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리화학실험 | 이온 세기 효과 TIP 1. Dehye-Huckel 이론으로 이온세기와 전화관련 식을 볼 수 있다. 2. 활동도계수 식을 이용해서 값을 구한다. 이온 세기(Ionic Strength) 이온 용액을 이야기 할 때 이온 세기가 늘 등장하게 된다. 여기서 합셈은 용액 속에 존재하는 모든 이온에 걸쳐서 합해 주어야 한다. 여기서 생각하는 경우처럼 두 종류의 이온만이 존재하고 그 몰랄 농도가 m 일 때는 이온 세기가 다음과 같이 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AgNO3 1g을 물에 녹인다. 따라서 농도가 높다. 2) 각 시약병에 25㎖씩 취해서 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3) 증류수 15㎖와 6M HNO3 5㎖를 넣는다. 4) 0.1M 용액 1㎖ 넣어준다. 5) 0.1N KSCN용액으로 적정한다. (붉은 색이 사라지지 않을때.. Chemistry/물리화학 2023. 4. 4. 일반생물학실험 | DPPH 항산화 실험 TIP 시료의 항산화력을 측정해 본다. 활성 산소 우리가 호흡하는 산소와는 완전히 다르게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산소이다. 환경오염과 화학 물질, 자외선, 혈액순환장애, 스트레스 등으로 산소가 과잉생산된 것이다. 이렇게 과잉생산된 활성산소는 사람 몸속에서 산화작용을 일으킨다. 이렇게 되면 세포막, DNA, 그 외의 모든 세포 구조가 손상당하고 손상의 범위에 따라 세포가 기능을 잃거나 변질된다. 실험 방법 1. 각 용액 사전 자리배치 용액을 담기전 미리 자리를 배치해두면 실험 중에 용액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액 들을 담고나서도 각 칸에 어떤 용액이 담겼는지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DPPH 시료A + DPPH 시료A blank 시료B + DPPH 시료B blank 시료C + DPPH 시료C blan..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2. 9. 7. 일반화학실험 | Atomic and Molecular Structure TIP 본 실험에서는 주어진 수은의 방출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상에 나타난 방출 띠의 길이와 파장 사이의 관계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는 이 관계를 이용하여 미지의 원자의 종류에 대해 알아본다. 방출스펙트럼 원자가 에너지를 얻고 높은 에너지 준위에 있는 전자가 낮은 에너지의 궤도로 떨어지며 전자기파를 방출한다. 전극이 들어있는 유리관에 전기장으로 인해 분자는 이온 상태가 된다. 전자와 이온은 가속되면서 다른 분자들을 연쇄적으로 이온화시킨다. 이때 원자들이 다시 낮은 에너지준위 상태로 돌아오며 그 차이에 해당하는 에너지가 전자기파로 방출되고 이를 모아 놓은 것이 방출 스펙트럼이다. 옥텟 규칙 원자의 최외각 전자껍질에 전자가 8개가 있으면 안정하다는 것이 옥텟 규칙이다. 원자마다 전자배치는 모두 .. Chemistry/일반화학 2022. 1. 4. 일반화학실험 | 금속 결정의 단위세포 만들기 TIP 순물질의 고체 상태는 결정 상태로 존재한다. 본 실험에서는 여러 가지 결정 구조에서 구성 입자(원자, 분자, 이온)들이 어떠한 배열을 가지며, 각 구조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스티로폼 구를 사용하여 결정격자의 단위세포를 만들어 알아보고자 한다. 금속 결정격자의 종류와 단위세포 분석 결정 내에서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특정한 구조를 이룰 때 결정격자(crystal lattice)라 한다. 결정은 입자들의 배열에 따라 [그림1]과 같이 단순 입방 격자(simple cubic), 체심 입방 격자(body-centered cubic, BCC), 면심 입방 격자(face-centered cubic, FCC), 육방 최밀 격자(hexagonal close-packed, HCP) 등으로 나눌 수 있.. Chemistry/일반화학 2021. 11. 14. 일반화학개론 | 산화수 구하기 산화수 원자가 단원자 이온 상태로 존재할 때 이온의 실제 전하량으로 정의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간단한 법칙에 의해 그 원자에 할당된 가상적인 전하량으로 정의한다. 산화수를 배정하는 규칙 규칙 적용되는 물질 설 명 1 원소 원소 상태의 원자는 산화수가 0이다. 2 단원자 이온 단원자 이온에서 원자의 산화수는 이온의 전하와 같다. 3 산소 산소의 산화수는 대부분 -2이다.