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삼투와 물질의 이동 TIP 식물세포(양파 표피세포)와 동물세포(적혈구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수용액의 주성분인 물의 이동에 따른 세포의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삼투의 개념을 이해하고 식물세포와 동물세포 각각 삼투 현상의 차이를 구분한다. 세포막(원형질막) 1. 역할 각각의 세포는 원형질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세포의 내용물들을 분리하게 된다. 막은 문지기의 역할을 하는데 어떤 물질은 세포 안이나 혹은 밖으로 이동하게 되며, 외부의 환경으로부터의 화학적인 신호를 세포 안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막은 특정한 물질만을 통과시키는 선택적 투과막으로 작용한다. 2. 구조 원형질막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은 막의 구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막의 구조는 두 겹의 지질층에 단..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3. 11. 7. 일반생물학실험 | 삼투 삼투현상 반투과성 막을 경계로 농도가 다른 두 용액이 있을 때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용매가 확산에 의해 이동하는 현상으로,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다. 반투과성 막 세포막, 셀로판 막, 달걀 속껍질 등과 같이 물과 같은 용매는 투과시키지만 용질은 특성에 따라 투과시키지 않는 막으로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다. 용액 속의 입자 중에서 막의 구멍보다 크기가 작은 물질은 반투과성 막을 투과할 수 있으나 막의 구멍보다 크기가 큰 물질은 반투과성 막을 투과할 수 없다. 실험 방법 실험 1. 1) 0M, 0.3M, 1M NaCl 수용액을 준비하고 각각의 용액에 직육면체로 자른 3g의 감자를 넣는다. 2) 15분, 30분, 45분이 지났을 때 감자를 꺼내 질량을 측정한다. 실험 2. 1) 양파를 정사각형모양 4개로 자른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3. 11. 6. 발생공학실험 | Tunicamycin의 첨가 배양이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실험 요약 본 실험은 Tunicamycin 의 ER stress효과를 확인 하기 위해 실시된 실험으로서, 미성숙 난포란을 채취하여 IVM-media를 기본 배양액으로 하여 체외 수정후 체외 수정된 난포란을 체외 배양하여 두 개의 비교군을 두어서 하나의 비교균은 기본 배양액을 사용하고 또 하나의 비교군은 Tunicamycin을 첨가 하여 체외 수정후 6일째와 7일째에 배반포 발달률을 조사 하였다. 실험 결과 Tunicamycin을 첨가한 실험군의 배반포 발달률이 떨어 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보아 Tunicamycin이 수정란에 stress를 유발시켜 배반포 발달률을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방법 1. 미성숙 난포란의 채취 1) 난포란의 채취를 위한 난소는 도축 직후의 .. 보건의료/의약학 2022. 12. 31. 일반생물학실험 | 양파 표피세포 속의 세계 TIP 식물세포인 양파 표피세포를 재료로 생명현상이 일어나는 가장 기본적 단위인 세포의 구조를 광학 현미경으로 살펴보고, 세포를 잘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염색의 원리를 알아본다. 세포막은 인지질, 단백질, 당으로 이루어진다. 인지질은 2중층(단일막)으로 구성되는데 인산과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며 인지질층의 바깥쪽은 친수성(인산)끼리 맞닿아 있고, 안쪽은 소수성(지방산)끼리 맞닿아 있다. 세포의 막에서 핵,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등은 2중막으로 되어 있고, 소포체, 골지체, 리소좀, 액포 등은 단일막, 인과 리보솜은 비막 구조로 되어있다. 식물세포는 세포벽으로 인해 모양이 뚜렷한 다각형 모양일 것이라 예상된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식물세포를 관찰할 때는 염색약을 이용하여 세포나 세포 내용물을 염색한다. 대..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2. 12. 22. 일반생물학실험 | 양파 표피세포 관찰 TIP 진핵생물의 구조 및 기능의 기본단위인 동물과 식물세포를 관찰하고 비교하며, 광학현미경 사용법을 익힌다. 동물세포와 식물세포 세포란 생물체의 구조와 기능을 위한 기본 단위로, 생물체의 모든 활동은 세포의 활동에 기초한다. 