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물리학실험 | 수직방향으로 던져진 공의 운동 TIP 먼저 연직 방향으로 던져진 공의 거리, 속도, 가속도의 데이터를 수집한 후 거리 대 시간, 속도 대 시간, 가속도 대 시간의 그래프를 분석하여 그 후 거리 대 시간, 속도 대 시간 그래프의 가장 적합한 방정식을 결정한 후 가속도 대 시간의 그래프로부터 평균 가속도를 결정하여 속도 변화 그래프에는 어떤 수학 적 관계가 있을지 또 거리 대 시간의 그래프와 가속도 대 시간의 그래프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의 답을 찾기 위한 것이다. 본 실험의 원리는 운동감지기를 써서 연직운동으로 던져진 공의 시간에 따른 거리, 속도 그리고 가속도를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운동 감지기가 초음파가 나와 공을 인지하여 컴퓨터에 그래프가 그려진다. 이렇게 여러 유형의 그래프로 수직방향으로 던져진 공의 운동을 알 수 있다. 실험 .. Engineering/물리학 2019. 12. 22. 고분자기초실험 | 굴절률 측정 TIP 1. 굴절율은 고분자의 광학적 특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물성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굴절율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측정방법의 이해는 고분자 물성 이해에 대한 첫걸음이다. 2. 아베굴절계를 굴절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익히고, 미지 시료의 농도를 예측하는 것. 빛은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호 직교하고 또한 빛의 진행 방향에 직교한다. 어느 매질에서나 빛의 장과 매질 본자에 수반된 장간의 작용이 있기 때문에 매질에서의 빛의 속도는 진공에서의 것보다 작다. 빛살이 밀도가 작은 매질로부터 큰 매질 쪽으로 지나가면 속도가 줄어든다. 그에 따라서 빛의 방향이 바뀐다. 즉, 표면의 법선 방향에 더 가깝게 굴절한다. 빛살이 공기로부터 액체나 고체로 들어가면 입사각 i가 굴절각 r보다 크다. 입..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19. 12. 21. 환경화학실험 | pH와 EC 및 기본항목 측정 TIP 다양한 기구를 사용하여 pH와 EC 및 개념과 측정방법을 알아본다. ORP Oxidation-Reduction potential의 약자로 이온의 전자간의 산화력, 환원력을 수치로 나타낸 값이다. 정(+)의 값이 클 때에는 산화력이 강하고, 부(-)의 값이 클 때에는 환원력이 강하다. 백금 전극과 같은 반응을 만들지 않는 전극을 넣을 때, 전극과 용액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전위의 차가 그 용액의 산화환원 전위를 나타낸다. 도금의 배수처리와 같이 산화환원 반응이 진행되고 있는 용액에서, ORP를 측정함으로써 반응의 진행상황을 알고 ORP가 소정의 값이 되면 반응이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다. 배수처리의 자동 제어에 이용되고 있다. 백금과 같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전극과 기준(조합, 기교) 전극(포화감홍..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19. 12. 20. 화공기초실험 | 알루미늄의 정량 본 실험에서는 침전법을 사용하여 칼륨명반중의 알루미늄 함량을 정량하기 위하여 칼륨명반의 수용액에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수산화물을 침전시키고 이것을 가열하여 산화 알루미늄(Al2O3)을 만든다. 이를 이용하여 알루미늄을 정량한다. 칼륨명반(Al2(SO4)3K2SO4·24H2O, K2SO4) fw=948.8의 수용액에 암모니아수를 가하면 수산화 알루미늄의 아교성 침전이 생성된다. Al(OH)3는 양성화합물로서 염기성과 산성으로 작용하며 산과 염기에 의해 용해 한다. 따라서 암모니아수를 너무 많이 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 를 분리하여 가열하면 산화 알루미늄의 칭량형으로 된다. Al2O3는 흡습성이 있어 1000℃ 이상으로 가열하면 안정된 α- 가 된다. 칭량도 흡수성에 주의하여 신속하게 할 필요가 있다. 실..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19. 12. 18. 신소재공학실험 | Micro-Raman TIP 라만 분광기는 라만 효과를 이용하여 소재의 특성 및 구조를 식별하고 파악하는 장치이다. 