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공학실험 |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 측정 - GPC를 이용한 고분자물질의 분자량 측정 TIP 1. GPC(Gel Permeation Chromatogrphy)의 원리와 특징을 살펴보고, 사용법을 익히며 그것의 결과치를 해석한다. 2. 분자량 분포가 좁은 폴리스티렌관 분포가 넓은 폴리스티렌 및 PVC를 GPC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GPC 서론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는 어떤 긴 컬럼안에 가교된 고분자 (gel)로 충진 시키고, 이 컬럼안으로 고분자용액을 투과 (permeation)시켜 컬럼안에서 고분자가 크기에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고안된 분리법이다. 쉽게 말하면, 분자량이 큰 물질이 먼저 유출되고, 작은 분자량물질이 느리게 나오도록 하여, 고분자가 컬럼내부에서 얼마나 머무는가 하는 시간 (retention time)을 측정하여 고분자의 분자..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0. 4. 30. 물리화학실험 | Effect of Ionic Strength on Solubility - 이온 세기 효과 TIP 1. 용액의 이온 세기에 따른 이온의 활동도 계수를 구하는 실험이다. 이러한 활동도 계수는 평형상수와 용해도로부터 계산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럼으로써 이들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본 실험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2. 수용액에서의 염의 용해도는 다른 종류의 전해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달라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Ⅰ) 공통이온 효과에 의한 것, Ⅱ) 염을 구성하는 이온이 포함되는 화학 반응에 의한 것, Ⅲ) 용액의 이온 세기가 달라짐으로써 이온의 활동도계수가 변함에 의한 것 등이다. 이들 경우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는 농도로 표현된 근사적인 평형상수를 고려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3. 본 실험에서는 세 번째 경우를 살펴보기 위하여 활동도로 표현된 열역학적 평형상수를 고려하고자 한다. 이때 평형상.. Chemistry/물리화학 2020. 4. 30. 무기화학실험 | 황산동 5 수화물의 제조와 물성 - 황산구리 5수화물의 제조 TIP 구리로부터 황산구리 5수화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 물성을 알아보고 황산구리 5수화물을 직접 제조할 수 있다. Jahn-Teller Distortion 전자적으로 degenerate되어있는 nonlinear molecule인 CuSO4·5H2O은 그 대칭성을 낮게 하여 degenerate 상태를 제거하고 에너지를 낮게 하도록 일그러짐(distortion)이 일어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축퇴된 상태에 있는 비선형 분자는 그 대칭성을 낮게 하여 축퇴를 제거하면 에너지를 낮게 하도록 변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처럼 Distortion이 일어난다면 축퇴준위가 Jahn-Teller effect로 갈라지므로 착물의 에너지는 안정화된다. Cu(Ⅱ)의 경우에 신장이나 압축을 통한 distortion은 Cu(Ⅱ.. Chemistry/무기화학 2020. 4. 30. 신소재기초실험 | 탄소강의 함량에 따른 미세구조의 변화 TIP 시편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한 시편의 Mounting, Polishing, Etching 등의 과정을 익힌다. 또한 금속의 내부조직을 연구하는 데에 가장 많이 쓰이는 현미경으로 금속입자의 크기, 모양, 배열등의 미세구조 관찰을 통해 탄소의 함량에 따른 미세구조의 변화를 습득한다. 과공석강 서냉시 조직변화 1.2%C의 과공석강을 950℃(그림 1의 g점)에서 충분한 시간동안 유지하게 되면 공석강에서와 마찬가지로 균일한 오스테나이트로 된다. 이 강이 그림 4의 h점 온도로 서냉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서 초석 시멘타이트(proeutectoid cementite)가 핵생성 되어 성장하게 된다. 다시 이 강이 j점까지 냉각되는 동안에 초석 시멘타이트는 계속 성장해 가면서 오스테나이트에 있는 탄소를 고..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20. 4. 29. 영양생화학실험 | 혈중 콜레스테롤 측정 콜레스테롤의 기능 1. 담즙산의 전구물질이 되는데, 담즙산은 십이지장으로 배설되며, 음식물 속의 지질을 유화시켜 그 흡수를 돕는다. 2. 