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기화학실험 | Metal acetylacetone 착화합물의 합성 및 특성 규명 TIP 1. Metal-acetylacetone 착물의 구조 및 성질에 대해 이해한다. 2. Metal-acetylacetone 착물을 합성할 수 있다. 배위화합물(coordination compound) 배위화합물은 착화합물이라고도 하며 비어있는 오비탈이 많은 중심금속 이온에 리간드의 고립전자쌍이 배위결합을 통해 형성된다. 중심금속은 주로 원자번호 21번~30번의 전이금속이다. 리간드는 중성분자나 이온이 될 수 있다. 중심금속은 루이스 산, 리간드는 루이스 염기로 작용한다. 금속에 따라 고유의 배위수를 가지는데, 배위수란 중심금속과 리간드의 결합수 즉, 중심금속이 제공받는 비공유 전자쌍의 개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Co(NH3)4Cl2]+의 경우 NH3와 Cl- 모두 비공유전자쌍이 하나씩 있으므로 C.. Chemistry/무기화학 2020. 5. 29. 생화학실험 | Western Blotting - SDS-Page TIP 1. 단백질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기술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전체 단백질에서 특정 단백질만을 Detection 할 수 있다. 2. 본 Western Blotting은 뉴런으로 분화하기 전인 Neuroblastoma(Ne,신경모세포)를 사용해 신경모세포가 암이 되게 유발하는 단백질을 찾을 수 있다. Gel electrophoresis에 대한 세부적인 이론이 복잡하고 현재로서는 불완전할지라도, 그 기본적인 개념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전기영동 분석은 전하를 띤 입자들이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서 반대 부호를 가진 전극 쪽으로 이동하는 데서 기인한다. 입자들의 움직임은 주위의 molecular sieve로서 역할을 하는 gel matrix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지연된다... Biology/생화학 2020. 5. 28. 생태학실험 | 방형구법과 사각분법 현대 생태학에서는 생물군집을 밀도, 피도, 빈도, 생물량 등을 정량적으로 조사함으로써 그 특성을 파악하고 생물군집 사이를 비교한다. 이러한 자료조사를 통해서 생물군집을 비교할 수 있고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방형구법은 군집 내에서 사용하기 쉬우며 또한 충분히 개방적인 산림 군집에 대해서 적절하다. 사분각법은 각각이 넓은 간격으로 있거나, 또는 곧은 횡단선을 배열하기 어려울만큼 크고 밀집되어 있을 때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들은 2차원 서식지의 공간을 차지하는 식물 또는 동물의 군집에 적용할 수 있다. 방형구법 적어도 방형구법의 계획은 규정되어야 하고, 양적 자료를 포함한 유형도 결정되어야한다. 식물 군락이나 정착 동물 표본에는 종, 개체의 수, 그들의 피도 공간과 그것들에서 일어.. Biology/그외 생물학 2020. 5. 28. 사진 화학 | 감광성 물질 감광성 물질 광자들에 노출되었을 때 화학적 또는 물리적 변화를 일으키는 물질이다. 영상기기에 사용되는 감광성 물질은 광화학 물질, 광전도체 그리고 인광 물질의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되고 이들에 대한 예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광화학 물질은 광자들에 노출되었을 때 화학적 변화를 일으킨다. 대부분의 사진용 필름은 흑백효과를 나타내는 할로겐화은의 광 화학적 변화에 기초를 두고 있다.광전도체들은 빛에 노출되었을 때 전류가 흐르는 실리콘이나 게르마늄 같은 반도체이다. 영상기기의 광 검출기는 빛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광전도체들을 사용하는데 이 전기신호는 다시 상으로 현상된다. 인광 물질들은 고 에너지 광자나 전자선에 의해 들뜨게 되고, 다시 안정화될 때 가시광선의 파장을 방출하는 발광성 물질이다. 발광에는..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20. 5. 28. 화공기초실험 | 접촉각 표면에너지 측정 TIP 접촉각 측정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기초로 표면에너지를 계산하고 표면의 극성과 비극성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절댓값으로 환산하여 표면에너지 스펙트럼을 통한 표면의 화학적인 분포를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액체 내의 압력에 관한 정의를 이해한다. 액체표면의 특성은 분자간의 인력에 의존한다. 