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수지침이야기

수지침 | 오지의 진찰방법과 삼일체질

곰뚱 2019. 12. 1.

TIP
 
 

1. 병적 증후가 예상되는 손가락의 모양
2. 손가락에 상처나 변형이 있을 때
3. 반지요법과 오장(五臟)의 기능 조절
4. 삼일체질과 반지요법

 

 

 

오지의 진찰법이란 다섯 손가락에 나타나는 증상을 보고 병을 파악하는 것으로 손가락에 상처가 있거나 손가락 자체가 휘어있는 것 등은 각 손가락에 배당되어 있는 오장육부의 기능에 이상이 있다(허와 실)는 것이다.

 

오지(五指)의 진찰법에서 손가락에 이상이 있어서 내장의 기능에 변화가 있는 것인지, 내장에 이상이 있어서 손가락에 변형이 오는 것인지 알 수는 없지만, 분명한 것은 오지와 내장은 아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장부와 다섯 손가락의 배당관계

 

수지침  |  오지의 진찰방법과 삼일체질

 

수지침  |  오지의 진찰방법과 삼일체질

728x90

 

반지요법과 오장(五臟)의 기능 조절

고려수지요법에서는 금침은 보()가 되고 은침은 사()가된다는 학설을 믿고 있다. 이것은 우리 나라 송태석 박사의 학설을 받아들인 것으로 일본의 침구계에서는 무색금속(, 아연 등)‘-’이온이 발생되어 사()가 되고 유색금속(황금, 동 등)‘+’이온이 발생되어 보()가 된다고 한다. 이러한 보, 사의 방법을 오지(五指)에 배당하여 장부 기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반지요법이다.

 

(1) 반지요법에 있어 일반적으로 주의하여야 할 사항

1) 만성병 환자를 조절할 때 효과가 없을 때에는 끼고 있는 반지를 빼야한다.

2) 인사불성, 쇼크, 졸도 등이 있을 경우에도 환자의 손에서 반지를 먼저 빼주고 허리 끈 등을 느슨하게 해 주어야 한다.

3) 유색인 금반지를 오랫동안 끼고 있으면 손가락이 부어 반지가 잘 안 빠지는 것을 경험할 수가 있다.

4) 은반지 같은 무색 반지는 손가락이 잘 붓지를 않는다.

5) 반지를 끼기 전에는 아무 이상이 없는데 반지를 끼고 부터 답답한 증상이나 얼굴에 뾰루지 같은 것이 발생하면 반지를 빼 주어야 한다.

 

 

 

 

 

 

[수지침]오지의 진찰방법과 삼일체질 레포트

오지의 진찰법이란 다섯 손가락에 나타나는 증상을 보고 병을 파악하는 것으로 손가락에 상처가 있거나 손가락 자체가 휘어있는 것 등은 각 손가락에 배당되어 있는 오장육부의 기능에 이상이 있다(허와 실)는 것이다. 오지(五指)의 진찰법에서 손가락에 이상이 있어서 내장의 기능에 변화가 있는 것인지, 내장에 이상이 있어서 손가락에 변형이 오는 것인지 알 수는 없지만, 분명한 것은 오지와 내장은 아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2. 손가락에 상처나 변형이...

www.happycampus.com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