라만 분광기의 장잠은 빛을 이용해 물질의 정성,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파괴적으로 물질의 특성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의 종류, 열처리에 따른 구조 변화 등도 알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비정질 Si, nano crystalline Si, crystalline Si의 3 phase가 함께 있는 물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라만 분광기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Micro-Raman의 활용 Raman 측정방법은 다양한 시료를 다양한 환경에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넓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제약, 탄소와 다이아몬드, 재료과학, 지질학, 범죄 과학, 나노기술, 반도체, 생명과학 ..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19. 12. 18. 영양생화학실험 | pH 미터를 사용한 측정값과 이론적인 pH 계산값의 비교 TIP 이론 강의 시간에 배운 산, 염기의 정의를 토대로, 실험으로 측정한 pH값이 이론적인 계산값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알아본다. 산, 염기 정의(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 1. 산 : 산-염기 반응에서 양성자를 주는 화학종 2. 염기: 산-염기 반응에서 양성자를 받는 화학종 짝산-짝염기 쌍 1. 산-염기 반응에서 양성자를 주고받는 것에 따라 구분되는 화학종 2. 양성자를 주고 남은 어떤 산의 화학종은 그 산의 짝염기가 되고, 어떤 염기가 양성자를 받고 생성된 화학종은 그 염기의 짝산이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0.001M NaOH 용액의 pH를 측정한다. 2) 2.0×10-4M HCl 용액의 pH를 측정한다. 3) 2.0×10-4M HCl 100㎖에 0.01M NaOH 50㎖를 섞은 후 p..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19. 12. 18. 고분자화학실험 | 비닐 단량체 및 라디칼 개시제(AIBN)의 정제 단량체의 순도 중합된 고분자의 질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척도이다. 게다가 불순물이 중합 금지제 이거나 정지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인 경우 그 농도가 ppm단위의 매우 적은 정도 라고 해도, 중합 속도 및 생성된 고분자의 분자량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제법에는 단순 증류, 분별 증류, 공비 증류, 진공 증류, 재결정, 추출, 승화 그리고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추출과 재결정을 이용하여 정제를 진행하였다. 비닐 단량체의 정제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은 단량체의 종류, 예상되는 불순물, 그리고 중합방법이다. 즉 라디칼 중합인가(라디칼 중에서도, 수용성 에멀젼 중합인가 혹은 괴상 중합인가), 이온 중합인가(양이온 중합인가 음이온 중합인가)에 따라 택해야 할 정제법이 다르..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19. 12. 17. 기계공학실험 | 동적 흡진 실험 - 진동 실험 TIP 1. 동적 흡진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적절한 질량과 스프링 상수를 갖는 흡진기를 통해 공진 부근 진동수에서의 흡진 효과를 관찰하고 LabVIEW를 이용하여 진폭의 감소 확인을 통해 동적 흡진 이론을 이해한다. 2. 진동하는 물체에 흡진기를 설치한 후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진동수를 변화시켜 가면서 물체의 진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하고 이를 통해 흡진의 원리를 이해한다 진동흡진기 주장치에 부착되어 질량-스프링 흡진기를 통해 진동을 저감 자유물체도 및 운동방정식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실험 장치를 안전한 곳(평평한 곳)에 위치시킨다. 2) DAQ에 전원 및 출력 신호선을 각각 연결한다. 3) DAQ와 컴퓨터를 케이블로 연결한다. 4) 동적 흡진 실험 LabVIEW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 Engineering/기계공학 2019. 12. 17. 일반물리학실험 | 에어테이블을 이용한 경사면에서의 포사체 운동 TIP 경사면에서의 포사체의 포물선 운동을 이해하고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에너지보존을 확인한다. 바닥평면과 일정한 각(θ)를 가지고 초기 속도(v0)로 쏘아 올려진 질량 m인 물체의 이차원 운동을 생각해 보자. 초기 속도 v0로 바닥평면과 θ0의 각도로 쏘아 올려진 물체는 x방향으로는 받는 힘이 없어 가속도는 0이므로 속도의 변화가 없다. 하지만 -y방향으로는 중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뉴튼의 제2법칙을 이용하여 다음을 구할 수 있다. 임의의 시간 t초에서의 물체의 위치 포물체의 수평방향 도달거리(R) 이때까지의 이동시간(T) 최고점의 높이(H) 포사체 운동에서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합은 일정하므로 t시점에서의 속도를 v, 높이를 h라 하면 다음의 에너지 보존식이 성립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 Engineering/물리학 2019. 