(예외:H2O2 또는 과산화물에서는 -1이다.) 4 수소 수소의 산화수는 대부분 +1이다. (예외:CaH2 같은 금속과의 이성분 화합물에서는 -1이다) 5 할로젠 F의 산화수는 모든 화합물에서 항상 -1이다. Cl, Br, I는 이성분 화합물에서는 대부분 -1이지만, 다른 원소가 주기율표에서 그 위에 있는 다른 할로젠인 이성분 화합물이.. Chemistry/일반화학 2021. 7. 4. 일반화학실험 | 용액의 농도 TIP 1. 여러가지 종류의 용액을 만들어 보고 온도에 따른 용해도를 비교해 보고 각 용액의 농도(질량 백분율)를 구한다 2. NH4Cl수용액과 NaCl 수용액을 만들고 온도에 따른 용해도를 비교하고 각 용액의 농로를 질량 백분율 농도로 구해본다. 한 물질이 다른 물질에 녹아 있을 때 이를 용액이라고 한다. 용액은 또한 평균직경이 0.05~0.25nm 정도 되는 원자, 분자 혹은 작은 이온들이 균일하게 섞인 혼합물로 정의되는데,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녹아 들어가는 물질을 용질, 그리고 녹이는 물질을 용매라고 한다. 용매는 일반적으로 훨씬 과량으로 존재하며, 용액의 이름은 용질의 이름을 사용한다. 소금이 물에 녹아있을 때 소금은 용질이고 용매는 물이며 용액은 소금용액이 된다. 특별히 용매가 물인 경우를 수.. Chemistry/일반화학 2021. 5. 2. 물리화학실험 | 수용액의 전기전도도 측정 - NaCl과 CH3COOH TIP 1. 강전해질과 약전해질을 넓은 범위의 농도에서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수용액의 전도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2. 강전해질과 약전해질인 염화나트륨과 식초산 용액의 전도도를 상당히 넓은 농도 범위에서 측정하여본다. 3. 식초산의 이온화도와 이온화 상수를 실험자료로부터 각 농도마다 계산한다. 4. 약간 녹는 염의 용해도를 전도도 측정으로 결정한다. Electrolytes 용매에 녹았을 때 이온으로 해리하여 용액이나 용융상태로 전기를 통과시키는 물질을 전해질이라고 한다. 전해질은 약전해질과 강전해질, 양성전해질, 무기 및 유기전해질, 고분자 전해질 등으로 분류된다. 이온은 정(+) 또는 부(-)의 전하를 가진 이온간에 작용하는 Coulomb의 정전기력 포텐셜은 입자간 거리 r에 역비례하기 때문에.. Chemistry/물리화학 2020. 3. 10. 일반화학실험 | 양이온 정성분석 - Qualitative Chemical Analysis TIP 1.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용액에 녹아 있는 여러 가지 양이온의 성질을 이해한다. 2. 혼합 용액에서 양이온을 분리해 본다. 3. 침전반응과 평형에 대해 이해한다. Chemical Analysis 물질이 어떤 성분으로 되어 있는지 또는 어떤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 ① 정성분석(qualitative analysis) : 물질의 성분을 알아내는 것 Reveals the identity of the elements and compounds in a sample ② 정량분석(quantitative analysis) : 물질을 이루고 있는 각 성분의 양적 관계를 조사 Indicates the amount of each substance in a sample. ∴ 일반적으로, 정성분석 → 정량분석 시.. Chemistry/일반화학 2020. 2. 25. 화학 이론 | 분자와 이온 분자 분자(molecule)는 순수한 물질의 조성과 화학적 성질을 갖고 있는 물체의 가장 작은 입자를 말하고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기체인 산소는 두 개의 원자가 한 분자로 되어 있는 이원자 분자(diatomic molecule)로 존재한다. 즉, 산소 분자는 화학반응으로 두 개의 산소 원자로 쪼갤 수 있고, 이 산소 원자는 다른 원자나 분자들과 결합할 수 있다. 실제로 결합은 대단히 빨리 일어나는데 그 이유는 산소 원자가 어느 순간도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산소의 화학식은 O2로 나타내며 첨자인 2는 한 분자내에 두 개의 산소 원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말한다. 수소, 질소, 염소 분자들도 물론 이원자 분자들이다. 반면 헬륨, 네온, 아르곤, 크립톤, 크세논 등과 같은 원소들은 단일 원..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19. 8.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