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생물공정실험 | Application of Energy Losses in Bends 유체역학은 정역학과 동역학 및 열역학의 고전 법칙들의 응용에서부터 연속적인 매체로 취급된 유체의 모사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분석적인 분야로서 발전해왔다. 여기에는 질량과 에너지, 운동량의 보존과 그것의 응용에 관한 법칙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유체의 운동을 정량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종종 단순화의 과정을 거친다. 본 실험에서는 Bending과 Fitting 실험기구를 통하여 Bending과 Fitting 시에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에 관한 수력학적 모델에 대하여 살펴보고, head의 차이를 측정하여 steady한 유체의 흐름이 bend와 수렴, 발산, gate밸브 등을 지날 때의 loss factor를 구하여 본다. Venturi관을 이용해서 Bernoulli’s theorem이 성립하는지 알아보았.. Engineering/화학생물공정 2020. 1. 28. 고분자공학실험 | 현탁 중합 TIP MMA의 현탁중합을 통하여 현탁중합의 중요성과 장 · 단점, 메커니즘을 알아보고, 벌크 중합, 용액중합과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현탁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생산원가나 작업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물과 같은 비활성의 매질을 사용하여 중합하는 방법을 현탁중합이라고 하며, 진주중합(pearl polymerization)이라고도 한다. 단량체를 비활성의 매질 속에서 0.01~1㎜ 정도의 크기의 입자로 분산시켜 중합하면 중합반응결과 얻어지는 고분자화합물은 비드(bead)같 은 입자로 되어 침강하므로 비드중합(bead polymerization)이라고도 한다. 1. 장점 ① 고중합도의 고분자 생성물을 쉽게 얻을 수 있다. ② 중합열의 제거가 쉽다. ③..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0. 1. 28. 식품화학실험 | Molish Test와 Anthrone Test TIP 탄수화물은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가 존재하는데 이들의 분석은 당류가 지닌 환원력을 이용하여 furfural 또는 그 유도체가 시약들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성질을 이용한다. 당류의 정색반응의 하나로써 진한환산에 의해 탈수되어 형성되어 furfural및 그 유도체가 anthrone과 반응하여 청녹색의 착색물질을 만든다. 이 반응은 매우 민감하여 당류의 비색정략에도 활용된다. 당류 이외의 유기화합물은 갈색을 띈다. 실험 방법 1. Molish test ① 50㎖ Conical tube에 당류인 Glucose, Sucrose, Maltose와 비당류인 Citric acid, NaCl 그리고 95% etanol에 녹인 α-naphthol Sample을 만든다.(100mL D.W에 다당류 0.5%, 비당류 ..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0. 1. 27. 일반물리학실험 | 관의 공명에 의한 음속 측정 TIP 관 내부에서 일정한 주파수의 음파가 전파될 때 관의 길이의 변화에 따른 음파의 공명현상을 이해하고 그 때의 정상파의 파장을 측정하여 공기 중의 음속을 구한다. 음파란 물체의 진동이 균일하던 매질(공기)에 부분적으로 압력 변화를 일으켜서 종파의 형태로 고막을 진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음파는 진동 방향과 이동 방향이 같은 방향인 종파이다. 또한 매질속에서 밀함과 소함을 반복하면서 진행한다. 정상파란 진폭과 진동수가 같은 두 파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겹쳤을 때 어느 방향으로도 진행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진동만 하는 파이다. 정상파가 전혀 진동하지 않는 점을 마디, 최대 진폭으로 진동하는 점을 배라고 한다. 정상파에서 이웃한 마디 또는 배 사이의 거리는 파장의 1/2이 된다. 열린 관에서의 끝.. Engineering/물리학 2020. 1. 27. 환경화학실험 | 온도와 탁도 온도 온도(Temperature)는 수질의 직접적 평가항목이 아니라 수질 특성이다. 생물(수생동식물+미생물) 개체의 생존에 필요한 물질의 이동, 생체내의 생화학 반응 속도를 지배하는 요소 이다. 또한 생물종의 생존환경이 되기도 한다. 환경공학에서는 유기물의 분해속도, 산소전달속도, 산소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온도 측정은 일반적으로 수은 막대 온도계를 이용하고 측정 방법은 온도계의 보정을 한 후 눈금을 직접 읽는다.