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료공학실험 | STS 304, S45C, AZ91HP의 조직 관찰 실험 방법 실험순서 : Sectioning(시편채취) ⇒ Mounting(마운팅) ⇒ Grinding(그라인딩) ⇒ Polishing(폴리싱) ⇒ Etching(엣칭) ⇒ 현미경관찰 (완료) 1. Sectioning 시편을 적당한 크기로 자른다. AZ91은 쇠톱으로, STS304는 함석가위, S40C는 파인커터를 사용한다. 시편 절단 시 절단면의 조직이 변형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즉 열과 응력에 의한 조직의 변형이나 기계적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속도나 응력조절을 해야 한다. 현미경 연구에서 견본의 선택은 매우 중요한데 파손을 조사할 때 파손 부분에서 가능한 가장 가까운 부분을 견본으로 선택해서 정상적인 부분과 비교 한다. 그 물질이 비철금속, 합금 그리고 비 열처리 강처럼 연질의 부드러운 .. Engineering/재료 공학 2023. 12. 27. 화학생물공정실험 | E. coli 와 Yeast의 Cell Culture 실험 요약 E. coli 와 Yeast Cell Culture의 생식과정을 살펴보고 Spectroscopy를 통해 이를 정량화하여 각 Cell Culture의 지수적 증식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초기의 Lag Phase 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지수적 증가를 따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수 증가적 모델을 통해 각 Cell Culture의 Specific Growth Rate 과 Doubling Time을 구할 수 있었다. 한편 계산된 E. coli 와 Yeast 의 Specific Growth Rate과 Doubling Time을 비교함을 통해 본 실험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험의 오차를 예측해 보았다. 이외에도 생물학 실험에서 주로 사용되는 멸.. Engineering/화학생물공정 2023. 4. 20. 미생물실험 | Gram staining과 현미경을 이용한 관찰 TIP 현미경을 이용하여 gram staining을 한다. Gram positive 와 negative bacteria의 차이점 특 성 Gram 양성균 Gram 음성균 1. 세포벽 구조 두께(15∼80nm), 단층(single layer) 두께(15∼80nm), 삼층(triple layer) 2. 세포벽 조성 저지질(1∼4%). Peptidoglucan은 단층에 존재한다. 주성분은 세균 세포의 건물량의 50% 이상, teichoic acid가 있다. 고지질(11∼22%). Peptidoglucan은 내부 강인층에 존재한다. 주성분은 세균 세포의 건물량의 10% 정도, teichoic acid가 없다. 3. Penicillin에 대한 감수성 보다 많은 감수성이다. 보다 적은 감수성이다. 4. 염기성 색소에.. Biology/미생물학 2023. 3. 23. 재료공학기초실험 | 비커스 경도 TIP 1. 각종 공업재료의 비커스경도 측정 2. 각종 공업재료의 경도와 강도와의 관계를 이해 3. 각종 금속재료의 가공상태, 열처리 및 표면처리 상태의 재료특성을 평가 실험 배경 대면각이 136° 인 추가 다이아몬드 입자인데 1~50㎏의 하중을 압력을 가하여 물질의 밀도를 높여 오목부의 대각선을 구한다.오목부의 면적비와 하중을 비커스 경도라고 하고 이를 측정하는 시험을 비커스 경도 시험 이라고 한다. 박판, 표면층, 도금피막, 미소부분 등에는 최저 1~25g까지의 하중을 가하는 경우도 있다. 비커스 경도는 HV로 표시한다. 비커스경도 시험의 경우에 압입자국의 대각선의 길이측정은 접안경과 계측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즉 압입자국 측정의 정확성과 시험기 자체의 성능 등이 경도 측정값의 오차를 결정하.. Engineering/재료 공학 2023. 1. 20. 일반생물학실험 | 식물세포 관찰 TIP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기본적인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현미경에서 관찰되는 진핵세포의 기본적인 구조를 구별할 수 있다. 표피 세포 식물체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세포로, 사람의 피부세포에 해당하는 세포이다. 표피세포는 보통 한 층으로 배열되어 표피조직을 이루고 있으며, 식물체 내 물질의 출입을 조절하고, 식물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잎에 있는 표피세포들에는 큐티클이 잘 발달해있어 외부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고 외부의 침입을 막는다. 우리가 손톱을 손질할 때 자주 이야기 하는 ‘큐티클’이 바로 여기서 말한 큐티클과 같은 것이며, 큐티클은 우리 몸에서도 이러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손톱을 손질할 때 큐티클 층을 제거하는 것은 건강상으로는 좋지 않다. 대부분의 식물은 표피세포에 이와 같은 큐티클..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2. 12. 16. 