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생물실험 | Recovery and digestion of the amplified DNA TIP PCR로 증폭된 DNA를 회수하여 절단한다. 그로 인해 형질전환 때, vector을 넣을 DNA를 얻고, 절단하여 vector를 넣고자 함이다. 이 때, vector DNA와 insert DNA 모두 같은 효소로 같은 위치를 절단하고자 한다. Restriction enzyme(제한효소) DNA 특정부위를 자르고 붙일 수 있다. DNA를 자른다는 것은 nucleotide들이 연결되어 있는 인산디에스테르결합(phosphodiester bond)을 끊어내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런 역할을 하는 효소를 nuclease라고 하며 바깥쪽을 자르면 exonuclease, 안쪽을 자르면 endonuclease라고 부른다. endonuclease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제한효소(restriction enzyme / .. Biology/미생물학 2020. 1. 27. 유전공학실험 | PCR과 Transformation TIP 유전자를 cloning하여 vector에 주입하여본다. 그리고, 대장균에 주입하여 발현 정도를 관찰한다. PCR DNA의 원하는 부분을 복제·증폭시키는 분자생물학적인 기술이다. 이 기술은 사람의 게놈과 같은 매우 복잡하며 양이 지극히 미량인 DNA 용액에서 연구자가 원하는 특정 DNA 단편만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증폭에 필요한 시간이 2시간 정도로 짧으며, 실험 과정이 단순하고, 전자동 기계로 증폭할 수 있기 때문에, PCR과 여기서 파생한 여러가지 기술은 분자생물학, 의료, 범죄 수사, 생물의 분류 등 DNA를 취급하는 작업 전반에서 지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970년대에 gene cloning기술의 개발은 이전에 불가능했던 방법으로 유전자와 유전자 활성에 대한 연구.. Biology/유전학 2019. 12. 11. 생화학실험 | Preparation of competent E-coil & transformation TIP DNA가 유전적 형질 전환을 한다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서 Competent된 E-coli를 만든 후 transformation을 시킨다. Competent cell 정상적인 bacteria에 화학적 처리를 하여 DNA가 잘 들어갈 수 있게 만든 cell을 의미한다. ligation을 마친 DNA나 circular 형태의 Plasmid를 증폭하기 위해서, 혹은 cloning을 끝내고 완성된 vector가 있는데 그것을 expression하기 위해서 E.coli에 transformation을 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E.coli host cell을 competent cell이라고 부릅니다. 화학 처리에 쓰이는 시약은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calcium chlor.. Biology/생화학 2019. 11. 2. 분자생물학개론 | Introduction of DNA into Living Cells - 생세포에서의 DNA 도입 TIP 1. 형질전환(Transformation) - 세균 세포에 의한 DNA uptake 2. 재조합체의 동정 3. Introduction of phage DNA into bacterial cells 4. Identification of recombinant phages 5. Transformation of non-bacterial cells 재조합 DNA 제조 후 다음 단계는 생세포(보통 세균)안으로 재조합 DNA를 도입시키는 것이며 그 세포는 클론을 생산하기 위해 성장, 분열하게 된다. 엄밀히 말해서, 클로닝이란 재조합 DNA제조 자체를 일컫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 과정만을 말한다. 형질전환(Transformation) - 세균 세포에 의한 DNA uptake 대부분의 세균 종들은 그들이 성장하는 .. Biology/분자생물학 2019. 10. 28. 생화학실험 | DNA purification & DNA Gel Electrophoresis TIP 1. DNA, RNA, Protein 등의 혼합물, RNA, Protein과 같은 contaminants를 제거하여 Pure DNA를 얻는다. 2. 미생물에서 Plasmid DNA를 분리하고 PCR을 이용하여 DNA를 증폭하고,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DNA를 절단한 후 Mini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법에 의해 DNA를 분리하고 확인하여 본다. 3. Plasmid DNA를 이용하여 미생물 형질전환을 한 후 미생물 형질전환체를 선별하는 기술까지 분자생물학을 공부하는데 필수적인 실험 기술을 습득한다. Plasmid DNA 분리법 원핵세포에는 염색체 DNA 외에도 작은 DNA가 발견된다. 