(직접측정법) 온도의 변화 원인으로는 지리지형적인 원인, 공장 폐열, 폐수, 삼림 벌채, 관개용수 등이 있다. 탁도 탁도(Turbidity)는 수질 측정의 평가 항목으로 물속의 부유물질(Suspended Solid)에 의해서 빛이 흡수되거나 산란되는 정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20. 1. 26. 화학공학실험 | 관을 통한 유체 흐름 TIP 뉴튼 유체가 관을 통하여 흐를 경우 압력 손실, 마찰 계수를 구하고 관 부속품들의 상당길이를 측정하며 유량 측정에 사용되는 오리피스 미터의 보정방법 등을 이해한다. 수평관에서의 마찰 손실 정상 상태에서의 기계적 에너지 수지식으로부터 여기서 ΔP[g중/㎠], L[㎝], D[㎝], 이 식과 실험으로부터 측정한 ΔP값으로부터 f를 계산한다. 이때 ΔP는 마노미터로 측정한다. 관 부속품들의 상당길이 관 부속품들에는 엘보우, 글로브밸브, 게이트 밸브, 스트레이너 등과 확대, 축소 등이 있 게된다. 각 관 부속품에 대한 ∆ 오리피스미터 관에 설치된 오리피스미터에 대해서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여기서 m[g/s], C0[오리피스 계수], A0[오리피스 단면적, ㎠], A1[관단면적], ρ[g/㎤], ΔP[g..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0. 1. 26. 환경화학실험 | 산도(Acidity) TIP 1. pH와 알칼리도의 관계성에 따라서 표현할 수 있는 산도를 통해, 정수로서의 산도를 확인한다. 2. 물의 산도를 확인하여, 물에 녹아 있는 미지의 물질의 양과 산도의 관계를 이해한다. 그리고 중화 능력을 가진 수산화나트륨을 통해 산도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산도에 영향을 주는 물질로는 이산화탄소와 무기산도(mineral acidity) 물질이 있다. 무기산도는 산업폐수로 주로 발생되는데, 황, 황화물, 황철강, 황산 등이 호기성 조건에서 황산화 박테리아에 의해 황산이나 황산염이 되는 과정으로 산도를 높인다. 중금속의 염들 중 특히 철(Ⅲ)과 알루미늄(Ⅲ)의 금속이온들이 물속에서 가수분해 되어 무기산도를 일으킨다. 중화되는 동안 이들을 포함하고 있는 용액의 pH가 증가되면, 침전이 생성됨..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20. 1. 22. 화공기초실험 | 물질의 분자량 측정 TIP 1. 쉽게 액화하는 화합물의 분자량을 (에탄올) 이용하여 이상 기체 상태방정식에서 분자량 측정해보기. 2. 에탄올을 이용하여 이상 기체 상태방정식에서 분자량 측정해보기.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분자 1몰의 질량을 분자량이라고 한다. 원자량은 탄소 원자의 동위윈소 가운 데 자연계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질량수 12의 탄소 동위원소를 기준으로 정의 된다. 즉, 질량수 12인 탄소 동위원자 12.00g에 들어 있는 탄소 원자의 수를 아보가드로 수라고 하고, 아보가드로 수 만큼의 원자 또는 분자를 분자량이라고 한다. 원자량과 분자량은 모든 화학 반응을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양 이다. 거의 모든 기체는 상온, 상압에서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만족하기 때문에 기체의 부피, 압력, 온도, 무게를 측정하면 이..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0. 1. 22. 화학생물공정실험 | Production of Glucono-D-Lactone from Glucose Using Glucose Oxidase - 산화효소를 이용한 Glucono-D-Lactone 생성 Glucose가 Glucose oxidase에 의해서 분해되는 과정을 통해 효소의 활동을 이해하는 실험이었다. 이때, redox indicator와 glucose가 oxidation될 때 1:1의 비율로 발생하는 hydrogen peroxide의 농도를 UV/VIS spectrophotometer를 통해 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효소 반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효소 반응의 mechanism과 효소를 다루는 실험에서 주의해야 할 점들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을 간략하게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발생한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peroxidase를 이용한 또다른 효소반응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o-dianisidine은 Electron donor 역할을.. Engineering/화학생물공정 2020. 