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개론 | 러더퍼드의 원자모형 (1911년) 방사성 붕괴는 방사성 원소를 포함하는 물질의 물리∙화학적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비율로 일어났다. 그것은 전체 질량의 반이 붕괴하는 데는 항상 같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뜻했다. 러더퍼드와 소디는 방사성 붕괴의 과정은 확률을 통해서만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모든 방사성 원소가 1년 안에 붕괴할 확률이 1/2로 같다면, 방사능 원소의 양에 관계없이 1년이 지나면 방사성 원소의 양이 반으로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모든 원자가 똑같은 붕괴 확률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붕괴 확률이 외부적 환경 변화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말아야 한다. 모든 원자의 붕괴확률이 같다는 것은 원자가 나이를 먹지 않는 것을 뜻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사람은 나이를 먹는다... Chemistry/일반화학 2019. 10. 5. 무기화학실험 | Complex Ion Composition by Job's Method TIP Job's Method 를 이용하여 배위 화합물 [Ni(en)n]2+의 배위수(coordination number)를 결정한다. Spectra - MLn(혹은 ZLn) 1. MLn형태의 Ultraviolet-Visible Spectra는 리간드에 따라 다르며, 각각의 Complex는 흡수가 최대인 파장에서 결정된다. 2. 금속 이온에 다양한 양의 리간드를 첨가시키면 금속과 리간드의 상대적인 비에 따라 다양한 화합물이 생성된다. 3. 분리하지 않고 2가지 분자의 Interaction을 색으로 확인한다. 예) C6H6 + I2 → C6H6·I2 : 분리는 불가능하나 진한색으로 확인 가능하다. 4. Ni2+와 NH3의 Interaction으로 6가지의 Complex가 형성되고 실제 Isolation이 .. Chemistry/무기화학 2019. 10. 4. 생명공학실험 | 미지 세균 동정 - Biooxidation and Hydrolysis TIP 1. 미지세균 동정 : 대상 미생물들의 형태적(배양학적) 그리고 생리적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미지의 미생물 동정에 필요한 독립적인 연구를 이해한다. 2. LC-ESI-IT-MS : 특정대사물의 분리 분석 기술인 LC/MS에 대하여 이해하고 실험값(MS)을 바탕으로 구조와 MW를 유추해 본다. 배지의 종류 Ⅰ. 성분에 따른 분류 ① 천연배지(natural medium) : 배지 중의 영양분이 모두 천연물인 동·식물체에서 얻어진 것으로, 충분한 영양분은 함유하고 있으나 그 화학조성이 복잡하고 각 성분의 양 및 종류 등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없는 것으로 미생물의 증식 및 분리 배양에 쓰인다. ② 합성배지(synthetic medium) : 화학적 성분이 분명한 순수한 물질을 일정량 혼합하여 ..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19. 10. 4. 분자생물학개론 | Protein Purifying TIP 1.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2. Organelles and Macromolecules Can Be Separated Separated by Ultracentrifugation 3. Cell fractionation by centrifugation 4. Velocity Sedimentation 5. Equilibrium Sedimentation 6. The Separation of molecules by Column Chromatography 7. Ion-Exchange Chromatography 8. Ion-Exchange Matrix 9. Protein purification by Ion-Exchange Chromatography 10. Gel-filtrati.. Biology/분자생물학 2019. 10. 4. 유기화학개론 | 탄소화합물 TIP 1. 탄소 화합물 2. 지방족 탄화수소 3. 지방족 탄화수소의 유도체 4. 방향족 탄소 화합물 5. 이성질체 6. 고분자 화합물 탄소화합물 생물체의 주요 성분을 구성하는 탄소 화합물은 19세기 초까지만 하더라도 생물체 속에서 생명력에 의해서만 만들어진다고 생각하였으므로, 무생물계에서 얻어지는 무기 화합물과 구별하여 유기 화합물일라고 불렀다. 