응집력은 분자 간에 작용하는 인력을 말하며, 부착력은 서로 상이한 분자 간에 작용하는 인력을 말한다. 표면장력은 액체의 표면을 단위면적만큼 넓히는 데 소요되는 일이다. 고체 표면과 접촉하고 있는 액체 표면은 부착력이 우세하면 접촉점에서 올라갈 것이고 응집력이 더 강하면 내려갈 것이다. 모세관 현상은 고체와 접촉하고 있는 액체 표면의 상승이나 하강 현상이다. 한 분자가 동일한 분자의 액체 bulk상에 존재..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0. 5. 27. 일반생물학실험 | DNA work TIP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고 plasmid DNA를 분리한다. 분리한 plasmid DNA를 형질전환을 시키고 배지에서 키운다. 배지에서 키운후 제한효소를 이용해 잘라낸뒤 전기영동을 시켜서 관찰한다. 미생물학 실험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가 DNA이므로 많은 양의 DNA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외부 DNA를 숙주 세포 내로 도입시키는 방법인 형질전환(Transformation)을 이용하는데 이 방법은 박테리아 세포에 물리적 내지는 화학적 자극을 주어 Plasmid DNA를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DNA가 세포 내로 들어가게 한 다음, 이들 형질전환 된 세포들을 배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처럼 DNA를 다량으로 얻는 것 이외에도 Librar..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5. 27. 일반화학실험 | 생활 속의 산염기 적정 - 식초 아스피린 제산제의 산과 염기의 농도 측정 TIP 1. 산-염기 적정 방법을 이용해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식초, 아스피린, 제산제의 산과 염기의 농도를 측정한다. 제산제나 아스피린 같은 약제는 물에 쉽지 녹지도 않고 중화 반응이 신속하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역적정 방법을 사용한다. 2. 산-염기 중화적정을 이용하여 식용식초, 아스피린, 제산제의 산과 염기의 농도를 알아낸다. 중화반응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물과 염을 생성하는 반응, 반응이 매우 빠르고, 화학양론적으로 반응 HCl + NaOH → NaCl + H2O 양잿물이라고 부르는 부식성이 강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역시 부식성이 강한 염산을 적당히 넣어주면 염화나트륨이 만들어져서 산과 염기의 부식성이 모두 없어져 버린 소금물이 된다. 지시약 용액에 산이나 알칼리 같은 화학종의 존재유.. Chemistry/일반화학 2020. 5. 27. 분석화학실험 | Na2B4O7중의 B2O3 정량 - 붕산 적정 TIP Na2B4O7에 산을 가하여 유리시킨 붕산의 H+ 이온을 NaOH로 중화하여 붕산을 정량한다. 중화 적정 중화반응을 이용하는 적정, 시료가 산성 물질일 때는 염기성 물질인 표준용액으로써, 염기성 물질일 때는 산성물질인 표준용액으로써 적정함. 종말점의 검출은 산염기지시약의 변색에 따르는 것이 편리하지만 그 중화반응의 당량점에서의 pH에서 정확하게 변색하는 지시약을 선택하여야 함. 일반적으로는 전기적정에 의하는 것이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Na2B4O7중의 알칼리를 정량하였는데, 만약 산의 소비량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HCl을 시료에 가해주면, 이 때는 붕산이 유리된다. 그런데 여기서 유리된 붕산은 매우 약산이어서 산으로 작용하지 못하지만, 이 용액에 글리세린(다가 알코올)을 넣어 주면 .. Chemistry/분석화학 2020. 5. 27. 일반물리학실험 | 회전운동에 의한 구심력의 측정 TIP 일정한 각속력으로 원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구심력을 측정하여, 이 힘의 크기가 회전반경과 회전속도와 어떤 관계인지 알아본다. 구심력 원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가 원의 중심을 향하는데, 가속도의 방향과 힘의 방향이 같으므로 원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도 원의 중심을 향한다. 이처럼 물체를 원운동 하게 만드는 힘을 구심력이라고 한다. 원운동에서 가속도의 크기는 이므로 구심력의 크기는 이 된다. 원운동을 하는 모든 물체에는 구심력이 작용한다. 구심력이 작용하지 않는 원운동은 없다. 이러한 구심력의 역할 을 하는 힘에는 실의 장력, 마찰력, 만유인력, 전기력이 있다. 먼저, 물체를 실에 매달아 원 운동시킬 때 구심력이 실의 장력이다. 