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린
아스피린은 진통제임과 동시에 열을 내리는 해열제이다. 아스피린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효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효소는 다중불포화 지방산이 산소와 반응하여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이 생성되는 반응을 촉매한다. 프로스타글란딘이 과다하게 생성되면 발열, 통증 및 염증의 원인이 되며 아스피린은 이러한 증상들을 감소시킨다.
프로스타글란딘은 관련 화합물이 12개 이상이나 되는 화합물 군으로서 혈압, 평활근의 이완과 수축, 위산 분비, 체온, 음식 섭취, 혈소판 응집과 같은 생리 활성에 강력한 영향력을 갖고 있다. 근래에 와서 프로스타글란딘 계통의 화합물들이 치료제로 효능이 있는지에 관하여 많이 연구되고 있다. 물질의 성질이 알려진 두 종류의 프로스타글란딘은 프로스타글란딘 E1(임신중절을 위한 유도 분만시에 사용)과 프로스타글란딘 E2이다.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위장출혈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데 이러한 증상은 아스피린 정제가 녹지 않고 위벽에 붙어 있을 때 발생한다. 아스피린 분자가 점막의 지방층을 통과할 때 세포를 손상시켜 국부적인 출혈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경우 5그레인(0.0648g에 해당)짜리 정제 2개를 복용할 때 혈액 손실량은 0.5~2.0㎖이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더 많은 출혈을 하는 경우도 있다. 초창기의 아스피린 정제는 신속하게 녹지 않아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였다. 오늘날의 아스피린 정제는 신속하게 분해되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복용 전에 정제를 소량의 물에서 분쇄시키면 용해속도는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라이에 증후군(Reye's syndrome)은 유행성 감기나 수두에 걸린 어린이의 회복기에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 질환의 증상은 구토, 혼수상태, 정신착란 및 과민증상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스피린의 복용과 라이에 증후군 사이에는 위험한 상관관계가 있다. 1982년 초부터 아스피린 제품에 아스피린은 라이에 증후군과 관련이 있다는 경고문을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 아스피린과 라이에 증후군 간에 상호관계성이 있는 이유에 관하여는 아직까지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아스피린 대용제
아스피린 사용시 문제가 있는 환자들을 위해 몇 가지 아스피린 대용제들이 있다.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상품명 : Tylenol)과 이부프로펜(ibuprofen, 상품명 : Advil) 등이 대표적인 약품들이고 이들 역시 진통, 해열제이다.
억제제
억제제(depressant)란 긴장을 풀어주는 진정제(sedatives)나 졸립게 만드는 수면제(hypnotics)를 말한다. 가장 잘 알려진 억제제는 바비트루산염(barbiturates)제들이며, 그 대표적인 구조들을 [그림 1]에 나타내었다. 바비트루산염제는 술을 마신 다음 복용하면 대단히 위험하다. 바르비트루산염과 알코올은 상승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신경안정제(tranquillizer)들의 종류는 발륨(Valium)과 같이 작용이 약한 디아제팜(diazepam)류의 약품을 비롯하여 정신 질환 치료에 쓰는 클로로프로마진(chlorpromazine)과 같이 강력한 프로마진(promazine)류의 약품들이 있다(그림 2 참조).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의약품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심장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품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항암제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항균제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항생제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알레르겐과 항히스타민제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항궤양제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방부제와 소독제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호르몬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피임제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단백동화 스테로이드
[Chemistry/생활 속 화학] - 의약품 화학 | 진통제 - 1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