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공기초실험 | 액체의 표면장력 측정 TIP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액체 시료의 농도에 따른 표면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 증류수와 비교 분석한다. 여러 표면장력 측정법 중 듀누이(DuNoüy)의 표면 장력계를 사용하는 적환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실험 배경 한 분자가 동일한 분자의 액체 bulk상에 존재할 경우 분자에 작용하는 분자간의 힘은 분자를 둘러싼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작용된다. 그러나 한 분자가 유체 표면에 존재할 경우 분자에 작용하는 분자간의 힘은 안과 밖이 다르다. 표면에는 분자 간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수축하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단위 길이당의 이 힘을 표면장력이라 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0.002M, 0.004M, 0.008M, 0.01M의 농도를 가지는 SDS 수용액과 증류수를 깨끗하게 세척한 비커에 담아둔다..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3. 6. 6. 일반화학실험 | 밀도 측정 TIP 1. 고체와 액체물질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여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2. 측정한 밀도 값을 비교해보고 밀도는 물질의 특성임을 설명할 수 있다.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시라쿠스의 왕 히에론 Ⅱ세는 왕관을 만드는 사람에게 금덩어리를 내주면 왕관을 만들어 오도록 명령하였다. 히에론 왕은 완성된 왕관이 정말 순금으로 만들어졌는지를 아르키메데스에게 조사하도록 하였다. 왕관에 섞었을 은이나 구리 같은 물질은 금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에 같은 질량의 금보다 그 부피가 더 크다. 따라서, 은이나 구리 등을 섞어 왕관을 만들었다면 같은 질량의 금보다도 그 부피가 더 클 것이다. 아르키메데스는 왕관과 또 그것과 같은 질량의 금을 따로따로 물 속에 담그고 넘쳐 흘러나온 물의 부피가 왕관이 더 많다는 것으로 만들어온 왕.. Chemistry/일반화학 2023. 1. 10. 화공기초실험 | 액체의 밀도와 점도 TIP 분자정수에는 밀도, 점도, 표면장력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실험에서는 액체의 밀도와 점도측정에 대해 알아본다. 액체의 밀도(비중) 어떤 물질이 질량과 이와 같은 체적인 표준물질의 질량과의 비를 비중(specific gravity)이라 한다. 같은 장소에서 측정하면 양자의 무게비를 취해도 좋으므로 비중이란 말을 쓴다. 어떤 온도에서 있어서의 비중(밀도)은 그 물질에 고유한 정수이다. 따라서 비중을 측정하여 순도를 확인해 볼 수 있다. 특히 용액은 비중과 농도와의 관계가 잘 조사되어 있으므로 비중을 측정하여 농도를 아는 것은 공업상이나 실험실에서도 잘 쓰이고 있다. 또 액체의 밀도측정은 압력, 모세관의 반지름, 분자부피(molar volume), 유전율, 표면장력, 비점도등의 측정이나 burette..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2. 9. 14. 물리화학실험 | 액체의 점도 측정 TIP Ostwald 법을 이용하여 액체의 점도를 측정하고 점도가 온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살펴본다. 한 종의 액체가 다른 층의 액체를 지날 때 겪는 저항을 점성도 또는 점도라 한다. 보통의 경우 유동성이 큰 액체인 물은 유동성이 작은 액체인 타르보다 점도가 작다라고 한다. 액체가 고체의 관을 흘러갈 때 관 표면에 접해서 이동하는 액체의 경우 정지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때 난류나 소용돌이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 흐름을 층류라 하며 일정 방향의 벡터를 가진다. 점도는 층류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층류에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려고 하는 성질을 점도라 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Ostwald 점도계를 증류수로 세척해준다. 2) Ostwald 점도계 B부분 고무피펫 훨러로 막아준 뒤, A쪽.. Chemistry/물리화학 2022. 9. 12. 