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화학실험 | PCR & DNA Gel Electrophoresis TIP 1. PCR을 이용하여 DNA를 증폭한 후 Agarose gel electrophoresis를 통해 DNA를 분리한다. 2. PCR의 원리를 이해하고 전기영동에 이용된 시약의 특성을 이해한다. PCR 유전자를 분석하고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복잡한 전체 genome중에 연구 하고자 하는 유전자가 희귀하다는 것인데, PCR은 특정 DNA Sequence의 copy수를 기하 급수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PCR을 소개하기에 앞서서 간단히 분자 생물학적인 사항을 review해 보면 먼저 DNA의 구성을 살펴보면, DNA는 다음과 같이 phosphate group(인산기) - sugar(당) - base(염기)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 nucleotide라는 모듈이 쌍으로 .. Biology/생화학 2019. 10. 18. 생화학개론 | 세포의 구조 TIP 1. 세포를 구성하는 원소 2. 원핵 세포 3. 진핵 세포 세포는 생물의 최소 생명활동 단위인 막구조물로 싸여 있고 내부에 유전정보 담체로 DNA와 그 발현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 내부가 조직화되지 않은 원핵세포(procaryotic cell)와 막으로 포장된 다수의 세포소기관(organella)을 가지는 고도로 조직화된 진핵세포(eucaryotic cell)로 분류된다. 바이러스는 중심부에 유전자로 DNA나 RNA를 가지며 이것이 단백질의 외피로 싸여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래서 스스로의 물질대사 능력이 없어 다른 생물의 세포 내에 기생하여야만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세포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세포의 구조와 기능 (1) 세포를 구성하는 원소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복잡하게 조직화되.. Biology/생화학 2019. 10. 13. 생화학개론 | 피부계(Skin) TIP 1. 피부계(Skin) 2. 피부의 표면과 내면 3. 피부의 구성 4. 피부의 구조 5. 피부의 생성과 작용 6. 피부와 진액 7. 피부의 기능 8. 피부 부속 기관 9. 피부의 작용 1. 피부계(Skin) 피부는 우리 몸의 가장 바깥에 있으면서 외부로부터 모든 자극을 받아들이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조직이다. 광선, 온도와 습도, 바람,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 속의 성분과 기운, 물리적. 화학적 자극 등 밖으로부터 부딪혀오는 모든 것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피부이다. 피부는 모체에서 뇌와 함께 형성되며, 신체의 가장 겉면에 존재하고, 생체의 여러 기관과 동적(動 的) 평형을 유지하고,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내부 기관을 보호하고 생명과 아름다움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면적은 여성의 경우 약.. Biology/생화학 2019. 10. 10. 생화학개론 | 물 및 산 염기의 화학 TIP 1. 물의 화학적 특성 (1) 물의 분자구조와 성질 (2) 수소결합 2. 산과 염기 (1) 물의 해리와 pH (2) 적정곡선 3. 완 충 액 (1) 완충액의 개념 (2) 생체에서의 pH 조절기구 물은 세포 전체 중량의 70∼90%를 차지하는 생물체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며 생명에 필수적인 것이다. 세포가 소비하는 영양물질, 그것을 산화하는데 필요한 산소, 그 결과 생기는 노폐물은 모두 물에 용해되어 운반된다. 물은 생체의 용매로서 우수한 성질과 특이한 성질이 가지고 있다. 물 분자의 기하학적 및 용매로서의 특성은 생체계의 특성을 결정하는데 주된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생체성분들은 물에 용해되어 산이나 염기로 작용할 수 있는 원자단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의 생물학적 활성은 대부분.. Biology/생화학 2019. 10. 9. 생화학개론 | The Dynamic Cell TIP 1 분자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 진화 2 생물체 속의 분자(molecules)들 3 세포의 구조 4 세포의 생명 주기 5 세포에서 조직으로 6 분자 세포 생물학: 세포에 대한 전반적인 관점 생물체는 기관(organs)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기관들은 조직(tissues)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러한 조직들은 세포(cells)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세포들은 분자들(molecules)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분자들은 여러 가지 메세지들을 기관에서 기관으로, 세포에서 세포로 옮겨주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여러 가지 관계가 생겨나고, 서로 자신들의 역할이 생기게 된다. 본문에서는 생물학에 있어서 세포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대강의 틀을 소개하고자 한다. 분자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 진화 우리가 알고.. Biology/생화학 2019. 10. 6. 생화학개론 | 공유결합과 비공유결합 대부분의 세포에서 세포 무게의 약 70~80%를 차지하는 것이 물이다. 약 7%는 무기이온(inorganic ions)과 뉴클레오타이드(nucleotide), 아미노산(amino acid)과 같은 작은 분자들이 차지 한다. 이런 작은 분자들은 실험실 내에서 화학적으로 합성되기도 한다. DNA, RNA, protein과 같은 거대분자(macromolecules)도 일반적인 화학의 법칙을 따르며,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분자 세포 생물학에서는 거대분자를 이루는 작은 분자들의 특징을 통해 개체와 세포의 기능과 구조를 설명하여 이해를 돕고자 한다. 처음에는 분자 내에서 원자를 연결시켜 주는 공유결합(covalent bonds)을 소개하고, 그 다음으로 보다 큰 분자 내의 원자와 서로 다른 분자사이에 작용하.. Biology/생화학 2019. 10. 6. 목초생리생화학실험 | Tall fescue agrobacterium 형질전환 Agrobacterium 형질전환 외래 유전자가 작물 내로 도입되는 현상은 토양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인 아그로박테리움을 볼 수 있다. 이 미생물은 토양속의 양분이 부족해지면 식물에 침투하여 기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때 자신이 가진 플라스미드 DNA의 일부(T-DNA라고 불리는 부분)를 절단하여, 이 유전자를 식물의 genome내에 도입하여 생장조절제와 아미노산을 만들도록 한다. 식물체의 줄기 혹은 뿌리에 근두암종병(Crown gall)이라는 비정상적인 혹이 생기는 이유는 아그로박테리움의 유전자가 식물체에 옮겨져 생물생장조절제의 작용에 의해 세포분열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신의 유전자중 일부를 식물에 옮기는 현상을 알아낸 과학자들은 유용한 유전자를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하여 식물에 도입하려 하.. Biology/생화학 2019. 10. 2.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