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백질의 생화학 | 펩타이드(Peptide) TIP 1. 펩타이드(peptide)의 생의학(生醫學)적 의의 2. 펩타이드(peptide)의 구조 3. 펩타이드(peptide) 혼합물의 분리 1. 펩타이드(peptide)의 생의학(生醫學)적 의의 펩타이드(peptide)(peptide)란 쉽게 말해 아미노산끼리 결합하여 생성된 물질을 가리킨다. 레닌져에서는 펩타이드(peptide)를 ‘아미노산의 사슬’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펩타이드(peptide)를 이루는 아미노산 사이의 결합을 펩타이드(peptide) 결합(peptide bond)이라 칭하며 펩타이드(peptide) 결합은 일종의 아미드 결합(amide bond)이다. 아미드 결합이란 아민(NRH2) 또는 암모니아(NH3)와 카르복시기(-COOH)간의 반응의 산물로 생겨난 결합으로서 여러분 주위에.. Biology/생화학 2020. 1. 5. 단백질의 생화학 | 아미노산(Amino Acid) TIP 1. 아미노산의 생의학(生醫學)적 의의 2. 아미노산의 구조 및 종류 3. 아미노산의 일반적인 화학반응 1. 아미노산의 생의학(生醫學)적 의의 여러분이 이미 일반생물학에서 공부한 바와 같이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단위이다. 그 밖에 아미노산 자체의 형태로도 체내에서 많은 역할을 한다. glycine이나 glutamic acid 같은 아미노산들은 신경계에서 신경신호의 전달에 관여하기도 한다. 필수 아미노산이란 인간의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식사를 통해 섭취해야만 하는 아미노산들을 말한다. 아미노산의 대사(metabolism)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어떤 아미노산의 decarboxylation의 산물로는 histamine과 GABA 같이 중요한 생물학적인 기능을 가지는 아민이.. Biology/생화학 2020. 1. 1. 생화학개론 | 다양한 비타민의 종류와 역할 TIP 1. 비타민의 정의 2. 비타민의 필요성 3. Type of Vitamins 비타민(vitamin)은 신체의 건강유지나 발육, 성장에 필수적인 것으로 미량으로 유효한 화합물이며 hormone과는 달리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으므로 음식물에서 충분히 섭취하여야 한다. 비타민이 음식물 중에 함유되어 있지 않거나 흡수가 충분하지 않으면 결핍증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에는 사망하기도 한다. 비타민은 크게 지용성 비타민(fat-soluble vitamin)과 수용성 비타민(water soluble vitamin)으로 분류된다. 섭취 후 체내에서 비타민으로 변화하는 물질을 프로비타민(provitamin)이라 한다. 또 일반적으로 인간이나 포유동물의 체내에서 합성할 수 있어서 반드시 외부에서 섭취할 필요가 없으나 일.. Biology/생화학 2019. 12. 26. 생화학개론 | 생체 에너지론(Bioenergetics) TIP 1. 생체 열역학(Bioenergetics and Thermodynamics) 2. 고에너지 화합물(The High-Energy Biomolecules) 생물은 환경으로부터 섭취한 화합물의 화학에너지를 적절한 형태로 전환하여 이용함으로써 생명현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생체는 여러 가지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은 저마다 생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내게 된다. 모든 생물학적 반응에는 에너지 전환이 포함된다. 산화과정에서 방출된 에너지와 환원과정에 이용되는 에너지는 동일한 형태의 것으로서 저장, 이용된다.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화학반응을 대사(metabolism)라 하는데 살아 있는 세포 중에서는 물질의 합성대사(anabolism)와 분해대.. Biology/생화학 2019. 12. 23. 생화학개론 | 세포에 존재하는 분자 TIP 1. 작은 분자는 에너지를 운반하고, 신호를 전달하며, 큰 분자로 결합된다 2. 단백질은 세포 구조를 이루며, 세포가 하는 대부분의 일을 담당한다. 3. 핵산은 적절한 시간과 적당한 장소에서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암호화된 정보를 갖고 있다. 4. 유전체는 염색체에 모여 있고, 세포분열 동안 복제된다. 5. 돌연변이는 유익하거나 유해하거나 또는 영향이 없을 수도 있다. Molecular cell biologist (분자 세포 생물학자)는 cell의 두드러진 특성을 분자 수준에서 연구한다. 