1. 22. 물리학및실험 | 공명 실험 TIP 플라스틱 공명관의 공기기둥의 음파 공명진동수를 구하고 정상파의 골과 마루의 위치를 측정하여 음파의 파장과 음속을 결정한다. 공명관에서의 정상파 줄에서 들어가는 파와 끝단에서 반사해서 나오는 두 개의 파가 서로 간섭하여 정상파를 형성한다. 줄에서 형성되는 정상파에는 움직이지 않는(진폭이 0인) 지점인 골과 파동에 의해 움직이는 (진폭이 최대치인) 지점인 마루가 있으며, 이곳에서 진폭은 시간에 따라 상하로 진동한다. 마찬가지로 공명관에서도 입사음파와 반사음파의 간섭에 의해 정상파가 만들어지므로 골과 마루가 형성되는데, 음파의 진폭이 각각 최소치와 최대치를 갖는다. 즉 두 개의 파가 서로 180°만큼의 위상차를 갖게 되는 지점에서는 상쇄간섭으로 진폭이 최소가 되는 골이 되고, 위상이 서로 같을 때는 보.. Engineering/물리학 2020. 1. 21. 식품분석학실험 | 과산화 물가 과산화물가는 유지 1㎏에 함유된 과산화물의 mg당량수를 말한다. 유지가 산패되면 유지 중에 우리 건강에 매우 좋지 않은 과산화물이 생성된다. 과산화물은 산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카르보닐 화합물로 분해되기 때문에 결국은 그 양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유지의 과산화물가는 초기단계에 있어서 유지의 산패정도를 나타내는 기준이 된다. 과산화물가는 일반적으로 산화환원 적정법에 의하여 측정된다. 유지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KI를 가하면 KI로부터 형성된 요오드 이온이 유지 중의 과산화물과 반응하여 요오드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 요오드를 티오황산나트륨액으로 적정하여 과산화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즉 생성되는 요오드의 양은 유지 중에 존재하는 과산화물의 양에 비례하게 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0. 1. 20. 연료전지실습 |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의 성능 측정 TIP 연료전지의 기본 원리와 그중 PEMF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 연료전지 오늘날 세계 에너지 수요의 80%에 달하는 화석연료에는 한정된 양과 심각한 환경오염의 유발이라는 문제점이 있어서 끊임 없이 대에 연료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석유 화학 회사들의 추산에 의하면 석유와 천연 가스의 생산량은 2015~2020년경 정점에 달한 후에 점점 감소할 것이라고 한다. 환경문제 또한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해수면 상승, 산성비, 오존층 고갈 노천 채탄(採炭)에 의한 삼림과 농지의 파괴등으로 세계적 환경 피해의 총액은 연간 5조 달러 정도로 추산된다. 이러한 화석 연료의 대체를 위해서는 수소에너지, Solar Cell, Biomass, 수력, 풍력 발전등의 친환경적인 에너지들이 연.. Engineering/그외 공학 2020. 1. 19. 물리학및실험 | 음파 측정 TIP 소리센서를 이용하여 소리굽쇠, 악기, 사람 목소리의 파형을 관찰하여, 서로 비교하여 보자. 음파는 탄성체에서 전파되는 파동으로서, 탄성체를 이루고 있는 질점들이 압축되었다가 팽창되었다가 하면서 전파된다. 기체, 액체, 고체 등에서 구성원자들은 서로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음파가 존재할 수 있지만, 보통의 경우 소리라 하여 공기 중에서 우리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정도의 주파수를 가진 것을 말한다. 사람의 귀는 제한된 진동수의 음파에 반응한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진동수 즉, 가청 진동수는 20Hz에서 20kHz 이다. 음파를 파형, 진폭 주파수에 따라서 순음과 복합 음으로 분류하는데, 순음이란 그림과 같이 파형이 순수한 정현파이고, 그 진폭과 주파수가 매우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음을 .. Engineering/물리학 2020. 1. 18. 환경화학실험 | TC(Total Carbon) 측정 본 실험은 TC(Total Carbon : 총 탄소)를 구하기 위한 실험이다. TC에는 TOC(Total Organic Carbon : 총 유기탄소)와 IC(Inorganic Carbon)이 포함되어 있어 본 실험에는 TOC와 IC를 시료에서 구하여 TC를 구하는 방법의 실험이다. 실험은 매우 간단하다. 먼저 시료를 TC 측정기에 측정을 하면 시료당 15분씩 걸리므로 총 4가지(증류수, Glucose, Phenol, Acetate)를 측정하여 TOC와 IC 값이 나오면 TC값을 구하면 되는 실험이다. 본 실험을 통해서 가정 및 산업의 폐수의 오염세기를 알 수 있다. 