신소재공학실험 | 탄소강의 열처리 TIP 탄소 함유량이 다른 두 금속을 열처리 과정을 거치고 3가지 방법(노냉, 공냉, 수냉)으로 냉각시킨 후, 냉각 과정을 통한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고 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열처리 냉각방법 1. 노냉 : 강을 열처리한 후, 노 내에서 비교적 늦은 속도로 냉각 시키는 것 2. 공냉 : 강을 고온에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화 시킨 후 공기 중에서 냉각 시키는 것 3. 수냉 : 열처리한 탄소강을 노에서 빼내어 물에 집어넣어 냉각 시키는 것 실험 방법 1. 시편 준비 실험을 위해 봉상의 SM20C와 SM45C를 쇠톱을 이용하여 약 1.0cm 정도의 시편으로 3개씩 자른다. 이때, 쇠톱과 강의 마찰로 인해 잘려진 시편이 뜨거울 수 있으니 주의한다. 시편 관찰의 용이함을 위해 톱으로 잘라 생긴 거친 면 중..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22. 12. 6. 일반생물학실험 | 호밀 이삭을 이용한 감수분열 관찰 TIP 1. 호밀이삭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한다. 2. 감수분열 과정을 이해한다. 3. 호밀이삭의 감수분열 모습을 현미경으로 관찰 할 수 있다. 감수분열감수분열 과정은 체세포분열 과정과 같은 단계(전기→중기→후기→말기)를 거치나, 체세포분열과 달리 두 번 연속해서 분열(제1분열, 제2분열)하여 염색체수가 체세포의 반으로 줄어들고 4개의 딸세포가 형성된다. ① 제1분열(이형분열) : 염색체수가 반으로(2n→n) 줄어든다. 유전물질 의 양은 간기에 2배로 늘어났다가, 후기에 다 시 반이 되어 원래의 양이 된다.- 간기 : DNA가 복제되어 유전물질의 양이 2배가 된다.- 전기 : 염색사가 염색체로 변하고, 상동염색체 한 쌍이 접합하여 2 가염색체를 형성한다...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1. 7. 일반생물학실험 | 삼투압에 따른 적혈구와 양파표피세포의 변화 TIP 광학현미경의 사용방법을 익히고 세균, 동물 및 식물 세포를 비교 관찰한다. 모든생물은 원핵세포 또는 진핵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원핵미생물인 세균은 한개의 원핵세포로 되어 있으며, 크기가 작고 핵막과 세포내 소기관이 존재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이다. 한천배지 상에서 관찰되는 colony는 1개의 세균세포가 수회의 분열을 통해 생성된 것이다. 세균의 세포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크게 bacillus(막대기 모양), coccus(구형), 또는 spirillum(나선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동․식물세포는 핵이 핵막에 둘러싸여 세포질과 분리되어 있고, 세포질 내에는 소포체,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액포 같은 세포내 소기관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동물세포는 식물세포와는 달리 세포막 외부에 세..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10. 21. 일반생물학실험 | 식물 세포에서의 삼투압 TIP 식물 세포에서 삼투에 대한 형태변화 차이를 확인한다. 식물 세포의 구조 1. 세포벽 : 식물에서 세포의 기능을 유지하고 형태를 보호하며 지나친 물의 흡수를 막는 구조 ① 1차 세포벽 : 얇고 유연성이 있고 팽창이 가능한 층으로 세포가 생장하면서 만들어진다 ② 2차 세포벽 : 세포가 완전히 성장한 후 1차 세포벽 안쪽에 형성되는 두꺼운 층이다. 물관 세포와 같은 세포는 세포벽을 강하게 만들고 방수가 가능하게 하는 리그닌을 포함하는 2차 세포벽을 갖는다. 2. 액포 : 성숙한 세포 부피의 30%이상을 차지하며 특정 세포 유형 및 조건에서는 세포 부피의 90%이상까지 늘어날 수 있다. 액포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질과 액포를 구분하는 막을 액포막이라고 한다. 3. 원형질 : 동식물의 세포에서 살아 있는 부..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8. 22. 일반생물학실험 | 담수 조류의 관찰 TIP 담수조류의 내부조직을 관찰하여 조류의 종류 및 형태와 일반적인 특징을 이해한다. 조류를 간단한 문장으로 정확하게 정의하자면 산소를 발생하며 광합성을 하는 생물 중에서 선태식물과 양치식물 그리고 종자식물을 제외한 전부라고 할 수 있다. 조류는 일반적으로 수중생활을 하며 엽록소를 갖고 있는 엽상식물이다. 물 속에 살고 있는 식물에는 미역, 다시마와 같은 거시적인 생물도 있지만, 현미경을 사용해야 관찰이 가능한 미시적인 생물도 있다. 이러한 생물들은 대부분 엽록소를 가지고 동화작용을 하고, 부산물로 산소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현미경적인 조류들은 단세포, 다세포체, 혹은 군체로서 생활하며, 고등식물처럼 세포들이 분화하여 조직을 형성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분화되어 있지 않는 조류들의 구조체를 흔히 엽상체라..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5. 12. 