그러나 1828년 독일의 화학자 뵐러가 무기물인 시안산암모늄(NH4CNO)에서 유기 화합물인 요소를 합성한 이후부터 무기 화합물과 유기 화합물의 구별이 무의미 하게 되어, 지금은 유기 화합물을 탄소 화합물이라고 부른다. 1. 일반적 성질 ① 공유결합분자로 m.p, b.p가 낮다 ② 대부분 물과 섞이지 않고 비전해질이다. ③ 반응속도가 느리다 ④ 연소하면 CO2.. Chemistry/유기화학 2019. 10. 4. 유기화학개론 | 유기발광소재 TIP 유기발광물질에 대해 알아보자 21세기 정보화시대에는 영상, 정보, 통신산업이 발달하면서 언제, 어디서든지 될 수 있는 한 많은 정보를 가능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얻고자 하는 요구가 많아지고 있으며, 편하게 손에 들고 다니면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현대인들의 욕구로 인해 기존의 브라운 관(CRT)이나 액정(LCD)만으로는 충분치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떠오르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바로 유기 EL이라고 할 수 있다. 유기 EL은 LCD에 비해 응답속도가 CRT의 수준으로 빠르며, 고휘도, 저전력, 초 박막화 등의 장점으로 인해 폭넓은 활용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휴대폰과 캠코더, 게임기 등의 시장이 확대되면서 여기저기서 심심찮게 듣는 디스플레이 관련기사 중 하나.. Chemistry/유기화학 2019. 10. 4. 면역학개론 | NK Cell (자연킬러세포)와 암 발생과의 관계 TIP 1. 면역체계 2. NK 세포 3. 암세포 4. 요약 정리 5. 참고 자료 면역체계 사람에게 병이 생기는 것은 우리 몸 어디로 부터인가 병균이 침입하여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렇지 않다는 새로운 분석결과가 나왔다. 그것은 바로 병이 발생하는 원인은 “면역체계가 허약함으로써 병에 걸리게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눈, 입, 코, 피부 등을 통하여 항상 몸으로 침투하고 있지만 면역체계가 그것을 잘 방어 하고 있는 것이다. 만약 그것을 방어하지 못할 때 병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1. 비특이적 세포방어 비특이적 세포방어 (nonspecific cellular defense)는 백혈구 (leukocyte)가 침입자들을 공격하는 것을 말한다. 백혈구는 적혈구와 마.. Biology/면역학 2019. 10. 3. 일반생물학개론 | 형질전환동물 TIP 1. 형질전환동물을 생산하는 목적 2. 형질전환동물을 생산하는 방법 3. 형질전환동물의 이용 4. 형질전환동물의 문제점 형질전환동물을 생산하는 목적 형질전환동물이란 다른 종의 유전자를 삽입․조작함으로써 본래의 것과는 다른 유전적 특성을 갖게된 동물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인위적인 DNA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동물을 말하며 인위적으로 돌연변이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러한 형질전환동물을 만들기 시작한 목적은 산업적, 의학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성장촉진에 관여하는 유전자나 산유 및 산란능력을 촉진하는 유전자를 이용하여 가축의 생산능력을 높일 수 있다. 특정질병에 저항성을 가지는 유전자를 도입하여 항병성을 가지는 동물을 만들 수 있다. 의약품과 같이 산업적으로 유용한 단백질 유전자를 도입한 형질전환..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0. 2. 목초생리생화학실험 | Tall fescue agrobacterium 형질전환 Agrobacterium 형질전환 외래 유전자가 작물 내로 도입되는 현상은 토양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인 아그로박테리움을 볼 수 있다. 이 미생물은 토양속의 양분이 부족해지면 식물에 침투하여 기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때 자신이 가진 플라스미드 DNA의 일부(T-DNA라고 불리는 부분)를 절단하여, 이 유전자를 식물의 genome내에 도입하여 생장조절제와 아미노산을 만들도록 한다. 