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식품미생물학실험 | 세균 염색 및 관찰 미생물은 크기가 매우 작아서 현미경적 관찰을 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 현미경 관찰 시에 대개 시료에 빛이 투과되는 광학현미경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배경과 관찰미생물 간에 미생물 상호간에, 미생물 구조물간에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 관찰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서 염색을 하게 된다. 염색에는 단순염색, 그람염색, 포자염색 등 다양한 방법이 목적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그람염색은 보통 분류를 위해서 사용하게 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미생물 시료를 silde glass에 편평하게 도말한 후 알코올 램프로 살짝 건조시켜 고착시킨다. 1) Slide glass를 염색체에 60초간 염색한 다음 5초간 흐르는 물로 가볍게 세척한다. 시료는 자주색으로 보이게 될 것이다. 1) S..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19. 12. 2. 토목재료실험 | 작열감량법을 통한 토양 유기물 함량 측정 TIP 1. 토양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함량을 알아본다. 2. 깊이에 따른 유기물의 함량 차이를 알아본다. 3. 토양 유기물과 토양질소와의 관계에대해 알아본다. 토양유기물과 토양질소와의 관계 토양 유기물은 작물에서 사용하는 N의 주요 원천이다. 유기 물질은 주로 오랜 기간 동안 수집한 부식질라고 오히려 안정적인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유기 재료의 쉽게 분해 부분은 부패에 더 강한 잔류물 남겨두고, 상대적으로 빠르게 사라진다. 토양은 유기물의 각 %를 유기적 형태의 약 2,000파운드의 N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기물의 각 %를 20 lbN / 에이커 / 년에 동안 다소 느린 속도로 유기물의 수익이 부분분해된다. 유기잔재의 탄소와 질소의 함량비( 탄질비, C/N 비)가 분해에 중요한 이유는 두 가지다. 하..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19. 12. 1. 식품미생물실험 | 주입평판법을 이용한 생균수 측정 TIP 시료를 배수로 희석하여 희석시료 제조법을 익히고, 주입법을 통한 평판배지제조와 미생물의 정량시험법을 익힌다. 평판배지에 배양을 하는 목적은 시료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거나 미생물의 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미생물의 수를 세는 경우는 평판배지위에 나타난 콜로니가 단 하나의 세포로부터 생장이 시작되었는지 세포 덩어리에서 생장이 시작되었는지 출처를 분명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미생물의 숫자를 표시할 때는 항상 CFUs로 표시한다. 표준평판법을 시행한다면 대상 식품안의 미생물의 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배양 후에 평판에서 평판당 25~250콜로니 정도로 측정 가능한 범위의 콜로니가 나타나도록 충분한 희석을 한 후 실험을 진행한다. 만약 희석액에서 1㎖ 를 뽑아 평판배지를 만든다면 평판배지의 희석..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19. 11. 24. 미생물학실험 | 배지만들기 및 공중낙하 미생물 측정 TIP 대기와 개천 등에 여러 가지 미생물이 먼지, 부패물들과 함께 부유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물이나 환경에 오염을 일으키고 그 미생물이 병원체일 경우 질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대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진균의 종류 및 그 수치를 측정함으로서 미생물에 의한 대기의 오염을 알 수 있으며, 대기 중에는 존재하는 미생물이 어떠한 미생물의 분포를 이루느지 알 수 있는 것이다. 미생물의 종류와 특징 공중에서 관찰 할 수 있는 미생물의 종류에는 세균과 진균류가 있다. 세균은 일반적으로 공기중에 부유하거나 낙하되는 것으로 부유세균과 낙하세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측정방법상에도 차이를 둘 수 있다.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세균은 먼지나 농도에 정비례한다는 사실을 미루어보아 공기 청정도와 밀접.. Biology/미생물학 2019. 11. 23. 일반생물학실험 | 원핵생물 현미경 관찰 - 미생물 : 그람염색(Gram Staining +,-) TIP 1. 세포는 모든 생물의 기능적, 구조적 기본 단위이다. 원핵 세포를 가진 세균들을 미생물 감별염색법 중 하나인 그람염색을 통하여 그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그람양성균과 음성균의 판정을 내린다. 2. 현미경의 원리, 종류, 사용법을 익힌다. 3. 미생물의 관찰 및 형태학적 특성을 알아본다. 4. 미생물의 염색의 목적과 원리를 알아본다. 5. 염색방법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본다. 그람 염색(Gram Staining) 세균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염색방법이며, 염색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차 염색의 탈색이다. 그람 염색 결과 자주색으로 염색되는 세균의 경우 그람양성균이며, 분홍색으로 염색되는 세균은 그람음성균이다. 이 때 양성과 음성은 전기적인 성질과는 관련 없으며 형태학적인 차이를 나타낼 뿐이다..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1. 5. 일반생물학개론 | 생활속에서 미생물이 미치는 영향 TIP 1. 신문 및 방송 기사를 통한 생활속 미생물 2. 신문 및 방송 기사를 통한 생활속 미생물의 영향 1. 