신소재기초실험 | 탄소강의 함량에 따른 미세구조의 변화 TIP 시편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한 시편의 Mounting, Polishing, Etching 등의 과정을 익힌다. 또한 금속의 내부조직을 연구하는 데에 가장 많이 쓰이는 현미경으로 금속입자의 크기, 모양, 배열등의 미세구조 관찰을 통해 탄소의 함량에 따른 미세구조의 변화를 습득한다. 과공석강 서냉시 조직변화 1.2%C의 과공석강을 950℃(그림 1의 g점)에서 충분한 시간동안 유지하게 되면 공석강에서와 마찬가지로 균일한 오스테나이트로 된다. 이 강이 그림 4의 h점 온도로 서냉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서 초석 시멘타이트(proeutectoid cementite)가 핵생성 되어 성장하게 된다. 다시 이 강이 j점까지 냉각되는 동안에 초석 시멘타이트는 계속 성장해 가면서 오스테나이트에 있는 탄소를 고..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20. 4. 29. 미생물 실험 | 현미경의 관찰 및 염색 - 여러 가지 미생물 염색법 TIP 다양한 균들과 곰팡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염색 및 관찰하여 보고 각각의 특징을 알 수 있다 Staining의 종류 1. 염색의 이유 미생물은 무색투명하고 곰팡이나 효모에 비해서 크기가 작고 명암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쉽지 않으므로 염색을 해서 관찰하면 쉽게 검체 내의 세균의 유무와 균 양을 간단히 알 수가 있고 세균의 염색상과 형태를 보아서 균종이 추정되어 세균의 동정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세균 감염증 진단에 도움이 된다. 또한 조기에 항생물질의 선택방침을 결정할 수 있다. 현미경으로 세균을 관찰할 때는 살아있는 상태로 검경하는 신선표본과 고정한 상태에서 색소로 염색하여 검경하는 고정염색표본이 있다. 신선표본은 세균의 운동상태나 형태, 크기 등이 관찰되고, 고정염색표.. Biology/미생물학 2020. 2. 23. 미생물실험 | 미생물의 현미경 관찰 Experiment 1. Gram positive/negative 1. 프레파라트 제작하기 ① 우선 준비된 4개의 슬라이드 글라스에 헷갈리지 않도록 펜으로 균주명을 적어놓는다. 그리고 프레파라트 제작 후 현미경 관찰과정에서 쉽게 균들을 관찰할 수 있게끔 펜으로 균을 놓을 곳의 뒷면에 원을 그려서 영역을 표시해준다. ② Smear – 4개의 튜브에 들어있는 각각의 균들을 Pipet을 이용하여 일정량( 을 각각의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놓는다. 사용한 피펫팁은 알코올램프에 살짝 데어주어서 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한다. ③ 알코올램프를 켜고 균이 올려진 슬라이드글라스의 뒷면을 알코올램프에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살짝 가져다대댄다. ④ Staining – 먼저 준비된 Crystal violet을 슬라이드글라스위의 균.. Biology/미생물학 2019. 12. 31. 일반생물학실험 | 원핵생물 현미경 관찰 - 미생물 : 그람염색(Gram Staining +,-) TIP 1. 세포는 모든 생물의 기능적, 구조적 기본 단위이다. 원핵 세포를 가진 세균들을 미생물 감별염색법 중 하나인 그람염색을 통하여 그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그람양성균과 음성균의 판정을 내린다. 2. 현미경의 원리, 종류, 사용법을 익힌다. 3. 미생물의 관찰 및 형태학적 특성을 알아본다. 4. 미생물의 염색의 목적과 원리를 알아본다. 5. 염색방법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본다. 그람 염색(Gram Staining) 세균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염색방법이며, 염색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차 염색의 탈색이다. 그람 염색 결과 자주색으로 염색되는 세균의 경우 그람양성균이며, 분홍색으로 염색되는 세균은 그람음성균이다. 이 때 양성과 음성은 전기적인 성질과는 관련 없으며 형태학적인 차이를 나타낼 뿐이다..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1. 5. 금속재료조직실험 | 탄소강 현미경 관찰 TIP 탄소강의 기계적 특성을 크게 좌우하는 금속의 조직 내 결정립의 크기를 측정하고 결정립의 경계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관찰용 시험편(절삭표면)을 채취하여 균일하게 연마하는 방법과 금속현미경의 사용방법을 익히면서, 상변태로 형성된 탄소강의 여러 미세 조직들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그 차이점과 미세조직의 변화를 통해 그곳에 나타나는 상, 결정립의 형상 및 분포상태, 크기 또는 결함 등을 측정하여 조직과 기계적 성질, 열처리 등과의 관계를 연구한다. 탄소강 1. 공석강 탄소강 내의 탄소의 조성이 0.76wt%C인 탄소강, 727℃에서 공석현상이 일어난다. 공석강의 상변태도에서 공석반응이 일어나는 점을 공석점이라고 한다. 2. 아공석강 탄소강 내의 탄소의 조성이 0.76wt%C보다 적은 탄소강이며 공업적으.. Engineering/재료 공학 2019. 10.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