식물체의 줄기 혹은 뿌리에 근두암종병(Crown gall)이라는 비정상적인 혹이 생기는 이유는 아그로박테리움의 유전자가 식물체에 옮겨져 생물생장조절제의 작용에 의해 세포분열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신의 유전자중 일부를 식물에 옮기는 현상을 알아낸 과학자들은 유용한 유전자를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하여 식물에 도입하려 하.. Biology/생화학 2019. 10. 2. 대기 오염의 화학 | 대기오염 - 3부 이산화탄소와 온실 효과 이산화탄소(CO2)는 호흡이나 화석연료 연소 과정에서 생기는 자연적 산물이고 광합성의 필수적인 반응물질이다. 실제로 CO2는 오염물질이 아니지만 지구 대기 중의 CO2가 점차로 증가한다는 사실은 심각하기 때문에 CO2가 오염 물질로 분류되는 것이다. 우리 인간이 지구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면 공기, 바다 그리고 동식물 사이의 CO2 순환은 대체적으로 균형을 이룬다. 그러나 1900년과 1970년 사이 대기 중의 CO2 농도는 296㏙에서 318㏙으로 7.4%의 증가를 가져왔다. 이 농도는 1985년에 350㏙으로 증가되었으며 앞으로도 계속적인 증가가 예상된다. 인구 문제는 CO2 농도를 증가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브라질의 아마존 영역에서는 농경지를 만들..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19. 10. 2. 대기 오염의 화학 | 대기오염 - 2부 산성비 산성비란 말은 1872년 영국의 화학자이며 기후학자인 Robert Angus Smith에 의해서 처음 사용되었다. 그는 산업혁명 초기에 영국의 Manchester에 내렸던 산성 강우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 말을 사용하였다. 중성 물의 pH는 7이지만 빗물은 정상적인 대기 중에 들어 있는 이산화탄소가 녹아서 자연적으로 산성을 띠게 된다. 이산화탄소는 가역적으로 물과 반응하여 약산인 탄산 용액을 만든다. 평형상태에서 공기 중의 CO2가 물에 용해된 용액의 pH는 약 5.6이며 따라서 pH가 5.6 이하인 비를 산성비(acid rain)라 한다. 천연으로나 산업적으로 만들어지는 이산화질소(NO2)는 대기 중에서 물과 반응하여 질산(HNO3)이나 아질산(HNO2)이 된다. 이산화황(SO2)은 산소와 물이 ..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19. 10. 2. 대기 오염의 화학 | 대기오염 - 1부 대기 오염 물질의 종류 및 발생원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주요 오염 물질로는 이산화탄소, 유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탄화수소 등과 같은 가스상 물질과 먼지, 연기, 석면분진, 금속증기 등과 같은 입자성 물질이다. 그리고 이들 오염 물질이 태양광선에 의한 광화학적 및 화학적 반응의 결과로 생긴 광화학적 산화성 물질도 있다. 또 납, 카드뮴, 수은, 니켈 등의 유해한 중금속류도 대기오염 미립자속에 포함되어 있다. [표 2]에서 주요 대기 오염 물질과 각 오염 물질의 발생원을 나타내었다. 이 밖에도 자연적으로 또는 인간의 활동을 통하여 무수한 유해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방출되고 있다. 오염 물질은 이의 종류에 따라 환경이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매우 다르다. 자연상태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한곳에 집..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19. 10. 2. 일반생물학실험 | 초파리 관찰 TIP 초파리의 암컷과 수컷을 비교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돌연변이의 여러 종류를 알 수 있다. 초파리 파리목 초파리과 곤충을 총칭하는 말이다. 거의 세계 전 지역에서 발견되며 종류에 따라 사는 곳이 굉장히 다양하다. 갖춘탈바꿈을 통해 자라며 한 세대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모 건의 돌연변이 연구로 유명한 노랑초파리는 유전학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학 분야에서 실험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몸길이 보통 2~3㎜이며 5㎜정도가 되는 종류도 있음 한살이 알, 애벌레, 번데기, 어른벌레를 거치는 갖춘탈바꿈 분포지역 세계 각지 학명인 ‘Drosophilidae’는 ‘이슬을 좋아한다’는 뜻의 그리스어로부터 유래하였다. 