환경위생공학실험 | 침강 실험 실험 방법 1. 독립 침전 1) 다른 사이즈의 모래를 준비 (직경이 1㎜, 3㎜, 5㎜, 10㎜) 2) 직경이 다른 모래를 각각 무게와 부피를 재서 밀도를 구한다. 3) 1L 실린더에 수돗물을 채우고 모래알을 떨어뜨려 침강속도를 측정한다. 2. 응집 침전 1) 하수를 채수한 후, 황산반토 주입 후 Jar tester기에서 급속 및 완속교반을 거친 후 floc을 만든다. 2) 이 액을 병에 넣은 후, 30분간 침천시킨다. 3) 1분 간격으로 계면의 높이를 측정한다. [위생공학실험]침강 실험 레포트 가. 실험 고찰 본 실험은 침강속도를 측정하여 구형의 물체가 중력 하에서 액체를 통하여 침강할 때, 그 속도를 결정짓는 인자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 인자들 간의 관계를 점성계수, 밀도등 www.happycamp..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22. 6. 8. 일반화학실험 | 알루미늄 호일 밀도 측정 TIP 1. 시료의 양을 정확히 측정한다. 2. 액체와 고체의 부피를 정확히 측정한다. 실험 방법 1. 고체의 밀도 1) 고체 시료의 무게를 저울로 측정한다. 2) 원통형이거나 육면체 고체는 각 변의 길이를 재어서 부피를 측정한다. 3) 고체 시료가 작은 덩어리일 때는, 깨끗한 눈금 실린더에 5㎖ 정도의 증류수를 넣고, 메니스커스의 높이를 정확히 읽는다. 4) 무게를 측정한 고체덩어리를 눈금 실린더에 넣고 메니스커스 높이를 읽고, 고체 시료의 부피를 계산한다. 고체 시료를 넣을 때는 주의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조심한다. 5) 시료의 측정 질량과 부피로부터 밀도를 계산한다. 6) 유효 숫자 사용에 유의하고, 실험을 여러 번 반복하여, 무게, 부피, 밀도의 실험값 표준 편차를 계산한다. 2. 알루미늄 호일.. Chemistry/일반화학 2022. 5. 22. 일반화학실험 | 액체의 비중 측정 TIP 물체가 가지고 있는 부피당 무게의 비로 밀도를 알 수 있고 이를 서로 다른 물질과 비교함으로써 비중을 알 수 있다. 비중 (specific gravity) 어떤 물질의 질량과 이와 같은 체적인 표준물질의 질량과의 비를 비중 (Specific Gvavity) 이라고 한다. 같은 장소에서 측정하면 양자의 무게의 비를 취해도 좋으므로 비중이란 말을 쓴다. 어떤 온도에 있어서의 물질의 비중은 그 물질의 고유한 정수이다. 따라서 비중을 측정하여 순도를 확인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비중과 농도와의 관계가 잘 조사되어 있으므로 비중을 측정하여 농도를 아는 것은 공업상이나 실험실에서도 잘 쓰이고 있다. 또 액체의 밀도측정은 압력, 모세관의 내경, 분자용, 도전율, 표면장력, 비점도 등의 측정이나 뷰렛, 피펫의 .. Chemistry/일반화학 2022. 4. 4. 일반물리학실험 | 액체의 비중 측정 TIP Hare장치를 이용하여 물의 밀도를 기준으로 다양한 액체의 비중을 측정한다. 물질의 상태는 크게 세 종류로 구분딘다. 고체, 액체 그리고 기체가 그것이다. 특히 액체와 기체는 유체로 고체와 달리 유체를 구성하는 질점들의 위치가 고정적이지 않고 유동적이기 때문에 고체와 다른 다양한 성질들을 가지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물의 밀도를 기준으로 한 임의의 액체의 비중을 정의 및 측정하는 것이다. 질량, m인 물질의 밀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증류수와 비중을 알 수 없는 액체를 담은 두 비이커를 위의 그림과 같이 Hare장치 아래 놓는다. 이 경우 유리관이 액체에 충분히 잠기도록 한다. 2) U자관 끝에 연결되어 있는 피펫 필러(pipet filler)를 이용하여 유리관.. Engineering/물리학 2021. 12. 22. 일반화학실험 | 액체와 고체의 밀도 TIP 1. 물질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고 측정값으로 물질의 밀도를 측정하는 법을 배운다. 2. 물질의 밀도는 물질의 부피에 대한 질량의 관계를 측정하는 기본적 성질이므로 주어진 온도와 압력에서 화합물의 질량 및 부피를 측정하여 밀도를 구한다. 밀도의 정의 및 특징 밀도의 특징으로는 각 물질마다 특정한 값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물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고체 >액체 >>기체의 순이 된다. 물질의 온도가 변하면 부피가 변하기 때문에 밀도도 변한다. 밀도 = 질량/부피 = m/V[ g/㎖ ] 원기둥의 부피 = π(반지름)2(높이) 실제 4℃의 물의 밀도 : 1g/㎖, 실제 10원 동전의 밀도 : 8.2g/㎤ 실린더의 눈금을 읽을 때에는 눈높이를 맞추고 물의 경우 아래 봉우리 부분을, 수은의 경우 윗 봉우리.. Chemistry/일반화학 2021. 11. 8. 