다.

728x90

 

 

웹 관련 용어

(1) 하이퍼링크(Hyperlink)

하이퍼텍스트, 하이퍼미디어, 다른 미디어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로서 URL의 형식에 따라 특정 문서나 파일의 위치를 찾아갈 수 있도록한다. 웹 브라우저에서는  일반적으로  링크된  부분의 색을 일반 텍스트의 색과 달리 설정함으로써 문서의 링크를 부각시키는데, 이와 같이 하이퍼 링크된 부분의 문자열을 핫 스팟(Hot Spot)이라고 한다. HTML에서 하이퍼텍스트와 관련된 유일한 태그는 앵커(Anchor)를 의미하는 <A> 태그이다. 앵커(Anchor)는 하이퍼링크와 같은 의미로 HTML에서 하이퍼텍스트 링크로 연결된 부분을 의미 한다.

 

(2) 하이퍼텍스트(Hypertext)

하이퍼텍스트는 문서 중간 중간에 특정 키워드를 두고 문자나 그래픽, 동화상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만든 문서다. 즉, 하이퍼링크되어 있는 단어를 포함한 일반 텍스트 형식의 문서를 말한다. 문서의 중요한 키워드마다 다른 문서로 연결되는 통로를 만들어 여러 개의 문서가 하나의 문서인 것처럼 보여주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하이퍼텍스트라는 용어 자체는 테드 넬슨(Ted Nelson)이 1965년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1967 년에는 브라운대학의 앤디 반 담이 하이퍼텍스트 에디팅 시스템을 개발하여 웹 문서 작성의 길을 열어 주었다. 인터넷 확산기인 1991년에 들어 하이퍼텍스트는 세계적인 문서표준으로 자리잡는 계기를 마련 했다. 팀 버너스 리(Tim Berners Lee)는 월드 와이드 웹에서 하이퍼텍스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현재의 HTML 문서와 같은 형식으로 모든 문서들이 개작되었다.

 

(3)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하이퍼미디어는 하이퍼텍스트의 확장된 개념으로, 정보의 저장과 관리를 위해 그래픽, 음성, 영상 등이 결합되어 있는 정보를 말한다. 즉, 일반 텍스트 문서에 대한 다른 미디어(image , sounds, movie)들을 포함하고 있는 문서. 예를 들어, 그림, 음성, 영화 등과 같은 미디어에 대한 hyperlink를 가지고 있는 문서를 말한다. 하이퍼미디어는 사용자가 자의로 선택하는 대화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인간이 주제와 내용을 연결하는 방식과 일치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하이퍼미디어에서 각각의 주제는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방향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단순히 텍스트라는 하나의 정보 매체뿐만 아니라 글, 소리, 영상, 그림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 매체를 비순차적인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표현해야 한다. 1978년에는 'MIT 아키텍처 머신 그룹'의 앤디 리프먼이 하이퍼미디어 비디오 디스크를 처음 개발하여 텍스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로 활용 가능성을 확대시켰다. 이때부터 하이퍼텍 스트와 하이퍼미디어 응용기술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실질적인 활용분야가 늘어났다.

 

(4)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 웹 사이트, 웹 페이지 또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그림 등과 같은 정보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를 말한다. 즉,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각종 정보들이 존재하는 장소의 주소이다.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에서 웹 사이트에 접속하려면 "http://www.ihd.or.kr" 등과 같은 URL을 사용하는데  맨 앞의 "http"는 URL이  아니고 URL로  표시되는 자원을  통신망에서 전송하기 위  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Protocol)을 의미하며, "www.ihd.or.kr"가 하나의 웹 페이지에 대한 URL이 된다. 따라서, 인터넷 웹 서이트의 URL은 "프로토콜://서버주소[:포트번호]/디렉토리명/파일명"으로 이루어지며, 포트번호는 보통 생략하는데, 주로 80번 포트를 사용한다. 만약, 표준 포트번호를 (80번) 쓰지 않을 경우에는 "http://www.ihd.or.kr:8080"와 같이 포트 번호를 표기해 주어야 한다.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