동물세포(Animal Cells)의 경우에는 핵, 미토콘드리아, 리보솜, 소포체, 골지체, 리소좀, 미세소관, 중심립으로 구성되어 있고, 식물세포(Plant Cells는 핵, 소포체, 골지체, 리보솜, 미토콘드리아, 리소좀, 미세소관 등은 식물세포의 세포소기관이자 동물세포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세포소기관이다. 특히 세포는 환경과의 물질교환을 조절하는 세포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세포막 세포막 (cell membrane)은 세포 외 막 뿐만 아니라, 세포 내에 소포체, 골지체,..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2. 12. 19. 세포생물학 | 세포막의 물질수송 TIP 1. 세포막의 물질수송 2. 막 수송 3. 막 수송의 단백질 4. 결론 세포막의 물질수송 1. 막의 생물학적 역할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이 막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독특하고 복잡한 생리적 특성을 가지는 특수한 물리적 배열을 가지게 된다. 언뜻 볼 때, 막의 경계는 단지 세포와 세포소기관의 민감한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하기 위한 보호막으로 생각된다. 막의 이런 역할도 중요하지만, 이들 막은 세포의 생명 현상 유지에 결정적인 다른 기능들을 수행한다. 막은 물리적 경계로서 세포의 모양과 형태를 결정하고, 세포의 성분들은 한데 묶어 놓으며, 세포의 구조적 통합성을 유지한다. 막 구조는 조직과 세포 내의 생화학적 활성을 조직화하고 구획화 한다. 그러나 세포는 완전히 격리된 상태에서는 생명을 유지할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2. 4. 14. 일반생물학실험 | 딸기 DNA 추출 TIP 동물이 대부분 2배체의 DNA를 가지고 있는 것에 반해, 식물은 2배체 뿐 아니라 3배체, 4배체, 8배체까지도 일상생활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렇게 배체가 2배체 이상인 생물을 다배체 생물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여러 가지 다배체 생물 중 8배체인 딸기를 이용하여 간단한 실험을 통해 DNA 덩어리를 직접 추출해 보고 관찰하고자 한다. 세포막(cell membrane) 세포와 세포 외부의 경계를 짓는 막으로 세포 내의 물질들을 보호하고 세포간 물질 이동을 조절한다. 세포막의 두께는 약 7.5~10㎚이며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막의 주성분인 지질은 분자의 한 쪽 끝부분이 극성이 커 친수성을 띠고, 나머지 긴 사슬 부분은 극성이 작아 소수성을 띤다. 친수성은 물과 잘 어울리는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10. 6. 일반생물학실험 | 삼투 현상의 관찰 TIP 식물세포막의 선택적으로 물질을 통과시키는 반투과성 성질로 인한 원형질의 분리와 복귀를 관찰하고 삼투현상을 이해한다. 세포막의 구조와 기능 세포막의 두께는 약 7.5~10nm이며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막의 주성분인 지질은 분자의 한 쪽 끝부분이 극성이 커 친수성을 띠고, 나머지 긴 사슬 부분은 극성이 작아 소수성을 띤다. (친수성은 물과 잘 어울리는 성질을 말하고 소수성은 물과 섞이지 않으려 하는 성질을 말한다.) 외부 환경은 친수성이기 때문에 소수성인 긴 사슬 부분은 이를 피해 뭉치려 한다. 그래서 지질은 사슬 부분이 서로 맞붙어있는 이중층을 이룬다. 세포막은 이렇게 지질이 이중층을 이루고 그 속에 단백질이 박혀 있는 모양이다. 지질층은 기름과 같기 때문에 지질층에 묻힌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9. 26. 일반생물학실험 | 양파세포의 삼투현상 관찰 TIP 식물세포막의 선택적으로 물질을 통과시키는 반투과성 성질로 인한 원형질의 분리와 복귀를 관찰하고 삼투현상을 이해한다. 세포막의 구조와 기능 식물에겐 세포벽이 존재하여 세포 형태를 유지하고 내부 물질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물질의 출입을 관리하는 역할은 수행하지 못한다. 이 역할을 하는 것이 세포막이다. 각종 신호물질, 호르몬, 영양분 등이 오고가는 통로인 것이다. 세포막은 생명체와 비생명체를 구분하는 가장 기본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세포막의 두께는 약 7.5-10㎚이며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에서도 지질이 세포막의 주성분이다. 지질은 한 쪽 끝부분은 극성이 커 친수성을 띄고, 다른 끝 부분은 극성이 작아 소수성을 띄는데 우리 몸엔 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소수성 부분은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9. 