12. 16. 환경바이오학실험 | 배지의 조제 및 멸균 배지의 주요성분 펩톤(Peptone, 단백질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분해시킨 것), 육추출물(Beef extract, 다양한 영양분이 함유된 소고기 추출물), 한천(Agar, 미역 추출물로 영양성분은 아님, 고체배지에만 포함되어 있어 액체배지와 고체배지 구분 기준이 됨.) 배지의 목적 배지를 증류수 1000㎖를 기준으로 평량하여 혼합 가열 후 시험관에 분주하여 멸균시키거나 또는 멸균된 것을 평판에 적당히 분주하여서 목적에 따라 세균을 분리 배양하기 위함 멸균(sterilization)의 목적 대상물체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을 완전히 사멸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함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Nutrient broth 12.5g + 증류수 500㎖, Nutrient agar 11.5g + 증류수 500㎖..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19. 12. 16. 화학공학실험 | PMMA 벌크 중합 TIP 1. Bulk중합법(모노머:MMA, 개시제:AIBN)을 습득하고 free radical mechanism으로 진행되는 중합반응을 이해한다. 또 다양한 분석기기를 통해서 중합한 PMMA의 물성을 알아본다. 2. MMA(Methylmethacrylate)를 단량체로 이용해 벌크중합(Bulk polymerization)을 통하여 고분자형태인 PMMA (Polymethylmethacrylate)을 만들고 개시제 농도에 따른 용해도 및 IR, DSC 측정값을 통해 이론치와 비교하여 실험원리를 이해하고 차이점을 검토한다. 단량체, 개시제만으로 간단히 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벌크중합(Bulk polymerization)은 기체 및 고체 상태에서도 가능하지만 주로 액체 상태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중합방..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19. 12. 15. 고분자공학개론 | Polyamide의 반복단위구조와 융점과의 관계 폴리아미드 주쇄를 이루는 구조단위가 아미드기에 의해 연결된 합성고분자를 말하며 아미드기(-CONH-)로 연결된 구조단위가 주로 지방족단량체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를 나일론이라고 하고 아미드기 중 최소한 85% 이상이 직접 방향족기와 연결된 폴리아미드를 아라미드라고 부른다. 폴리아미드 섬유인 나일론은 듀퐁사의 상품명으로 대표적으로 쓰이는것은 나일론66,나일론6이다. 이러한 폴리아미드섬유는 나일론6과 나일론66 이외에도 여러 가지 나일론 n 섬유가 공업화되거나 개발중인데 나일론 n은 메틸렌기가 많아지면 일반적으로 융점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는데 홀수인것이 전후의 짝수인 것보다 융점이 높아서 탄소에 따른 융점의 변화를 그려보면 zig-zag형이 된다. 따라서 왜 반복단위에 따라서 융점이 변화하는가, 또한 반복단위..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19. 12. 9. 토질역학시험 | 체 분석 시험 흙 역학(soilmechanics) 지반 구성 재료인 흙의 역학적, 공학적 특성을 규명하여 흙과 관련된 공학문제를 해결하는 토목공학의 한 분야이다. 흙의 입도시험(체분석법, 비중계법)은 흙의 입도를 구하기 위하여 행하며, 입도는 조립토 분류 및 흙의 성질을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흙 입자의 입경별 함유율 분포를 입도라 하며, 이 분포상태는 전체 흙 중량에 대한 입경별 중량 백분율로 나타낸다. 흙의 입도분포는 입경이 아주 미세한 것부터 비교적 크기가 큰 조립토에 이르기까지 분포하게 되므로, 입자의 크기가 0.0074mm 이상의 흙입자의 입도분포는 체분석시험을 이용하고, 이보다 작은 입경의 흙은 침강분석(비중계법)을 이용한다. 흙의 입도를 알면 그 흙이 사질토인지 점성토인지, 즉 흙의 공학적 분류가 가능하게 ..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19. 12. 9. 화공기초실험 | 고체의 융점 TIP 고체 시료의 순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융점을 측정한다. 용융점 녹는점 또는 융해점이라고도 한다. 순수한 결정성 고체를 가열하면 구성입자들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외전운동을 일으키면서 자유롭게 되어 유동성 액체가 되는데 이때의 온도를 녹는점이라 한다. 녹는점은 고체와 액체가 공존하는 온도로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보통 1atm하에서의 융해온도를 그 물질의 녹는점이라 한다. 