만약 실을 끊으면 구심력인 실의 장력이 사라지므로 원운동을 할 수 .. Engineering/물리학 2020. 5. 27. 신소재공학실험 | 용접탄소강의 미세구조관찰과 경도측정 TIP 용접 탄소강을 연마, 광택연마, 부식 등의 과정을 거쳐서 미세한 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그곳에 나타나는 상, 결정립의 형상 및 분포상태, 크기 등을 통해 금속의 재질 및 특징을 알아본다. 탄소강의 표준 조직 강을 단련하여 불림 (normalizing)처리, 즉 표준화 처리한 것을 말한다. ① ferrite : α철에 최대 0.025% 까지 탄소가 고용된 고용체이며, α고용체라고도 한다. 극히 연하고 연성이 크나 인장강도는 작고 상온에서 강자성체이다. 파면은 백색을 띠며 순철에 가까운 조직이다. ② peaelite : 탄소 0.85%의 γ고용체가 723℃에서 분열하여 생긴 ferrite와 cementite의 공석정으로 ferrite와 cementite가 layer상으로 나타나는 강인한 조직이..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20. 5. 27. 연료전지실습 |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의 성능 측정 TIP 연료전지의 기본 원리와 그중 PEMFC의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 연료전지 오늘날 세계 에너지 수요의 80%에 달하는 화석연료에는 한정된 양과 심각한 환경오염의 유발이라는 문제점이 있어서 끊임 없이 대에 연료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석유 화학 회사들의 추산에 의하면 석유와 천연 가스의 생산량은 2015~2020년경 정점에 달한 후에 점점 감소할 것이라고 한다. 환경문제 또한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해수면 상승, 산성비, 오존층 고갈 노천 채탄(採炭)에 의한 삼림과 농지의 파괴등으로 세계적 환경 피해의 총액은 연간 5조 달러 정도로 추산된다. 이러한 화석 연료의 대체를 위해서는 수소에너지, Solar Cell, Biomass, 수력, 풍력 발전등의 친환경적인 에너지들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대체.. Engineering/그외 공학 2020. 5. 27. 유기화학실험 | Sulfanilic acid의 합성 - Sulfonation TIP 1. aniline에 sulfuryl기(황산)를 도입하여 sulfanilic acid를 합성 하여보자. 즉, Aniline으로 sulfanilic acid를 생성하면서 Sulfonation과 치환기의 역할을 이해한다 2. 설폰화(sulfonation)은 유기 합성 화학에서 매우 중요한 단위 반응 중의 하나이다. 특히 방향족 화합물은 비교적 쉽게 직접 설폰화가 가능하고, 도입된 설폰기(-SO3H)를 다른 치환기로 치환시켜 유기화합물의 중간체를 얻는데 편리하므로 흔히 사용되는 반응이다. 본 실험에서는 aniline에 진한 H2SO4 또는 발연황산을 작용시켜 para- 위치에 설폰기를 도입시키는 설폰화반응을 이해한다 술폰화 반응 유기화합물의 분자에 술폰산기를 도입하는 반응이다. 술폰기의 일반식은 -SO.. Chemistry/유기화학 2020. 5. 26. 생화학실험 | Western Blot TIP 항원에 대한 항체의 특이적 결합을 이용하여 단백질 혼합물로부터 어떤 특정 단백질을 분석하는 western blot의 원리를 이해하고, 단백질의 SDS-PAGE분리, 단백질의 gel로부터 membrane으로의 transfer, 항체반응 및 항체에 부착된 효소의 반응에 의한 발색반응 등의 실험기법을 습득한다. Immunoblot(western blot)의 원리 immuno blot이라고도 부르는 western blot은 antigen과 antibody사이의 특이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시료 속에 위치한 단백질을 정성적/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단백질이 transfer되어있는 membrane에 원하는 단백질의 antibody를 넣어주면 항원 항체반응을 일으켜 antibody가 원하는 단백질 band에.. Biology/생화학 2020. 5. 26. 물리화학실험 | 화학반응의 온도의존성 TIP 반응속도상수에 미치는 온도효과를 알아보는데 있으며, 반응속도 상수-온도 자료로부터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하게 될 것이다. 반응 속도 상수 반응이 일어나려면 분자들이 충돌해야 한다는 것이 충돌모델의 주요한 개념이다. 초당 발생하는 충돌횟수가 많을수록 반응속도는 증가한다. 이러한 개념으로 속도에 대한 농도 영향을 이해할 수 있다. 반응 분자의 농도 증가함에 따라 충돌 횟수도 증가하고 반응속도도 증가한다. 이러한 충돌모형으로 온도의 영향도 이해할 수 있다. 기체 운동 분자론으로부터 온도가 증가하면 분자속도도 증가하는 것을 알고 있다. 