보통 플라스미드(Plasmid)라 불리는 이들 DNA는 염색체 DNA보다 상당히 작고(4kb~100kb) 스스로 복.. Biology/생화학 2019. 10. 21. 생명공학실험 | Cell Transformation TIP Transformation을 통해 E.coli 에 원하는 DNA를 주입한다. Competent cell E. coli를 포함한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일반적인 환경에서 극히 제한된 양의 DNA만을 받아들인다. 이러한 종류를 효과적으로 transformation 하기 위하여 박테리아는 DNA를 받아들이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물리적, 화학적 형태의 처리가 필요하다. 정상적인 bacteria cell에 이러한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하여 외부의 DNA가 잘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든 cell을 competent cell이라고 한다. Competent cell로 만드는 방법으로는 우선 37℃가 아닌 18℃에서 cell을 키우면 세포막을 빽빽하게 못 만들게 된다(heat shock). 그 후에 칼슘이온으로 처리해서..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19. 10. 19. 생명과학개론 |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실험적 근거 그리피스의 폐렴 쌍구균의 형질전환 실험. 폐렴쌍구균은 당으로 구성된 외벽을 가지는 병원성 S형과 외벽을 가지지 않는 비병원성 R형이 있다. 열처리하여 비병원성으로 만든 S형과 본래 비병원성인 R형을 섞어 생쥐에 주사하면 생쥐는 폐렴으로 죽게된다. 이렇게 죽은 생쥐에서 살아있는 병원성 S형이 검출되었고, 보다 정교한 실험에서 S형의 DNA가 R형을 살아있는 S형으로 전환시켰다. 이를 형질전환 (transformation)이라 하고 이것을 일으키는 형질전환원리 (transformation principle)가 DNA임을 여러 증거로 밝혔으나 당시에는 인정받지 못하였다고 설명한다. ▷ S형균 ――――――――――――→ 쥐 ―――――→ 죽음 ▷ S형균 + 열 ―――――――――→ 쥐 ―――――→ 삶 ▷ S형균 + ..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19. 10. 5. 일반생물학개론 | 형질전환동물 TIP 1. 형질전환동물을 생산하는 목적 2. 형질전환동물을 생산하는 방법 3. 형질전환동물의 이용 4. 형질전환동물의 문제점 형질전환동물을 생산하는 목적 형질전환동물이란 다른 종의 유전자를 삽입․조작함으로써 본래의 것과는 다른 유전적 특성을 갖게된 동물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인위적인 DNA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동물을 말하며 인위적으로 돌연변이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러한 형질전환동물을 만들기 시작한 목적은 산업적, 의학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성장촉진에 관여하는 유전자나 산유 및 산란능력을 촉진하는 유전자를 이용하여 가축의 생산능력을 높일 수 있다. 특정질병에 저항성을 가지는 유전자를 도입하여 항병성을 가지는 동물을 만들 수 있다. 의약품과 같이 산업적으로 유용한 단백질 유전자를 도입한 형질전환..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0. 2. 목초생리생화학실험 | Tall fescue agrobacterium 형질전환 Agrobacterium 형질전환 외래 유전자가 작물 내로 도입되는 현상은 토양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인 아그로박테리움을 볼 수 있다. 이 미생물은 토양속의 양분이 부족해지면 식물에 침투하여 기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때 자신이 가진 플라스미드 DNA의 일부(T-DNA라고 불리는 부분)를 절단하여, 이 유전자를 식물의 genome내에 도입하여 생장조절제와 아미노산을 만들도록 한다. 식물체의 줄기 혹은 뿌리에 근두암종병(Crown gall)이라는 비정상적인 혹이 생기는 이유는 아그로박테리움의 유전자가 식물체에 옮겨져 생물생장조절제의 작용에 의해 세포분열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신의 유전자중 일부를 식물에 옮기는 현상을 알아낸 과학자들은 유용한 유전자를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하여 식물에 도입하려 하.. Biology/생화학 2019. 10. 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