일반화학실험 | 액체 및 고체의 밀도의 측정과 고체 입자 충전층의 공극율 측정 TIP 물체가 갖고 있는 부피당 무게를 표준이 되는 물질의 무게와 비교함으로써 서로 다른 물질별로 무게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고, 체적에 대한 무게릐 비를 구허면 모든 물질에 대한 밀도를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론과 기구를 사용하여 비중 및 밀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여 본다. 물질은 질량과 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각 물질이 차지하는 일정한 부피중에 포함되는 질량을 나타냄으로서 물질을 서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밀도는 단위 부피당의 질량으로 정의되는데 이때의 질량은 일반적으로 g으로 나타내며 부피는 ㏄ 또는 ㎖로 나타낸다. 밀도는 물질의 부피와 질량을 측정하여 이 질량을 부피로 나눔으로써 구할 수가 있다. D = m/V 물질의 밀도는 그 물질의 특성이고, 질량을 부피로 또는 부피를 질량으로 환산.. Chemistry/일반화학 2021. 11. 4. 일반화학실험 | 액체와 고체의 밀도 측정 TIP 1. 물질의 밀도는 물질의 부피에 대한 질량의 관계를 측정하는 기본적 성질이다. 2. 화합물의 질량 및 부피를 측정하여 주어진 온도와 압력에서 액체와 고체의 밀도를 측정한다. 밀도 단위 부피의 그 물질이 가는 질량으로 SI단위는 Kg/㎥이지만 화학 실험에서는 g/㎤을 많이 사용한다. 밀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특히 기체의 경우는 더욱 민감하다. 온도를 함께 측정한다.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료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여야 한다. 질량 측정할 때 0.01g정도의 정밀도를 요하는 측정에는 어림저울(triple beam balance)을, 더욱 정밀한 질량의 측정에는 화학저울이 이용된다. 부피를 측정할 때에는 눈금실린더, 뷰렛, 피펫 등이 사용되며 눈금실린더 보다는 뷰렛이나 피펫이 정밀도가 높은.. Chemistry/일반화학 2021. 11. 2. 일반화학실험 | 시료의 부피와 질량 및 밀도측정 화학 실험은 기구나 도구를 이용하여 물리적 양의 측정으로 이루어진다. 화학 실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물리적 양은 질량과 부피이다. 질량은 엄밀하게는 주어진 물질의 고유한 양이고 무게는 물질에 작용하는 중력의 측정치이다. 무게는 저울을 사용해서 측정한다. 일반적 화학 실험에서는 측정 용량이 수백 그램이고 측정의 정밀도가 10㎎에서 0.1㎎인 저울을 사용한다. 저울을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저울의 측정용량과 정밀도를 알아보고 실험의 목적에 맞는 것인가를 확인해야한다. 화학 실험에서 용액의 부피 측정에 사용되는 보편적인 기구는 눈금피펫, 부피피펫, 뷰렛, 눈금실린더, 부피플라스크 등이다. 부피피펫과 눈금피펫은 정확한 양의 액체를 취해 다른 용기에 옮기는데 사용되며, 부피피펫이 눈금피펫보다 정밀도가 높다. 역.. Chemistry/일반화학 2021. 10. 5. 일반화학실험 | 용해열 측정 TIP 고체가 액체에 녹을 때 발생하는 용해열을 측정하고, 발열 반응과 흡열반응의 상태를 관찰한다. 고체 상태의 염에서는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에 강한 인력이 작용해서 안정화되어 있다. 극성이 강한 물 분자들이 양이온과 음이온을 둘러싸서 상당히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이온결합을 하고 있는 염은 물에 잘 녹는다. 그러나 양이온과 음이온들이 물 속에서 안정화되는 정도는 이온이 가지고 있는 전하와 이온의 크기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고체 상태로 있을 경우보다 더 안정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염화칼슘을 물에 녹이면 81.3 kJ/㏖의 열이 방출된다. 즉 고체상태의 염화칼슘에서 +2가의 양이온인 칼슘이온 주위에 위치한 -1가의 염소 음이온 두개가 서로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보다는 극성의 물.. Chemistry/일반화학 2021. 9. 21. 유기화학실험 | 소주(혹은 막걸리)로부터 에탄올(Ethanol) 분리 - 증류 단순 증류 단순증류란, 액체와 고체의 혼합물을 분리하려고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얻고자하는 대상물에 따라, 액체의 경우 오른쪽과 같은 증류실험장치를 사용하여 증류, 응결과정을 통해 얻어내며, 액체에 녹은 고체를 얻고자 할 때는 리비히냉각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플라스크 내의 혼합물에서 액체를 전부 증발시켜 얻는다. 