예를 들어, 큰 molecule의 조립 (assembly), 큰 molecule 상호 간의 결합, 특정 chemical reaction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catalytic effect (촉매 효과), 그리.. Biology/생화학 2019. 12. 19. 생화학개론 | 세포의 다양성과 공통성 TIP 1. 세포로 시작되는 생명 2. 세포의 다양성과 공통성 세포로 시작되는 생명 인체를 형성하는 cell(세포)도 human(인간)처럼 성장하고 번식하며 정보를 처리하고 자극에 반응 하며 일련의 화학 반응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능력을 생명이라고 정의한다. Human을 포함한 multicellular organism(다세포 생물)은 10 억 또는 1 조개 정도의 cell을 가진 복잡한 구조로 이 루어져 있는 반면, 하나의 cell로 구성되어 있는 생물도 있다. 그리고 단순한 unicellular organism(단세포 생물)도 이러한 생명 현상을 대표하는 모든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cell을 생명체의 기본 단위로 간주하고 있다. 21 세기에 이르러 cell의 구성, 구조 및 상호 작용에 관한 홍수.. Biology/생화학 2019. 12. 16. 생화학개론 | 아미노산의 대사 TIP 1. 단백질의 소화 2. 세포내 단백질 분해 3. 아미노산의 분해와 생합성 4. 아미노산 산화와 Urea 생산 5. 아미노산 대사의 다른 생성물들 6. 질소평형 7. 각종 아미노산의 대사와 선천적 대사이상 8. 특수 아미노산의 대사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peptide 결합으로 연결된 polypeptide이므로 위와 소장에서 가수분해되어 아미노산으로 된 다음 체내에 흡수된다. 흡수된 아미노산은 purine이나 pyrimidine 등의 핵산염기나 heme 그리고 조직단백질 합성에 이용된다. 간에서 아미노산의 아미노기는 아미노기 전이반응으로 α-케토산에 전이되어 새로운 아미노산을 만들거나 요소로 되어 배설된다.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는 탈탄산반응으로 이산화탄소로 제거되고 나머지 아민화합물은 polyamin.. Biology/생화학 2019. 12. 7. 생화학개론 | 핵산의 화학과 대사 TIP 1. 핵산의 구성성분 2 RNA와 DNA 3. Purine과 pyrimidine의 대사 핵산은 생물의 증식이나 생명의 유지에 필수적이며 각 세포 특유의 단백질을 합성하는데 필요한 유전정보를 보존, 전달, 번역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핵산은 nucleotide의 중합체(polymer)이며 nucleotide는 purine 염기(adenine, guanine), pyrimidine 염기(cytosine, thymine, uracil), 인산, ribose 또는 2-deoxyribose로 구성되어 있다. 오탄당으로서 2-deoxyribose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핵산을 DNA(deoxyribonucleic acid)라 하며 ribose를 가지는 핵산을 RNA(ribonucleic acid)라 한다. D.. Biology/생화학 2019. 12. 2. 생화학개론 | 단백질 정제 TIP 1. 서 론 2. 단백질 정제의 목적 3. 단백질 용해 과정 4. 단백질의 안정화 5. 단백질의 분리 정제 및 농축 6. 정제된 단백질의 순도 검정 7. 정제된 단백질의 변형 및 오염물질에 대한 처리 단백질은 특이성 있는 효소의 촉매작용과 산소나 금속이온 등의 운반 그리고 세포 대사의 조절, 병인체로 부터의 방어, 구조단백질로 생체의 특정 형태 유지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한다. 단백질들은 20여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있지만 다양한 기능만큼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단백질은 구조와 기능이 다양함으로 몇 개의 부류로 분류하기는 어렵지만, 단백질의 3차구조에 따라 구형을 이루는 구상단백질과 섬유형을 하고 있는 섬유상 단백질로 나뉠 수 있다. 구상 단백질들은 헤모글로빈이나 사이토크롬 c와 같이.. Biology/생화학 2019. 11. 29. 생화학개론 | 원심분리기 TIP 1. 개 요(분획원심법) 2. 기본 원리 3. 침강 속도(Sedimentation Velocity) 4. 원심분리기의 구조 5. 원심분리법 (centrifugation) 6. 원심분리 이론 7. 원심분리 방법 8. 