오염물을 산화 시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하여 알아내는 실험이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시료(Glucose, Phenol..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20. 1. 18. 재료공학실험 | DSC-TGA를 이용한 유기재료의 열적 특성 분석 TIP TGA와 DSC 분석을 통해 특정 단량체와 이로부터 중합된 고분자 재료의 특성을 파악한다. 열분석 "열분석"이란 ICTAC(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Thermal Analysis and Calorimetry)에서 정의한 바에 의하면, "온도의 함수로써 재료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일련의 분석기법"을 말한다. 즉, 열을 가하여 어떤 단일 물질이나 혼합물, 반응성 화합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실험방법을 일컫는다. 아울러 온도 외에도 시간, 질량 등의 함수로써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게 된다. 열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주요 재료특성은 시료의 전이온도, 질량, 크기, 엔탈피(enthalpy), 점탄성(viscoelastic) .. Engineering/재료 공학 2020. 1. 18. 화학공학실험 | 고정층과 유동층 TIP 1. 고정층과 유동층에서 유체 압력손실을 측정하고 계산한다. 2. 유동화의 조건을 이해하고 최소유동화속도를 측정한다. 3. 유동화의 형태를 관찰하고 이해한다. 4. 공업적 공정에서 고정층과 유동층의 응용을 조사한다. 고정층 (固定層,fixed bed) 용기 내에 고체 입자를 충전해서 고정된 층을 말한다. 즉,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면 고체입자는 움직이지 않아 입자층의 높이는 변하지 않고 압력강하는 조금 더 변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반응 유체를 통해 층과의 접촉으로 반응 조작을 실행한다. 층을 고정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물의 마모가 적고, 형상, 크기, 용량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접촉 시간의 조절이 용이하다. 흡수, 흡착, 증류, 유출 등의 여러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유동화(F..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0. 1. 17. 식품미생물실험 | 순수분리 - 김치 국물로부터 유산균 분리 TIP 1. 두 종류 이상의 미생물이 혼합된 시료나 배양액(혹은 희석액)으로부터 단일 colony를 순수분리하기 위한 기술 습득 2. 순수분리 된 미생물의 계대방법을 익히도록 함 실험 방법 1. 배지준비 1) 증류수(1L)에 Peptone(10g), Lab-lemoo meat extract(10g), Yeast extract(5g), Glucose(20g) 2) Tween 80(1g). KH2PO4 (2g), Sodium actate(5g), MgSO4·7H2O (0.2g), MnSO4·4H2O (0.05g) 3) Triamnonium citrate(2g)을 넣고 마그네틱바를 넣고 핫플레이트에서 잘 섞는다. 4) 멸균을 시키기 위하여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용해 시킨다. 멸균이 된 배지를 식혀 준 다음 플..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0. 1. 16. 고분자공학실험 | 현탁 중합 TIP 1. Styrene과 Dibinylbenzene 을 중합하여 polystyrene 을 직접 합성할 수 있으며 중합반응중의 하나인 현탁 중합에 대해서 이해 할 수 있다. 2. 현탁중합에 있어서 생성되는 중합체의 크기나 모양에 영향인 교반 속도가 빨라질수록, 교반 시간이 길어질수록, 온도가 높아질 수록 현탁중합에서 생성물의 입자의 크기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이해하며 수득률을 구해본다. 고분자(高分子, macromolecule)는 분자량이 1만 이상인 큰 분자를 말한다. 100개 이상의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대개 중합체이다. 물질의 성질로서는 첫 번째로 분자량이 일정하지 않아 녹는점과 끓는점이 일정하지 않고 ,두 번째로 액체 또는 고체로 존재한다. 세 번째로는 반응을 잘 하지 않아 안정적이다. 단량체는..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0. 1. 15.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