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수지침이야기

수지침 | 심포기맥(K)과 삼초기맥(L)

곰뚱 2019. 11. 15.

1. 심포기맥 - 심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심포 기능 조절선으로 K라는 부호를 쓴다.

 

2. 삼초기맥 - 삼초의 기능을 조절하는 기능 조절선으로 L이라는 부호를 쓴다.

 

3. 일반적으로 장부의 수를 5장 5부라 하는데 침구학에서는 66부라 한다

. 5() = , 심장, 비장(췌장), , 신장

. 5() = , 소장, 위장, 대장, 방광으로 각각 형체가 있지만

. 오직 삼초와 심포만은 명확한 형체가 없다.

 

수지침  |  심포기맥(K)과 삼초기맥(L)

 

4. 고전에서 말하기를 삼초라고 하는 것은 개천의 물곬을 터놓은 것 과 같은 역할을 하며 물길이 나오는 곳이라 하기도 하고, 삼초를 셋으로 나누었으니 상초, 중초, 하초로 구분하였다.

 

5. 삼초는 상초, 중초, 하초로 나눈다

. 상초 - 횡격막 이상의 심장, , 식도, 두뇌, , , , , 눈의 모든 기능을 주관하는 것으로 인식 안개와 같다

. 중초 - 횡격막과 배꼽 사이이니 위장, 비장, 췌장, 간장, (쓸개), 십이지장까지의 모든 기능을 주관 물거품과 같다

. 하초 - 배꼽 아래이니 소장, 방광, 신장, 생식기, 전립선과 자궁의 모든 기능을 주관한다, 물곬과 같다

 

6. 삼초에 질병이 있으면 인신(人身)전체의 질병이고, 삼초의 무병은 곧 인신 전체의 건강이니 삼초를 중요시하지 않을 수가 없다.

 

 

심포기맥(K)

1. 심포기맥의 이해

심포는 심장과 더불어 오행상으로 같은 에 속하며 심장을 군화(君火)라 하고 심포를 상화 (相火)라 한다. 군화(君火)를 이름이라 한다면 상화(相火)는 위치라고도 할 수 있다.

심장이 군주 즉 임금이면 심포는 재상에 속한다 또한 심장이 오장육부의 왕이라면 심포는 재상으로 오장육부의 기능조절에 직접 관여한다는 뜻도 담고 있다 따라서 다른 장기를 다스릴 때 심기맥보다 우선 심포기맥을 다스려야 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심장에 병이 들었을 때에도 심기맥보다 심포기맥을 먼저 다스려야 한다.

 

수지침  |  심포기맥(K)과 삼초기맥(L) - undefined - 심포기맥(K)

 

그러나 예외가 있는데, 신장기능이 항진(腎實)되어 얼굴에 부종이 있고 신염이 있을 때에는 신()을 다스리기 위하여 직접 심기맥, 특히 심정방으로 다스려야 한다. 이러한 심포는 오장(, , , , )의 기능을 튼튼히 해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 인체는 목, , , , 수의 다섯 가지 정기가 균형을 이룰 때 가장 튼튼해진다. 정력도 마찬가지로 목, , , , 수의 다섯 가지 장부의 정기가 균형을 이룰 때 가장 강해진다. 이러한 심포경은 가상의 장기로 인체를 자연에 비유하여 자연에는 1년이 있듯이, 우리 몸을 1년으로 표현하고, 1년에는 12개월이 있듯이 우리 몸에도 12장부가 있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10<()= , , , , , ()= , , , , 방광)밖에 없어 1년에 맞추기 위하여 2개의 가상 장기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심포(心包)와 삼초(三焦)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심포를 다스리는 심포기맥은 - 가운데 손가락부터 겨드랑이를 거쳐 젖꼭지까지의 이상증상을 치료한다.

728x90

 

 

삼초기맥(L)

1. 삼초기맥의 이해

삼초기맥은 그 부호로서 L을 이용하는데 L1 번부터 L12번까지 모두 12개의 혈로 구성되어 있다. 삼초기맥은 심포기맥과 마찬가지로 가상의 장기로서 에 속하며 소장기능을 보좌한다 즉 소장이 군화(君火)라 한다면 삼초는 상화(相火)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적응증을 보면

삼초는 위치상으로 구별하여 상초, 중초, 하초를 치료한다고 한다.

삼초의 질병은 소장병과 대동소이 하며

소장병의 초기는 삼초의 병을 말하며, 조금 더 악화되면 소장 본병이 되고, 중병이 되면 다시 삼초병이 된다고 한다.

삼초기맥은 하복부 아래쪽 특히 석문 부위의 적통을 치료한다고 하며 류머티즘 알레르기 질병에 특효하다.

 

수지침  |  심포기맥(K)과 삼초기맥(L) - undefined - 모든 영역

 

고전에서는 귀의 병을 신기맥이 주관한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삼초경맥이 귀를 감싸고 있어 귀의 병은 삼초(三焦)와 신()을 같이 다스리면 더욱 좋은 반응이 나타난다. 삼초기맥의 인체에서의 반응부위는- 삼초경맥의 유주방향과 같으므로 네 번째 손가락의 통증이나 팔목통, 팔뚝, 어깨 특히 어깨 뒤쪽의 통증을 조절하며 우측으로 오는 편두통과 귀의 질병을 다스린다 할 수 있다.

 

 

 

 

 

 

 

[수지침]심포기맥과 삼초기맥 레포트

1. 심포기맥 - 심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심포 기능 조절선으로 K라는 부호를 쓴다. 2. 삼초기맥 - 삼초의 기능을 조절하는 기능 조절선으로 L이라는 부호를 쓴다. 3. 일반적으로 장부의 수를 5장 6부라 하는데 침구학에서는 6장 6부라 한다 가. 5장(臟) = 간, 심장, 비장(췌장), 폐, 신장 나. 5부(腑) = 담, 소장, 위장, 대장, 방광으로 각각 형체가 있지만 다. 오직 삼초와 심포만은 명확한 형체가 없다. 4. 고전에서 말하기를 삼초라고 하...

www.happycampus.com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