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화학개론 | 아미노산과 단백질 화학 TIP 1 아미노산(amino acid) 2 Peptide 3 단백질 단백질은 50개 이상의 L-α-아미노산이 peptide 결합으로 연결된 polypeptide로 생물체의 주요 구성성분이며 생명현상을 나타내는데 가장 중요한 물질이다. 이 polypeptide는 β-구조나 α-나선구조로 섬유상단백질이나 구상단백질을 구성하고 있으며 보조인자(prosthetic group)를 함유하는 것과 함유하지 않는 것이 있다. 단백질은 생체 내에서 여러 가지 화학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단백질, hemoglobin, 혈장단백질, myoglobin 및 β1-1-lipoprotein과 같이 운반에 관여하는 단백질, 밀의 gliadin, 달걀의 ovalbumin, 우유의 casein, 철을 저장하는 ferritin 등의 영양과 .. Biology/생화학 2020. 4. 21. 단백질의 생화학 | 펩타이드(Peptide) TIP 1. 펩타이드(peptide)의 생의학(生醫學)적 의의 2. 펩타이드(peptide)의 구조 3. 펩타이드(peptide) 혼합물의 분리 1. 펩타이드(peptide)의 생의학(生醫學)적 의의 펩타이드(peptide)(peptide)란 쉽게 말해 아미노산끼리 결합하여 생성된 물질을 가리킨다. 레닌져에서는 펩타이드(peptide)를 ‘아미노산의 사슬’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펩타이드(peptide)를 이루는 아미노산 사이의 결합을 펩타이드(peptide) 결합(peptide bond)이라 칭하며 펩타이드(peptide) 결합은 일종의 아미드 결합(amide bond)이다. 아미드 결합이란 아민(NRH2) 또는 암모니아(NH3)와 카르복시기(-COOH)간의 반응의 산물로 생겨난 결합으로서 여러분 주위에.. Biology/생화학 2020. 1. 5. 단백질의 생화학 | 아미노산(Amino Acid) TIP 1. 아미노산의 생의학(生醫學)적 의의 2. 아미노산의 구조 및 종류 3. 아미노산의 일반적인 화학반응 1. 아미노산의 생의학(生醫學)적 의의 여러분이 이미 일반생물학에서 공부한 바와 같이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단위이다. 그 밖에 아미노산 자체의 형태로도 체내에서 많은 역할을 한다. glycine이나 glutamic acid 같은 아미노산들은 신경계에서 신경신호의 전달에 관여하기도 한다. 필수 아미노산이란 인간의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식사를 통해 섭취해야만 하는 아미노산들을 말한다. 아미노산의 대사(metabolism)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어떤 아미노산의 decarboxylation의 산물로는 histamine과 GABA 같이 중요한 생물학적인 기능을 가지는 아민이.. Biology/생화학 2020. 1. 1. 식품분석실험 |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TIP 오렌지 껍질 시료에 함유되어 있는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 한다 폴리페놀 벤젠고리(C6H6)의 수소 중 하나가 하이드록시기(-OH)로 치환된 물질을 페놀이라고 하는데,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물질을 폴리페놀, 즉 '다가페놀'이라고 통틀어 부른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자연계에 많이 존재한다. 녹차에 들어 있는 카테킨류(catechins), 커피에 포함되어 있는 클로로겐산, 딸기나 가지, 포도, 검은콩, 팥 따위 붉은색이나 자색의 안토시아닌계 색소 등은 모두 폴리페놀 화합물이다. 이 밖에도 폴리페놀화합물은 야채나 과일, 카카오, 적포도주 등 여러 가지에 포함되어 있다. 폴리페놀의 특징 1. 페놀성 물질은 식물체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 식물에 색을 부여하고 항산화, 자연적..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19. 12. 25. 생화학개론 | 아미노산의 대사 TIP 1. 단백질의 소화 2. 세포내 단백질 분해 3. 아미노산의 분해와 생합성 4. 아미노산 산화와 Urea 생산 5. 아미노산 대사의 다른 생성물들 6. 질소평형 7. 각종 아미노산의 대사와 선천적 대사이상 8. 특수 아미노산의 대사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peptide 결합으로 연결된 polypeptide이므로 위와 소장에서 가수분해되어 아미노산으로 된 다음 체내에 흡수된다. 흡수된 아미노산은 purine이나 pyrimidine 등의 핵산염기나 heme 그리고 조직단백질 합성에 이용된다. 간에서 아미노산의 아미노기는 아미노기 전이반응으로 α-케토산에 전이되어 새로운 아미노산을 만들거나 요소로 되어 배설된다.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는 탈탄산반응으로 이산화탄소로 제거되고 나머지 아민화합물은 polyamin.. Biology/생화학 2019. 12. 7. 생화학개론 | 원심분리기 TIP 1. 개 요(분획원심법) 2. 기본 원리 3. 침강 속도(Sedimentation Velocity) 4. 원심분리기의 구조 5. 원심분리법 (centrifugation) 6. 원심분리 이론 7. 원심분리 방법 8. 