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수지침이야기

수지침 | 삼일체질

곰뚱 2019. 11. 24.

TIP
 
 

1. 사상체질과 삼일체질
2. 삼일 체질의 진단 목적
3. 삼일 체질에 대한 병리학적인 견해와 진단법
4. 삼일체질의 종류

 

 

 

동양학 특히 침구학에서는 치료점의 선택과 보사(補瀉)등의 자극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 허, 실의 개념이 매우 중요하였으며 허, 실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진단법이 발달하게 되었다. 진단이란 진찰의 결과를 말하는 것이며, 진찰이란 환자가 처해 있는 상황을 정확이 파악하는 것으로 이러한 진찰 방법은 침구학의 고전이라 할 수 있는 내경에서부터 유래되어왔으며 각 분야별로 많은 발전이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4진법으로 4대 진찰법이란

망진(望珍) - 일명 시진, 視診法이라고도 하는데 환자의 외형을 보고 아는 방법이다)

문진(問診) - 환자에게 증상을 물어 아는 방법)

문진(聞診) - 환자의 음성이나 몸에서 나는 냄새를 맡고 아는 방법)

절진(切診) - 한자의 몸에 손을 대어 아는 방법)

 

고려 수지침요법에서는 배를 눌러 압통점이나 응결점, 긴장대를 가지고 진찰하는 진단법과 동맥의 흐름(촌구맥과 부돌맥)을 감지하여 인체의 허실상태를 파악하는 음양맥진법등이 있다. 그 중 삼일체질은 배를 눌러 압통점이나 응결점, 긴장대를 가지고 진찰하는 방법으로 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을 구별하는 체질 진단법이다.

 

일반적으로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체질은 평생 변하지 않는 체질을 말하지만 수지침 요법에서의 삼일체질은 병적체질로서 건강하면 나타나지 않지만 병이 들면 나타나는 이상체질을 말한다. 한 마디로 병이 없을 때에는 나타나지 않는 체질로서 삼일체질은 안 나타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삼일체질은

장점 : 병이 심할 때는 삼일체질의 반응이 과민하고 심하게 나타나므로 병이 얼마만큼 악화되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치료를 한 다음에 나타나는 반응에 따라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는지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 : 건강한 사람에게서는 삼일체질을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점이라기 보다는 좋은 현상으로 고전에서 말하는 음양화평인(陰陽和平人)이라는 개념과 같다.

 

이러한 삼일체질은 3가지로 구별하는데 양실증과 신실증, 그리고 음실증으로 구별한다.

728x90

 

 

1. 사상체질과 삼일체질

사상체질은 인체를 4가지형태로 나눈 것으로 우리나라의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선생님이 내경의 오태인(태음인. 태양인, 소양인, 소음인, 음양화평인)에서 음양화평인을 제외한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체질로 나눈 것으로

 

 

사상체질은 우리 나라 사람에 의한 우리 나라의 독창적인 체질 구별법으로 우리 나라 한의학의 발전을 크게 이끌어 왔으나 사상체질에 대한 판단 기준은

 

성격을 가지고 판단하는 방법

외형을 보고 판단하는 방법

나타나는 병적 증후나 증상을 보고 판단하는 방법

촌구맥(손목선에서 뛰는 맥)의 맥상을 가지고 판단하는 방법

음식물 등 좋아하는 기호품을 가지고 판단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진단법으로 객관적 관점에 의한 진단법이라기 보다는 주관적 관점에서 사상체질을 확인하고 처방하였으며 사상체질은 병적 체질이 아니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는 체질 구별법인데 반하여 수지침 요법에서의 삼일체질 진단법은 복부를 눌러 아픈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에 따라 병적 체질이 결정되기 때문에 주관적 요소는 배제된 상태에서 행하는 객관적인 진단 방법으로 누가 진단해도 똑같은 결론이 나오는, 진단법에 있어 한층 진일보된 병적체질 진단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삼일체질은 크게 양실증 신실증 음실증으로 나누는데 외우는 방법은 동양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음()과 양()으로 먼저 음실증과 양실증으로 구분하고 그 중간에 있는 것을 신실증이라 한다. 즉 신실증이라 하면 인체 중심선으로 병적 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수지침]삼일체질 레포트

동양학 특히 침구학에서는 치료점의 선택과 보사(補瀉)등의 자극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 허, 실의 개념이 매우 중요하였으며 허, 실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진단법이 발달하게 되었다. 진단이란 진찰의 결과를 말하는 것이며, 진찰이란 환자가 처해 있는 상황을 정확이 파악하는 것으로 이러한 진찰 방법은 침구학의 고전이라 할 수 있는 “내경”에서부터 유래되어왔으며 각 분야별로 많은 발전이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4진법으로 4대 진찰법이란

www.happycampus.com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