여러 가지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전구물질이 되어, 당질 대사와 전해질의 조절, 생식기능의 조절 등 생체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3. 비타민 D의 전구체이다. 4. 생체막, 특히 세포막의 구성성분이고, 세포의 구조를 유지함과 동시에 막의 유동성을 조절하며, 막의 안팎으로의 물질 투과기능에 관여한다. 5. 부신이나 생식기에서 합성된 콜레스테롤은 주로 그 장기에서 일어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에 쓰이며, 간장의 콜레스테롤은 80%가 담즙산이 되고, 나머지는 혈액속으로 들어가 여러 장기로 운반된다.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추는 방법 혈액중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주요방법은..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0. 4. 29. 화장품 화학 | 몸에 바르는 분 몸에 바르는 분 분(powder)을 피부에 바르면 부드럽고 건조한 느낌을 갖게 해준다. 얼굴에 바르는 분은 피부에 색소를 주어 얼굴의 음영을 조화시킨다. 몸에 바르는 분은 주성분이 탈크(Mg3(OH)2Si4O10)로서 천연 광물질이며 수분과 지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분의 큰 흡수력은 탈크분자 중 전기 음성도가 큰 산소 때문이다. 산소는 물과 수소결합을 이루고, 탈크의 작은 입자는 표면적을 넓혀 흡착면적을 크게 해준다. 스테아린산 아연을 첨가하면 분과 피부와의 접착력을 증가시켜 준다. 산화 아연, 혹은 다른 피부 수축제를 분에 첨가하면 피부조직이 수축되어 유성피부에서 기름기가 흘러나오는 것을 막아준다. 몸에 바르는 분의 내용물과 함유량을 [표]에 나타내었다. 내 용 물 목 적 함유 % 탈크 흡수제 5..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20. 4. 29. 유기화학실험 | Synthesis of Isoamyl Acetate - Synthesis of Isoamyl Acetate (Banana Oil) TIP 1. 에스테르화 반응을 직접 해봄으로써 그 원리, 방법, 중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익히며 그 응용되는 사례들에 대해서 알아본다. 2. Isoamyl alcohol(alcohol)과 Acetic acid(carboxylic acid)를 반응시켜 향이 나는 Isoamyl acetate(ester)를 만들고 정제(by washing)하는 실험이다. 3. 정제한 이소아밀 아세테이트의 수율을 이론치와 비교해 보고 실험조건 전반에 대한 최적조건에 대해 유추해 본다. 에스테르화 반응 탄소수가 같은 경우 카르복시산과 에스테르는 서로 이성질체 관계이며, 에스테르는 카르복시산과 알코올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긴다. 이 반응을 축합반응이라고도 하는데 두 분자로부터 물과 같은 간단한 분자가 빠져나가면서 한 분자로 .. Chemistry/유기화학 2020. 4. 28. 일반화학실험 | 무지개 물 탑 쌓기 TIP 1. 밀도가 다른 액체를 차곡차곡 쌓아서 여러 층짜리 물 탑을 차곡차곡 쌓아본다. 1) 농도차에 의해 액체의 밀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밀도차를 이용해서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체가 뜨고 가라앉는 것은 밀도 차 때문이다. 부피가 같을 때 밀도가 높은 액체가 밀도가 낮은 액체보다 더 무겁다. 따라서 밀도가 다른 액체를 섞으면 밀도 차이에 따라 층을 이루게 된다. 물 위에 물 탑을 쌓는 이 실험도 각 용액에 따라 밀도가 다르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밀도는 액체만 갖는 성질이 아니다. 부피가 같을 때 무거운 것일수록 밀도가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체, 액체, 기체의 순으로 밀도가 높다. 설탕과 물로 탑을 쌓을 수 있는 것은 설탕이 물에 녹으면 부피는 조금만 변하.. Chemistry/일반화학 2020. 4. 28. 생화학실험 | GPC 기법을 이용한 단백질 분리 및 미지시료의 분자량 측정 TIP 액체에 용해되어 있는 혼합물의 각각의 분자량의 차이를 이용해서 분리하는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은 다공성 입자를 충진한 column을 이용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여러 가지 분자량을 가진 용질이 용해되어 있는 용액을 충진 column의 윗부분에 투입한 후 용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용매만을 coulmn에 공급하면 분자량이 큰 물질은 충진물질의 공극을 통과하지 않고 입자사이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column을 통과하는 시간이 빠르다. 