분자들이 더 빨리 움직일수록 그들은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세게 그리고 자주 충돌하여 반응속도가 증가한다. Arrhenius는 대부분의 반응에서 온도증가에 따른 반응속도의.. Chemistry/물리화학 2020. 5. 25. 무기화학실험 | Preparation of CdS quantum dots TIP 1. 반도체 물질인 나노미터 크기의 CdS 분자 합성을 통하여 quantum dot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한 기술을 알아본다. 2. Bulk system과 quantum dot의 특징을 비교한다. Bulk System (3D System) 반도체 내에서 conduction band (CB)에 있는 전자(electron)들과 valence band(VB)내에 있는 홀(hole)들은 공간적으로 세 방향으로 아무런 제약 없이 자유롭게 움직인다. 이러한 반도체의 상태를 Bulk 상태라고 하고 3차원(3D) 시스템이라 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2. Nanometer particle synthesis [무기화학실험] Preparation of CdS quantum dots 레포트 1. 실험 .. Chemistry/무기화학 2020. 5. 25. 세정제 화학 | 치약 치약 치아의 외부구조는 주로 탄산칼슘과 수산화인산칼슘(인회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회석은 산에 의해서 공격받기 쉽다. 어떤 음식류는 인회석을 분해하여 산을 만들기도 한다. 박테리아는 덱스트린이 쌓여 생기는 플라그를 산으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산들에 치아가 노출되지 않도록 식후 치아를 잘 닦아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치아 건강에 무엇보다 중요하다. 치약의 두 가지 주성분은 세정제와 연마제이다. 연마제는 치아 표면의 접착물을 갈아 분쇄하고 세정제는 닦아낸 물질들을 물과 함께 씻어내는 역할을 한다. 치약에 많이 쓰이는 연마제는 수화규사(모래의 일종, SiO2·nH2O), 수화알루미나(Al2O3·nH2O) 그리고 탄산칼슘이 있다. 치아의 외부에 손상을 주지 않고 치아에 붙은 접착물만 선택적으로 갈아버릴 수..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20. 5. 25. 식품가공학실험 | 딸기잼의 제조과정 및 잼의 원리 TIP 1. 젤리화의 원리를 이해한다. 2. 젤리화의 원리 : 펙틴, 산, 당분의 상호작용으로 서로 일정한 비율과 농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펙틴질(pectic substance) 펙틴질은 과일이 세포막 속에 셀룰로오스(cellulose)와 함께 세포를 유지하고 있어 과일의 견고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덜 익은 과일은 물에 녹지 않는 protopectin으로 존재하지만 과일이 익어감에 따라 protopectinase(protopectin을 분해하는 효소)의 작용을 받아 가용성의 pectin으로 변한다. 이 변화는 과일을 가열할 때에도 일어난다. 과일이 너무 익으면 pectin acid로 분해되는데 이 변화는 pectin을 장시간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였을 때도 일어난다. 이 중에서 가열할 때 pec..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0. 5. 24. 일반물리학실험 | 강체의 공간운동에 의한 역학적 에너지 보존 TIP 경사면과 원주 궤도를 따라 금속구를 굴리는 과정에서 구의 회전 운동에너지를 포함하는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을 살펴본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강체 공간운동장치를 그림 3과 같이 끝점 C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실험대에 장치하고 트랙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 y를 측정한다. 2) 구의 출발점의 높이를 변화시켜 가면서 구가 원형트랙의 꼭짓점 T를 간신히 접촉하면서 지나갈 때의 출발점의 높이 h를 측정한다. 3) 구가 낙하되리라고 추정되는 위치에 먹지와 갱지를 깔고 과정 2)에서 정한 높이 h에서 구를 굴려내려 수평거리 x를 5회 측정한다. 4) 점 C에서 구의 속력 v(실험)를 x와 y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5) 식 (2)에 h값을 대입하여 구한 구의 속력 v(이론)와 비교한다. 6) v(실험)와.. Engineering/물리학 2020. 5. 24. 이전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