신문 및 방송 기사를 통한 생활속 미생물 ※ 대장균, 살모넬라균, 메르스(MERS) 코로나바이러스, 유산균, 고초균 글로벌 식품안전 위해요인 1위 '미생물' 식약처, 50개국 식품정보 7996건 분석…미생물 21.6% 지난해 세계 주요 국가에서 식품안전 위해요인으로 살모넬라와 대장균 같은 미생물 오염이 가장 많이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50개국 272개 기관에서 발표한 위해식품 정보 1만5376건 가운데 제품명과 위해사유가 확실한 7996건을 분석한 결과 위해요인으로 식육과 식육가공품, 포장육 등에서 주로 발생한 '미생물 오염'이 1727건(21.6%)으로 가장 많..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1. 1. 환경미생물학개론 | 환경미생물 주요사항 TIP 1. 후생동물(metazoan)이란 무엇이며 이들이 환경적인 측면에서 관심의 대상이 이유를 설명하라 2. 미생물 실험에서 살균(sterilization)을 수행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살균의 방법을 열거하고 각 방법을 설명하라 3. 살균과 소독의 차이점을 설명하라 4. 내생호흡이란 무엇이며 하*폐수처리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5. 미생물의 혼합배양 시 일어날 수 있는 상호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라. 6. 자연환경에서 미생물에 의한 물질분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상호작용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가. 7. 생분해(biodegradation)란 무엇이며 생분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열거하고 각각을 설명하라. 8. 다음화합물의 호기적(aerobic)생물분해과정을 화학구조식을 이용하여 설명하라. ..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19. 10. 27. 일반미생물학실험 | 배지 조제 TIP 1. 미생물 배양에 필요한 고체배지를 만들어 보고 고압증기멸균(Autoclave)하는 방법을 숙지한다. 2. 우리 주위의 환경 속에서 분포하는 미생물들을 배양할 수 있다. 실험 기구 1. Auto clave 단어를 검색해보니 고압증기멸균기 라는 기계의 설명이 나왔다. 고압증기멸균기 는 병원에서 멸균을 하는데 사용하는 기계로써 고온·고압하에서 합성·분해·승화·추출 등의 화학처리를 하는 내열·내압성 용기이다. 멸균대상물에 따라 적절한 온도와 압력을 설정하여 가열한 포화수증기로 효소와 조직 단백질의 비가역적인 응고작용과 변성으로 미생물을 살멸시킨다. Auto clave(고압증기멸균)을 하는 이유 : 배지를 제조하는데 앞서 Auto clave를 하는 이유는 원하는 미생물을 배지에 배양하기 전에 미리 배지.. Biology/미생물학 2019. 10. 20. 유전학실험 | UV조사를 이용한 B-W균주의 돌연변이 유도 및 효소활성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배지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배지의 종류와 각종 배지의 제조방법들을 배워서 미생물의 생육조건과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한 배지를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세균 배양에 필요한 영양소가 포함된 배지를 만들어 목적 세균을 증식시킬 수 있고 완벽하게 멸균하기 위해 고압증기 멸균방법을 알아본다. 또한 UV를 이용하여 돌연변이를 유도해 생성되는 결과물을 관찰하고 돌연변이 된 균주와 모체의 차이점을 알 수 있는 실험법에 대해 알아보고, 효소 활성 확인 배지에서 효소활성여부 결과를 확인해본다. 모체와 돌연변이체의 차이점 첫 번째로 DNA 염기서열 차이가 있는데 돌연변이가 생기게 되면 DNA의 염기서열에 변화가 일어나서 문제가 발생되며 변화가 생긴 염기서열이 복제가 되면서 모체와는 다른 .. Biology/유전학 2019. 10. 9. 분자생물학개론 | 미생물 배양을 위한 배지(Culture Medium) TIP 1. 미생물 분야와 배지개발의 역사 2. 배지(culture midium) 3. 미생물 성장 조건 4. 배지성분과 배양환경 5. 미생물 배지 제조법 1900년대 초기에 식물의 일부분을 떼어내어 배양하려는 시도로부터 조직배양이 시작되어 1930년대 초기내에서 뿌리를 유기시켰고 1930년대 후기에 당근과 같은 저장조직의 일부분을 배양하여 callus를 유기시켰다(Fowler와 Rayns, 1993). George와 Sherrington(1984)에 의하면 ꡒ1957년 Skoog와 Miller가 배지내 auxin과 cytokinin의 상호작용이 조직이나 기관 배양시 기관형성 및 분화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ꡓ한 이후 여러 학자들이 배지 및 형태형성 등 식물세포의 전형성능에 관해 집중적으로 연구한 결과 .. Biology/분자생물학 2019. 10. 7. 미생물개론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과학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인간에게 편리함을 안겨 주었다. 예를 들어 컴퓨터의 발달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문서를 작성할 수도 있고, 음악도 들을 수 있으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을 하므로 인해서 급진적으로 연쇄 발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과학 기술이 우리에게 이면에 심각성을 안겨주고 있다. 과학 기술을 단순하게 과학 술로서만 사용한다면 문제 되지 않지만 이로 인한 많은 환경오염들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예를 들어 인간이 만든 세제 같은 경우도 과학 기술에 한 일부분이다. 세제는 기름때라든지 어떤 것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등 여러 가지로 인간에게 편리함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세제는 우리에게 이러한 이점만 주는 것은 아니다. 바로 수질오염이라는 크나큰 과제를 안겨주는 것이다.. Biology/미생물학 2019. 10. 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