밀도기울기 원심분리 고려사항 9. 원심분리기의 성능에 따른 분류 10. 원심분리기의 종류 11. 기타 원심분리 관련사항 12. 원심분리기 사용시 주의사항 13. 산업적 응용 14. 원심분리기의 올바른 관리 방법 분획원심법 세포는 몇 천 가지나 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어떤 단백질의 성질, 아미노산 조성, 그리고 아미노산 배열이 결정되기 이전에 그 단백질은 순도가 높은 시료를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은, 단백질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전하, 크기,.. Biology/생화학 2019. 11. 24. 식품 화학 | 단백질 단백질의 필요량 인체내의 단백질로부터 확인된 22가지 아미노산중 8개가 필수 아미노산이며 이것들은 인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고 음식물을 섭취하여 얻을 수 있다. 단백질 소요량은 환경과 나이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추운 환경에서는 다량의 단백질이 요구되나, 더운 지방에서는 단백질의 과도한 섭취가 신장에 부담이 되므로 좋지 못하다. 또 발육기 어린이에게는 어른보다 세배의 단백질이 필요하다고 한다. 임신, 수유기의 여성에게도 많은 단백질이 필요하지만 신장 기능이 약한 노인들에게는 단백질의 과량 섭취는 이롭지 못하다. 즉 신장 기능이 약한 사람이 단백질을 과하게 섭취할 경우에는 요소 과다증으로 인해 신경 장애, 위장 장애 등을 일으키게 되는데, 심할 경우 치명적일 수도 있다. 단백질은 식사로 얻을 수 있는 질소..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19. 11. 18. 일반생물학실험 | 단백질의 검정 - 단백질의 변성과 Ninhydrin 반응 TIP 생명체의 중요한 고분자물질인 단백질의 구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발색반응에 의한 단백질의 검정법에 대해 알아본다. 닌히드린 반응을 통해 단백질 검정하는 법을 알 수 있다. 단백질은 20종류의 서로 다른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을 통하여 폴리펩티드를 형성하고, 이 폴리펩티드들이 모여 특정한 구조를 이뤄 비로소 생성되는 물질이다. 이러한 단백질들이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기존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변성되는 것이 큰 문제가 되었는데, 생체내의 단백질은 여러 곳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사람이 살아가는데 큰 문제를 일으킬 수가 있었다. 또한 이런 단백질들이 들어있는 물질들이 변성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물질 내의 단백질의 유무를 밝힐 수 있는 실험이 필요했다. 그래서 단백질이 pH나 열에 의해 변..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0. 10. 생체 성분의 화학 | 영양소의 이화작용(Catabolism) 세포가 에너지를 생성하는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질, 단백질에 대한 각각의 효소적 분해는 연속되는 효소반응에 의해서 한 단계씩 진행된다. 호기적 이화에는 [그림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3가지 주요한 단계가 있다. 그 단계 Ⅰ에서는 다당류가 헥소오스 또는 펜토오스로 분해되고, 지방질이 지방산과 글리세롤 및 기타 성분으로 분해되며, 단백질은 20여종의 아미노산 성분으로 가수분해된다. 이화단계 Ⅱ에서는 단계 Ⅰ에서 만들어진 여러 가지 생성물들이 작은 단위의 단순한 분자로 변환된다. 즉, 단계 Ⅰ에서 생성된 헥소오스, 펜토오스, 글리세롤은 탄소 원자 3개로 이루어지는 중간체인 피루브산(pyruvate)으로 분해된다. 그리고 이어서 탄소 원자 2개로 된 단위인 아세틸-CoA(acetyl- coenzyme A)로..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19. 8. 31. 생체 성분의 화학 | 아미노산과 단백질 아미노산(amino acid)은 지금까지 약 80여종이 발견되었고 이 중에서 20여종만이 식품영양학상으로 중요시 되고 있다(표 1 참조). 단백질(protein)은 그리이스어의 “proteios”(제일)라는 어원에서 나온 것으로 다수의 아미노산이 중합되어 이루어진 고분자화합물이다. 단백질은 1938년 G. J. Mulder에 의하여 생물체의 구성성분임으로 밝혀졌다. 단백질이 없다면 지구상에 생명체가 존재하지 못할 것이고 이것을 통해서 생명 현상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또 생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백질이라고 하였다. 단백질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단백질에 함유된 질소의 양에 6.25(질소계수)를 곱한 값으로 나타낸다. 아미노산의 종류 아미노산은 분자내에 amino기(-NH2)와 carboxyl기(-COOH..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19. 8. 2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