4. 생명과학실험 | 양파 표피세포의 삼투현상 관찰 세포막 (cell membrane) 세포막(cell membrane)은 외부 환경과 세포 내부를 분리시켜주는 생체막이다. 세포막은 세포를 외 부와 구분 짓고 다른 세포나 외부의 물질을 인식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세포막의 가장 중 요한 기능은 기체, 물, 이온과 유기물질에 대해 선택적 투과성(selective permeability)을 가지며 세 포 안팎으로의 물질의 이동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산화탄소나 산소와 같이 크기가 작고 극성이 없는 물질은 인지질 2중층을 바로 통과하지만 대부분의 물질은 막 단백질의 도움을 받아 이동한다. 반투과성 막(semipermeable membrane) 반투과성 막은 용매는 투과시키고 용질은 투과시키지 않는 막이다. 용액 속의 입자 중 막의 구멍 보다 크기가 작은 무..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1. 8. 19. 일반생물학실험 | 세포막의 물질투과 실험 방법 1. 양파세포의 원형질 분리 ① 양파의 표피세포를 벗겨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올린다. ② D.W와 0.9% NaCl, 10% NaCl용액을 준비한 양파세포에 각각 몇 방울 씩 떨어뜨린 다음, 5분 후에 커버글라스를 덮고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③ 각 농도에 따른 세포 모양과 크기를 스케치한다. 2. 적혈구 세포의 용혈현상 ① 손가락 끝을 알코올로 속독한 다음 auto lancet을 이용해 혈액을 얻는다. ② 혈액을 3개의 슬라이드 그라스에 각각 떨어뜨리고, 각각의 슬라이드 글라스에 D.W, 0.9% NaCl, 10% NaCl을 동량 떨어뜨린다. ③ 혈액을 잘 섞어 육안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시간에 따른 변화도 관찰한다. ④ 커버 글라스를 덮고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⑤ 각 농도에 따른..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5. 24. 일반생물학실험 |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TIP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 현상을(확산, 삼투, 능동수송) 현미경으로 관찰해보고 세포의 생리적인 변화인 삼투 현상을 동물세포와 식물세포를 비교하여 관찰한다. 세포(cell, 細胞) 지구상 대다수 유기체의 기본 구조 및 활동 단위이다. 박테리아 등의 유기체는 단지 세포 하나로 이루어진 단세포 생물이다. 반면, 인간을 포함한 다른 유기체는 다세포이며, 인간의 경우 대략 60조 개 이상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 이론은 1839년 마티아스 야코프 슐라이덴과 테오도르 슈반에 의해 확립되었다. 이 이론은 모든 유기체는 하나 이상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세포는 기존의 세포에서 출발했고, 모든 생명 활동 역시 세포에 기반하며, 마지막으로 세포는 스스로의 기능을 정의하고 다음 세대로 정보를 넘겨주기..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2. 13. 일반생물학실험 | 신체 미생물 및 공중 낙하균 관찰 TIP 실제 우리 주변에서 생활하면서 접하게 되는 것들에게서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균의 종류를 알고, 우리 주변에 출현하는 미생물의 종류와 위생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실험 방법 1. 배지 만들기 1) DW 600㎖ + LB 15g(N:T:Y=2:2:1) + agar 9g을 준비한다. 2)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magnetic stirrer넣고 hot plate에서 녹인다. 3) 잘 녹인후 auto clave 돌린다. 4) 은근한 열이 있을 때까지 식힌다. (굳지않게 유의) 5) petri-dish에 적당한 양을 부어주고 식혀 굳힌다. 6) 랩(or 파라필름테이프)에 싸서 4℃에 거꾸로 보관한다. 2. 신체 미생물 및 공중 낙하균 관찰 1) 냉장고에서 꺼낸 LB plate의 온도가..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6. 7. 생명과학실험 | 세포막을 통한 삼투 현상 관찰 TIP 1. 삼투현상에 대해 알아본다. 2. 양파세포와 적혈구에서의 삼투현상에 대해 알아본다. 동물 세포 식물 세포 저장액 수용액의 삼투압이 세포질보다 낮은 경우 결과 :삼투에 의해 물이 적혈구 안으로 들어가서 부풀어 오르다가 결국에는 세포막이 터지는 용혈 현상이 일어난다. 동물 세포는 식물 세포와 달리 세포벽이 없기 때문에 삼투에 의해 물이 계속 들어오면 세포막이 지탱할 수 없다. 