밀도기울기 원심분리 고려사항 9. 원심분리기의 성능에 따른 분류 10. 원심분리기의 종류 11. 기타 원심분리 관련사항 12. 원심분리기 사용시 주의사항 13. 산업적 응용 14. 원심분리기의 올바른 관리 방법 분획원심법 세포는 몇 천 가지나 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어떤 단백질의 성질, 아미노산 조성, 그리고 아미노산 배열이 결정되기 이전에 그 단백질은 순도가 높은 시료를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은, 단백질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전하, 크기,.. Biology/생화학 2019. 11. 24. 생화학개론 | 미생물 에너지 원의 DNA Polymerase TIP 1. Promoter 2. 미생물의 물질대사 DNA의 복제에는 DNA polymerase(Dpase)가 관여한다. 오늘날 세종류(Ⅰ,Ⅱ,Ⅲ)의 Dpase가 알려져 있다. Dpase Ⅰ은 아마 1100개의 아미노산으로 된 기본의 polypeptide로 되었고, 1956년에 Kornberg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Kornberg의 DNA polymerase(오늘날의 DNA polymerase Ⅰ)는 DNA를 주형에 DNA를 합성하여 만들어진 DNA의 조성이나 nucleotide 배열은 주형 DNA의 그것과 유사하다. 이 효소는 대장균당 약 1만 분자가 존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네 종류의 dXTP를기질로 하여 primer DNA, 주형(template) DNA, Mg2+ (또는 M2+)존재하에서 .. Biology/생화학 2019. 11. 21. 생화학개론 | 유전자 발현의 조절 TIP 유전자 발현의 조절 1. 유전자의 선별적 발현 원핵생물의 유전자 발현 조절 1. 세균의 오페론 2. 원핵생물에 존재하는 오페론 3. 전사 조절 물질 4. 전사조절 단백질들의 활성 조절 5. 테리오파지 람다의 유전자 발현 조절 6. 번역 단계에서의 유전자 발현 조절 진핵생물의 유전자 발현 조절 1. 진핵생물의 전사개시는 박테리아와 네 가지 면에서 다르다. 2. RNA 중합효소와 보편전사인자 3. 유전자 조절단백질의 결합부위 4. 뉴클레오솜에 응축된 프로모터 5. 진핵생물의 유전자는 단백질 조합에 의해 조절된다. 6. 하나의 단백질이 서로 다른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7. 조합조절에 의해 서로 다른 세포유형이 형성될 수 있다. 8. 유전자발현의 양상은 딸세포에 전달된다 9. 진핵생물의 세포분.. Biology/생화학 2019. 11. 18. 생화학개론 | Introduction to DNA - 모든 살아 있는 세포에서 볼 수 있고 유전형질을 전달하는 복잡한 유기화학적 분자구조 TIP 1. DNA의 물리적 특성 2. DNA의 구조 3. 유전물질로서의 DNA 4. DNA 복제 5. 유전정보의 매개체로서의 DNA: 유전암호의 전사 및 번역 6. DNA의 RNA로의 전사 7. 단백질 합성(유전암호의 번역) 8. 중심원리 9. 유전암호의 번역 10. 유전암호의 돌연변이 11. 돌연변이의 종류 12. DNA 회복 13. 유전자의 조절 DNA(deoxyribonucleic acid). 눈에 보이지도 않는 이 작은 물질은 만물의 영장인 인간을 비롯하여 매우 하등한 박테리아에 이르기까지 생물의 생장과 진화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는 유전에 있어서의 key이다. 2차 대전 직후 전 세계의 많은 생리학, 결정학, 화학자들의 관심은 DNA의 구조를 밝히는 데 집중되었다. 그 때까지만 하더라도 이들은 .. Biology/생화학 2019. 11. 14. 생화학실험 | Bradford assay TIP 미리 농도를 알고 있는 Standard 용액을 이용하여 농도를 모르는 sample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Bradford Assay 용액의 단백질 농도 정량법은 생화학 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기술이다. 정량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들이 개발되었으나 민감도가 각각의 측정법마다 다르고 반응에 사용하는 시약들이 특정한 아미노산과만 반응하기 때문에 한가지로 모든 단백질의 농도를 정량하기는 힘들다.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 흡광도를 측정하여 standard물질인 BSA(Bovine Serum Albumin)나 BGG(Bovine Gamma Globulin)를 기준으로 자신의 시료에 단백질이 얼 마만큼 들어있는지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단백질을.. Biology/생화학 2019. 