반면에 분자량이 작은 물질은 입자의 공극을 돌아다니다가 빠져나오게 되므로 column을 통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러한 분자량과 column의 통과시간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면 시료의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게된다. Column을 통과한 단백질용액을 일정한 부피씩.. Biology/생화학 2020. 4. 28. 일반생물학실험 | Southern blotting TIP Rice tissue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전기 영동한 후 southern blotting한다. probe와 hybridization 하여 특정 DNA의 존재유무와 정량을 알아본다. Southern blot 1975년에 DNA 조각을 전기 영동하여 분리한 후 nitrocell㎕ose filter에 옮겨서 특정DNA 조각을 확인하는 실험 기법이 southern에 의해 개발되었다. Blotting 또는 hybridization이란 한 가닥으로 된 핵산이 이와 상보적인 염기 서열의 또 다른 한 가닥의 핵산과 적당한 조건에서 만나게 되면 이중나선을 형성하는 현상을 말한다. Southern hybridization은 위의 현상을 이용하는 기법으로, 먼저 genomic DNA을 적당한 res..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4. 28. 분석화학실험 | 무게법 분석에 의한 가용성 황산염이온의 정량 TIP 1. 정량 분석 중 하나인 무게법 분석을 이용해서 화학 반응이 끝난 후 생성되는 황산바륨()의 무게를 이용해 황산염 이온(SO42-)의 양을 결정해 본다. 2. 황산염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염화바륨을 가하면 황산바륨 침전물이 생성된다. 거름종이로 거른 후 거름종이를 태워버린 다음 침전물을 일정한 질량이 될 때 까지 가열한다. 황산바륨의 무게로부터 황산염 이온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3. 황산염의 시료용액에 뜨거운 염화바륨 용액을 가하여 황산바륨 침전을 만들고 염산으로 산성화하여 한번 끓이고 거름종이로 거른 다음 물로 씻고 가열한 후 무게를 잰다. 황산염 이온을 포함한 용액에 염화바륨을 가하면 황산바륨 침전물이 생성된다. 거름종이로 거른 후 거름종이를 태워 버린 다음 침전물을 일정한 질량이 될 때.. Chemistry/분석화학 2020. 4. 27. 일반물리학실험 | 자기장 변화에 의한 전자기 유도 TIP 1. 패러데이 법칙과 렌츠의 법칙을 이해한다. 2. 코일을 자석이 통과할때 자석을 코일이 통과할때 유도되는 기전력을 측정하고 자석과 코일의 방향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을 이해한다. 전자기 유도 전류가 자기장을 형성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나서 자기장을 이용해 전류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자연스럽게 생겼다. 패러데이와 헨리는 각각 전선 코일 속에 자석을 넣었다 뺐다 하는 단순한 운동으로 전선 속에 전류가 흐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때 기전력을 만드는 것은 코일에 대한 자석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이다. 자석이 도체 주위를 움직이거나 도체가 자석 주위를 움직이는 두 가지 경우 모두 전선에 기전력이 유도되며 도선에 유도전류가 흐른다.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코일에 .. Engineering/물리학 2020. 4. 26. 신소재기초실험 | T-T 곡선을 이용한 Pb-Sn 합금 상태도 작성 TIP 제조된 몇 종류의 Pb-Sn 합금을 고온으로 가열한(약400℃정도) 다음 냉각할 때 얻어지는 냉각곡선을 이용해서 각 합금조성별 변태점을 측정하여 Pb-Sn 2원계 합금 상태도의 윤곽을 그린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순금속괴(Pb,Sn)을 가열하여 적당량 용해 후 평량하기 쉽도록 잘게 나눈다. 2) Pb-Sn의 조성별 합금량이 250g이 되도록 나눈다. 3) 각각의 합금을 용해용 도가니에 넣고 가열토치로 완전히 용융할때까지 가열한다. 세라믹봉으로 수시로 용탕내를 교반하여 균일하게 녹게한다. 4) 기록계에 연결된 열전대(K형)를 용융된 합금에 담그어 그대로 냉각시키면 기록지에 자동으로 냉각곡선이 그려진다. 5) 응고완료된 시료는 재가열하여 열전대를 분리한다. [신소재기초실험]T-T 곡선을 ..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20. 4. 26. 일반생물학실험 | 식물 기공의 개폐 기작 TIP 1. 식물 기공 세포의 개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다. 그 중 식물 기공 세포의 개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다. 