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Bradford법을 이용한 단백질의 정량 분석 TIP Bradford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정량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Standard curve를 그린다. 단백질 정량을 하는 이유단백질 정량이란 시료 내에 포함된 단백질의 양,또는 농도를 구하는 과정으로써, 대부분의 생화학 실험에 기본이 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생물학 분야의 경우 다른 분야와 달리 실험 결과를 볼 때까지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기 어려워, 준비 단계에서의 단백질 정량이 잘 못 이루어지면 헛수고를 하거나 잘못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단백질을 정확하게 정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실험 방법1. 실험 과정1) 주어진 BSA 2㎍/㎖ 용액 0.8 ㎖ , 증류수 3.2 ㎖ 를 마이크로 피펫으로 취하여 혼합하여 희석한다.(BSA 농도는 400㎍/㎖이 된다...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4. 6. 17. 화공기초실험 | 흡광광도 분석 TIP 흡광광도 측정법의 개념 및 원리를 이해하고 흡광광도 측정에 사용되는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의 작동원리 및 사용법을 이해하며 발생용액의 최대흡수파장을 결정한다. 편광에는 직선 편광, 원 편광, 타원 편광이 있다. 전기장 벡터의 정점을 연결한 선이 빛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보아 직선으로 보이는 것이 직선 편광, 원이 되는 것이 원 편광, 타원이 되면 타원 편광이라 한다. 직선 편고아은 타원율= 0, 원 편광은 타원율=1의 특수한 타원 편광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직선 편광은 그 전기장 진동 방향이 쪼이는 대상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경우 이를 p편광이라 하며, 한편 평행인 경우 s편광이라 한다. 편광을 이용하여 측정한 스펙트럼을 편광 스펙트럼(Polarized Spectrum)이라 ..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1. 12. 16. 일반생물학실험 | 광합성 색소분리 및 측정 TIP 1.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시금치 잎에서 광합성 색소를 분리하고 색소의 빛 흡수를 알아본다. 2. 분광광도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색소의 최대흡수 파장을 알아본다. 종이크로마토그래피 종이에 검은 수성 사인펜으로 점을 찍은 후 수직으로 세워놓고 아래 부분이 물에 잠기도록하면 물이 종이를 따라 올라가면서 사인펜 속의 색소가 분리된다. 이때 종이처럼 고정되어 있는 물질을 정지상이라 하며, 물과 같이 위로 이동하는 물질을 이동상이라 한다. 색소들은 저마다 물을 따라 올라가는 속도가 달라 분리가 가능하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종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엽록체 색소분리 2) 여과지를 15×2㎝크기로 자른다. 한쪽 끝에서 1㎝되는 곳을 잘라 삼각형을 만든 다음 이곳..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11. 24. 일반생물학실험 | 엽록소 함량 측정 및 기공의 개폐작용 TIP 1. 엽록소 함량 측정 - Spectrophotometer의 사용방법을 익히고 이것을 이용한 분석방법을 배운다. 2. 기공의 개폐작용 - 식물의 잎에서 CO2와 H2O의 교환장소인 기공의 해부학적 구조를 관찰하고 기공의 개폐에 미치는 환경요인 등을 알아본다. 기공 숨구멍이라고도 한다. 식물의 표피세포가 특수한 분화(分化)를 함으로써 공변세포(孔邊細胞)가 생기는데 이 공변세포 사이에 만들어진다. 식물체내의 조직과 외계(外界) 사이의 가스 교환을 담당한다. 공변세포에 접하고 있는 몇 개인가의 표피조직의 세포가 다른 표피세포와 다소 다른 모양의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세포를 부세포(副細胞)라고 한다. 부세포의 유무와 수(數), 기공의 배열상태 등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기공은 잎에 많이 존재하는..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8. 2. 일반생물학개론 | 단백질 결정화 - Supersaturation TIP 1. 단백질 과포화 가. Absorbance 나. Trp, Tyr 다. Spectrophotometer 라. Supersaturation Supersaturation 과포화란 일반적인 상태에서 용액에 녹을 수 있는 용질보다 더 많은 용질이 녹아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Figur 4. 은 단백질의 과포화 곡선으로 침전제의 농도에 따른 단백질 농도 변화를 보여주며 nucleation과 metastable zone에 도달하는 4가지의 결정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과포화 용액은 특정 상태에서 결정화를 겪게 된다. 포화된 용액의 용해도를 온도, pH 압력 등을 변화 시켜 용해도를 감소시킬 경우 과포화 상태가 된다. 그러나 과포화 상태가 되지 않을 경우 용질의 침전이 일어난다. 그 이유는 과포화 상태는 에..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6. 26. 일반생물학실험 | 항산화 효능 검증 및 Data 분석 - DPPH TIP Spectrophotometer의 원리와 사용법을 이해한 후 각 시료의 항산화 능력을 테스트하고 data를 비교 분석한다.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항산화제의 작용 기작 우리가 호흡을 하게 되면 산소가 몸속으로 유입되고 이상적으로는 우리에게 필요한 산소량만큼 호흡으로 들이마시면 좋겠지만 실제로 그렇게 정확히 맞추기는 힘들다. 특히 운동 후 가쁜 숨을 몰아쉬게 될 때도 산소를 과잉 공급할 가능성이 있다. 필요이상으로 많은 산소가 체내에 들어왔을 경우 잔여 산소 중 일부는 활성이 큰 자유기(free radical)인 활성산소가 된다. 이 반응성이 큰 자유기는 체내의 세포를 공격하게 되고 공격으로 인해 손상된 세포는 유전자의 복구 명령에 따라 복구를 시작하게 되고, 이 복구 과정에서 간혹 비정..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6. 23. 일반생물학실험 | Bradford assay를 이용한 단백질의 정량 TIP 수용액에 녹아있는 단백질의 양을 Bradford 방법으로 정량한다. 이를 위해 표준 용액을 이용한 표준곡선의 작성과 비색정량법을 습득한다. 단백질 분석 켈달 정량분석 방법에서는 시료 중에 함유되어 있는 총 질소함량을 측정하여 단백질 함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개략적인 분석만 가능케 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많은 학자들은 순 단백질의 총량을 정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법들을 개발하고 있다. 이들 중 현재까지 많이 이용되고 있는 몇 가지 방법에는 뷰렛방법, Lowry 방법, 탁도 측정법, 펩티드 측정법, 크로마토그래피, 비색법 및 분광광도법 등을 들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피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상을 이용하여 화합물을 분리한다. 즉, 정지상과 이동상이 그..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7. 18. 생화학실험 | UV-VIS KMnO4 극대 흡수 파장 측정 TIP UV-Vis의 기기 사용방법을 습득하고 특급 시약으로 조제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KMnO4의 극대 흡수 파장을 구한다. Beer-Lambert Law 빛의 투광도는 시료의 농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지만 그 로그함수는 다음과 같이 시료의 농도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 log T = K×C C : 시료 중의 흡광물질의 농도, K: 상수 위의 식에서 -log T를 흡광도(absorbance,A)라고 함으로 흡광도는 시료의 농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를 지니게 된다. A = K×C 위의 A = KC의 관계를 Beer's law라고 한다. 하지만 시료의 흡광도는 위에서 설명한 시료중의 흡광 물질의 농도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는다. 즉, cuvette의 직경 또는 폭에 따라서 흡광도는 달.. Biology/생화학 2020. 5.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