11. 10. 생화학실험 | Protein Purification & SDS-PAGE TIP Protein Purification을 이해하고 SDS-PAGE 를 이용하여 Protein 을 정제해본다 전기영동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은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와 마찬가지로 단백질분자의 전하를 이용한 분리, 분석법이다. 단백질 분자는 보통 등전점 이외의 pH에서는 양 또는 음의 전하를 가지고 있어서 일정한 pH의 완충액 중에서 직류전류를 가하면 양극 또는 음극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단백질 분자의 전하량, 분자의 크기에 따라 전장 중에서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 점을 이용하여 분리, 분석하는 것이다. 단백질을 여과지, 전분이나 agarose와 같은 다당류 gel, polyacrylamide gel 등과 같은 것을 담체로 하여 전기영동하면 단백질은 band를 형성하여 분리되므로 분리, 분.. Biology/생화학 2019. 11. 6. 생화학실험 | Preparation of competent E-coil & transformation TIP DNA가 유전적 형질 전환을 한다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서 Competent된 E-coli를 만든 후 transformation을 시킨다. Competent cell 정상적인 bacteria에 화학적 처리를 하여 DNA가 잘 들어갈 수 있게 만든 cell을 의미한다. ligation을 마친 DNA나 circular 형태의 Plasmid를 증폭하기 위해서, 혹은 cloning을 끝내고 완성된 vector가 있는데 그것을 expression하기 위해서 E.coli에 transformation을 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E.coli host cell을 competent cell이라고 부릅니다. 화학 처리에 쓰이는 시약은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calcium chlor.. Biology/생화학 2019. 11. 2. 생화학실험 | Digestion, Extraction and Ligation of DNA TIP 제한효소와 플라스미드에 대해 알아보고 DNA 재조합 과정을 이해한다. 유전정보를 가지는 거대분자인 DNA 분자, 즉 유전자를 인간의 손으로 시험관내에서 자유로이 절단하거나 붙여 어떤 생물의 염색체 중에 삽입하여 목적으로 하는 특정의 유전자를 증식시키고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 졌다. 이와 같이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어떤 생물의 유전자에 다른 생물의 유전자를 삽입하고 그 유전자를 단일 clone으로 증식시키거나 발현시키는 것을 DNA 재조합 또는 유전자 조작이라고 한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생물학의 연구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원하는 유전자 만을 증폭하거나, 특정 유전자를 다른 유전자와 재조합 시킬 수 있으므로 그 유전자의 역할 구명에 큰 이바지를 하고 있다. 그런 유전자의 역할은.. Biology/생화학 2019. 10. 28. 생화학실험 | DNA purification & DNA Gel Electrophoresis TIP 1. DNA, RNA, Protein 등의 혼합물, RNA, Protein과 같은 contaminants를 제거하여 Pure DNA를 얻는다. 2. 미생물에서 Plasmid DNA를 분리하고 PCR을 이용하여 DNA를 증폭하고,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DNA를 절단한 후 Mini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법에 의해 DNA를 분리하고 확인하여 본다. 3. Plasmid DNA를 이용하여 미생물 형질전환을 한 후 미생물 형질전환체를 선별하는 기술까지 분자생물학을 공부하는데 필수적인 실험 기술을 습득한다. Plasmid DNA 분리법 원핵세포에는 염색체 DNA 외에도 작은 DNA가 발견된다. 보통 플라스미드(Plasmid)라 불리는 이들 DNA는 염색체 DNA보다 상당히 작고(4kb~100kb) 스스로 복.. Biology/생화학 2019. 10. 21.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