그 중 K+ 이온의 영향을 관찰한다. 2. 기공의 구조를 관찰한다. 모세관현상 가는 유리관을 물속에 넣으면 유리관의 안쪽을 따라 물이 따라 올라오는데, 이처럼 매우 가는 유리관 같은 공간의 벽을 통해 액체가 따라 올라오는 현상을 모세관 현상이라 한다. 물분자 사이의 응집력보다 물분자와 유리벽 사이에 생기는 접착력이 더 강하면 유리벽을 타고 얇은 물분자막이 형성되며, 그 후에는 표면 장력에 의해 중앙 부분의 물을 빨아 올리게 된다. 끌려 올라간 물기둥의 무게가 유리관 사이의 접착력과 같아지는 높이까지 물은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가는 유리관일수록 물의 무게..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4. 26. 식품가공학실험 | 식빵 제조와 글루텐측정 TIP 1. 제조 공정에 따른 식빵 제조를 할 수 있고, 글루텐측정을 하여 건부율과습부율을구할 수 있다. 2. 완성된 식빵의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제빵의 방법 1. 스트레이트 법(직접 반죽법) 1) 주재료에 부 재료를 한번에 넣고 믹싱하는 방법으로, 소규모 제과점에서 주로 사용하는 제법이다. 2) 장점 : 공정시간/노동력/전력감소, 발효손실의 감소, 흡수율이 좋다. 3) 단점 : 발효/내구성이 약하다, 반죽을 잘못했을 때 수정이 불가능하다, 노화가 빠르다. 2. 비상 스트레이트 법(비상상황) 1) 이스트나 설탕, 물의 양과 반죽온도를 조절해서 발효시간을 단축하는 기법이다. 이스트의 양을 2배 늘려 발효시간이 단축된다. 2) 장점 : 공정시간이 신속하다, 임금/노동력 감소, 갑작스러운 주문에 대처가능 3..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0. 4. 26. 화공기초실험 | 에탄올 수용액의 partial molar volume을 비중계로 측정한 밀도 이용 TIP 부분 몰부피의 원리를 이용하고 에탄올 수용액의 partial molar volume을 비중계로 측정한 밀도를 이용하여 농도의 함수로 계산한다. 부분 몰부피 (Partial molar volume) 어떤 혼합물에서 그 혼합물의 구성 성분인 한 물질 A의 부분 몰부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혼합물이 A로만 이루어져 있을 경우, 즉 순수한 A로만 이루어진 물질에선 부분 몰부피는 그 물질의 몰부피와 같다. 혼합물에서 부분 몰부피는 몰부피와 같지 않으며, 혼합물의 조성에 의존한다. A와 B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있다면 일정한 p와T 에서 다음과 같은 등식이 성립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물과 에탄올을 g 단위로 80:20, 60:40, 40:60, 20:80으로 혼합하여 수용액을 만든다. 2)..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0. 4. 26. 무기화학실험 | 수채화 물감과 파스텔의 제조 TIP 이온을 반응시켜 침전을 형성한다. 그 침전을 안료로 하여 수채화의 물감과 파스텔을 만든다. 실험 기구 및 시약 1. 실험 시약 화학명 화학식 M.W(g/㏖) m.p (℃) b.p (℃) d(g/㎤) Distilled water H2O 18.06 0 99.98 1 Iron(II) chloride FeCl3 126.75 677 1023 3.16 Potassium hexacyanoferrate(II) K4[Fe(CN)6] 368.35 69~71 400 1.85 Sodium carbonate Na2CO3 105.99 851 1600 2.54 Potassium chromate CrK2O4 194.19 968 1000 2.7320 Iron(III) oxide Fe2O3 159.69 1566 . 5.242 T.. Chemistry/무기화학 2020. 4. 26. 화장품 화학 | 연지 연지 사람의 입술은 지방질이 없는 엷은 막으로 되어 있어 쉽게 건조된다. 그러나 입술의 수분은 정상적인 경우에는 입으로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연지는 고분자 탄화수소와 그 유도체들로 구성된 색소의 혼합물로서 미적 용도 이외에 건조한 외부 조건하에서 입술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을 준다. 이것은 넓은 온도범위에서 항상 균일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입술의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한다든지 입술에서 벗겨져 나가서는 안된다. 또 연지는 향료를 조금 섞어 좋은 냄새와 맛을 내도록 해야 한다. 연지의 색소는 에오신 계통의 염료나 안료로 만든다. 여기에 사용되는 안료는 유기 금속(철, 니켈, 코발트 이온) 착물의 침전물이다. 금속이온들은 염료 고유의 색을 변형시켜 더 강한 색이 나타나도록 만..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20. 4. 26. 이전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