다만 물질에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거나 압력이 변하면 녹는점도 그에 따라 변한다. 유리․플라스틱 등 비결정질 고체에는 녹는점이 뚜렷하지 않다. 용융 녹음이라고도 한다. 물질의 상변화의 하나이며 모든 물질은 어떤 온도에 이르면 이 변화가 일어난다. 특히 결정질 고체는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갑자기 녹기 시작하고 ..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19. 12. 9. 일반물리학실험 | 에어테이블을 이용한 경사면에서의 중력 가속도 측정 TIP 마찰이 없는 경사면을 따라 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를 측정한다. 경사면을 내려가며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물체의 이동거리는 마찰이 있지만 이번 실험에서는 마찰이 없는 경사면을 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를 구한다.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며 등가속도(a) 운동을 하는 물체의 이동거리(s)는 다음과 같다. 초기위치는 0으로 하였다. 따라서 경사면을 따라 내려오는 시간 와 이동거리 를 측정하면 물체의 가속도를 구할 수 있다. 경사각을 라 하고 경사면에 마찰이 없다면, 물체의 가속도와 중력가속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본 실험에서는 마찰이 없는 경사면을 따라 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중력가속도를 측정한다. 실험 방법 1.. Engineering/물리학 2019. 12. 9. 나노소재공학실험 | SWNT 합성 -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TIP 1. CNT의 배경과 CNT를 합성조건, 성장법을 이해하고 CNT합성 방법에 대해 공부하고 CNT를 합성한다. 또 이 CNT를 응용단계를 알아간다. 2. Spin-coating과 E-beam 합성에 대하여 알아간다. 탄소의 동소체(allotrope)의 하나인 Fullerence(탄소원자 60개가 모인것)을 1985년에 Kroto와 Smalley가 처음으로 발견한 후, 1991년 일본전기주식회사(NEC) 부설 연구소의 Iijima박사가 전기방전법(Are-Discharge)을 사용하여 흑연 음극 상에 형성시킨 탄소덩어리를 TEM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가늘고 긴 대롱 모양의 탄소 나노 튜브를 발견하여 Nature에 처음으로 발표하였다. 이 탄소 나노튜브는 흑연판(Graphite sheet)이 나노크기의..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19. 12. 9. 환경공학실험 | 현미경 사용법 및 조작법 현미경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물체의 미세한 형태와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기구로, 현미경을 사용함에 앞서 현미경의 종류, 구조 사용법 및 관리법등에 대하여 잘 이해하여야 될 것이다. 실험실에서 흔히 쓰이는 현미경에는 한쪽 눈으로만 볼 수 있는 단안 현미경이 널리 보급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쌍안 현미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밖의 현미경의 종류로는 광학적 극성을 이용한 편광 현미경, 형광형성을 이용한 현미경, 자외선을 이용하는 자외선 현미경, 피검체의 광학적 두께 차에 의한 상의 차이를 이용하는 위상차 현미경, 전자의 흐름을 이용한 전자 현미경 등이 있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현미경을 수평면에 똑바로 놓고 검체를 재물대 중앙에 오도록 놓고 clip으로 슬라이드 글라스의 양끝을 고정시킨다. ..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19. 12. 7. 식품분석실험 | 식품중의 유기산 함량 및 산도 측정 TIP 1. 시판 식초중에 함유된 유기산을 0.1N NaOH 표준액으로 적정하여 초산 함유율을 구한다. 2. 과일주스 중에 함유된 유기산을 0.1N NaOH 표준액으로 적정하여 시트르산의 함유율을 구한다. 실험 방법 1. 0.1N NaOH 용액의 역가 구하기 ① 수산화나트륨(NaOH)을 2.15g을 칭량한다. ② 칭량한 NaOH 2.15g을 500㎖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를 1/3가량 넣어 어느 정도 녹았을 때 500㎖ 표선까지 채운다. ③ 비커에 Oxalic acid 20㎖를 넣고 페놀프 탈레인 2~3방울을 떨어뜨린다. ④ 스탠드에 뷰렛을 끼우고 밑에 비커를 받친 다음 증류수로 한번 세척해 준다. ⑤ 조제한 0.1N NaOH 용액을 뷰렛의 눈금 ‘0’에 맞춘다. ⑥ 조제한 Oxalic acid 20..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19. 12. 6.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