삼투에 의해 물이 세포 안으로 들어와 세포가 팽창한다. 세포벽이 있어 동물 세포와 달리 터지지 않고 세포 내부에서 세포벽을 미는 힘(팽압)이 발생한다. 세포가 최대로 팽창하여 팽압이 최대인 상태를 최대 팽윤 상태라고 한다. 등장액 수용액의 삼투압이 세포질과 같은 경우 결과 : 물의 이동이 균형을 이루어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0. 3. 10. 생명화학공학실험 | 효모(Yeast)의 회분식 플라스크 배양 TIP 효모의 플라스크 배양을 통한 회분식 성장 특성을 파악해 본다. 발효(fermentation) 기술 회분식 발효에서 첫 번째 단계는 petri dish, slant tube 또는 보관용 액체 배지에 있던 순수한 효모균을 플라스크에 접종하는 일이다. 접종된 균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교반 반응기에서 배양되며, 균이 대수성장기에서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될 때 일부를 다시 꺼내어, 보다 큰 부피의 액체 배지에 (플라스크 또는 발효기) 접종하여 연속적으로 배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과정이 점차 큰 부피의 발효기로 옮겨가며 여러 번 반복 수행되어 효모의 생장을 최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발효 산업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큰 부피의 발효조에 접종할 충분한 양의 효모균을 얻게 되며, 목적 산물의 생산..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0. 3. 3. 일반생물학실험 | 효모균의 관찰 TIP 현미경의 구조 및 사용법을 익혀 생물학 실험의 원활한 진행을 할 수 있으며 막걸리 속 효모를 관찰함으로써 효모의 생활사 및 생물학적 특징을 알아본다. 효모의 생식법과 생활사 효모는 자낭균류로서 균사에 격벽이 있어 다세포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담자균류와 더불어 고등 균류로 분류된다. 자낭균류는 대게 균사 끝의 분생자병에서 사슬형태의 분생 포자를 만들어 무성 생식을 한다. 그러나 때로는 균사의 접합으로 자낭을 형성하여 자낭 포자를 만드는 유성 생식을 하기도 한다. 자낭 포자는 포자낭 속에서 보통 8개가 만들어 지는데, 자낭 포자가 만들어질 때 감수 분열이 일어나므로 다양한 형질의 곰팡이가 생긴다. 그러나 효모는 다른 자낭균류와는 달리 균사가 없으며, 대개 출아법에 의한 무성생식을 한다. 그러나 환..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1. 30. 생명과학실험 | DNA extraction TIP 병균에 대한 항생제를 만들거나 복제생물을 만들기 위해 자신이 원하는 DNA를 얻는다.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층 구조 (미셸 구조)를 가지며, 바깥은 친수성, 안은 소수성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계면활성제 또한 친수성과 소수성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소수성부분이 기름에 붙어서 분리해주는 것처럼, 세포막과 핵막을 녹여 DNA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물과 분리해야하므로 DNA 보다 몰과의 친화력이 강한 에탄올을 사용하여 분해해준다. 전기영동은 gel 구멍에 염색된 DNA를 넣어 주면, DNA가 (-)전하를 띄는 점을 사용해서 두 전극 사이에 위치시켜 양극으로 움직이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Sample에 Seed extraction buffer 400㎛을 넣고 ..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0. 1. 28. 미생물실험 | 세균의 분별 염색법 TIP 그람염색법의 원리와 방법을 실험을 통해 터득하고, 주어진 박테리아들을 그람양성과 그람음성으로 구분해 본다. 그람 염색법 세포벽을 이루고 있는 성분과 구조적인 차이에 의해 그람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구별하는 염색법이다. 그람양성세균은 크리스탈 바이올렛 등의 염기성 염료로 염색되어 탈색제 처리 후에도 탈색 되지 않고 보라색을 나타내는 세균이며, 그람음성세균은 탈색제에 의해 크리스탈 바이올렛이 탈색되고 대응 염색제에 의해 염색되어 붉은색을 나타내는 세균이다.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 펩티도글리칸층이 한 겹으로 매우 얇으며, 이 층 외부에는 인지질 등으로 구성된 외막이 감싸고 있는 형태로 세포벽이 이루어져 있다. 이 때 펩티도글리칸층은 주변세포질공간이라고 불리는 여러 효소와 기질이 존재하는 작은 공간이 생.. Biology/미생물학 2019. 12.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