단, 리비히 냉각기를 사용 할 때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물이 이동하도록 실험 장치를 설계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각 조별로 에탄올의 비율을 0, 20, 40, 50, 60, 80, 100%로 만들어 Abbe 굴절기로 굴절도를 측정하여 에탄올 비율별 굴절도 그래프를 그린다. 2) 실험하려고 하는 소주(혹은 막걸리)의 굴절도를 측.. Chemistry/유기화학 2021. 4. 20. 일반화학실험 | 물과 기름 사이 TIP 밀도가 다른 용매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파악해 본다. 밀도 1) 단위 체적 당 질량(g/㎖, g/㎤), 물질의 고유값 2) 일반적 밀도 : 고체>액체>기체, 물의 밀도 : 액체>고체>기체 Q. 물의 경우 액체 상태의 밀도가 가장 높다. 그 이유는? 기체 : 온도 ↑ ⇒ 밀도 ↓, 압력 ↑ ⇒ 밀도 ↑ 비중 1) 어떤 물질의 질량과 같은 체적의 표준물질의 질량과의 비 2) 표준물질 : 고체 및 액체 ⇒ 1atm, 4℃ 물, 기체 ⇒ 1atm, 0℃ 공기 3) 일반적 비중 : 밀도와 같은 개념 계면활성제 1) 계면 : 2상간의 경계 2) 계면활성 : 성질이 서로 다른 두 물질이 맞닿을 때에 액체의 표면 장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물질의 성질. 3) 계면활성제 : 성질이 다른 두 물질이 맞닿을.. Chemistry/일반화학 2021. 2. 18. 기계공학실험 | 유체압력과 밀도측정 TIP 유체란 고체에 비해 형상이 일정하지 않아 변형이 쉽고 자유로이 흐를 수 있는 액체와 기체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 우리는 이 유체의 압력과 속도 그리고 밀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원리와 베르누이 방정식을 통해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압력 값을 알아내기 위해 유체실험을 할 것이다. 베르누이 법칙 베르누이 법칙은, '유속의 변화에 따라 분자의 에너지 분배가 달라졌을 때 속도와 압력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정리이다. 입자의 속도가 변해서 에너지가 한쪽으로 쏠렸을 때, 속도와 압력이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베르누이의 정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유체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합은 항상 일정하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 법칙이 적용되는 것은 점성을 무시할 수 있는 이상유체가 규칙적으로 흐르는 경우에.. Engineering/기계공학 2020. 12. 29. 물리화학실험 | 액체의 상호 용해도 TIP 서로 섞이지 않는 물-벤젠 용액에 빙초산을 가하여 용액에 대한 빙초산의 용해도를 측정하고 세 가지 액에서 이루어지는 용액의 조성을 삼각도로 나타낸다. 또한 이 과정에서의 분배의 법칙을 조사한다. 액체간의 상호용해도 일정한 온도에서 두 종류의 액체가 완전하게 섞이지 않고 두 층으로 평형을 이룰 때, 한 층의 액체 성분이 다른 층에 용해된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물과 ether를 혼합하면 소량의 ether를 녹인 물의 층이 밑으로, 소량의 물을 녹인 ether의 층을 위로하는 두 액상으로 유지되는데, 이와 같이 두 액체가 서로 포화되어 두 액상이 평형을 유지할 때 각 액상에 있어서 또 다른 한 부분의 액체의 용해도를 상호 용해도(mutual solubility)라 하며, 상호용해도의 값은 일반.. Chemistry/물리화학 2020. 11. 21. 일반화학실험 | 실험기구의 검정 TIP 1. 실험에서 가장 정확한 오차 없는 결과를 얻고 측정을 정확하게 정확한 실험과 결과를 얻을수 있기위해 실험기구 검정을 한다. 2. 저울의 사용법과 액체를 옮기는데 사용하는 기구들의 사용법을 익히고 액체들의 부피를 측정하여 물의 검정된 부피를 구하여 눈금실린더의 부피 검정식을 구하고 미지의 액체 밀도를 측정하라. 실험 1 : 눈금실린더의 검정 1. 목적 : 액체의 온도 질량과 부피를 밀도=질량/부피 공식을 이용해 밀도를 관찰 후 그 값을 검정해보기 2. 이론 : 실린더의 검정을 하기 위해선 검정된 증류수의 부피를 계산해야 된다. 측정된 증류수의 질량(m)을 눈금 그 온도에서의 증류수의 밀도로 나누면 검정된 증류수의 부피가 얻어진다. 실험 2 : 미지 액체의 밀도측정 1. 목적 : 질량과 부피를 측.. Chemistry/일반화학 2020. 10. 2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