흔히 ‘초파리’라는 이름은 초파리과 초파리속(Drosophila)에 속하는 파리 종류를 지칭..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0. 1. 일반화학실험 | 토양과 잿물의 pH측정 TIP 토양과 잿물의 pH를 측정해 보고 재가 토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토양은 그 속에 들어 있는 물의 pH에 따라 산성, 중성 및 염기성 토양으로 나눌 수 있다. 토양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느 정도 산성을 띠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농약이나 화학비료, 산성비 등으로 인하여 토양의 산성화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토양의 pH는 농부들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표에 나타난 것과 같이 많은 농작물들이 중성토양에서 잘 자라지만, 어떤 농작물은 상성이나 염기성 토양에서 더 잘 자라기 때문에 토양의 pH를 적당하게 조절해 주어야 한다. 농작물 pH범위 농작물 pH범위 감자 5.5~6.5 양파 6.0~7.0 옥수수 6.5~7.5 당근 6.0~7.5 완두콩 5.5~7.0 딸기 5.0~7.0 표 농작물에.. Chemistry/일반화학 2019. 10. 1. 일반화학실험 | 염의 용해도 TIP 온도에 따른 염의 용해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용해도 곡선을 그려본다. 소금물과 같이 소금과 물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섞인 혼합물을 용액이라고 하며, 물과 같이 녹이는 물질을 용매, 소금과 같이 녹는 물질을 용질이라고 한다. 특별히 용매가 물인 경우를 수용액이라고 한다. 염이란 이온결합 화합물을 일컬으며 염의 용해도는 어떤 온도에서 용매 100g에 녹을 수 있는 염(용질)의 최대 질량을 말하며 온도에 따라서 다른 값을 갖는다. 녹을 수 있는 최대량의 용질이 녹아있는 용액을 포화용액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고체의 용해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커지며 용해도와 온도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용해도 곡선이라고 한다. 고체의 용해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용매 100g당 녹는 용질의 최대량을 측정하여야하며 두 가.. Chemistry/일반화학 2019. 9. 30. 해양미생물실험 | 식물플랑크톤 영구 슬라이드 만들기 TIP 수중생물을 관찰할 때 슬라이드글라스 위에서의 오랜 시간 관찰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식물플랑크톤 샘플을 Linsing하여 dry한 후 영구프레파라트를 제작하거나 규조류(Diatom)의 경우 Cleaning method를 이용하여 영구프레파라트로 제작하면 반영구적인 보관이 가능해진다. 이 실험에서는 Cleaning 된 Diatom sample를 재료속 격구프레파라트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식물플랑크톤 플랑크톤 중 식물은 해양에서 광합성의 대부분을 담당한다. 식물플랑크톤은 태양에너지를 고정하며, 이는 다시 해양의 많은 다른 군집으로 이동된다. 육상에서 에너지를 고정하는 풀이나 나무들 없이는 생명이 존재할 수 없듯이 해양에서도 에너지를 고정하는 미소한 플랑크톤 생활을 하는 식물체가 없이.. Biology/미생물학 2019. 9. 30. 대기 오염의 화학 | 대기의 성분 대기는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 여러 가지의 혼합기체로 구성되어 있다. 대기의 성분은 조성이 변하지 않는 영구기체(permanent gas)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변하는 변량기체(variable gas)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기체의 대부분은 지표 가까이에 존재한다. 대기는 지구의 인력에 의해 잡혀 있기 때문에 상공으로 올라갈수록 밀도가 감소한다. 전 대기 질량의 90%는 지상 약 16㎞ 이내에 존재하고, 99.9%는 지상 48㎞ 이내에 존재한다. 이 정도의 높이는 지구의 반경과 비교할 때 매우 작다고 할 수 있다. [표 1]은 90㎞까지의 대기의 주요 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대기는 질소가 78%, 산소가 21% 그리고 기타 성분이 약 1%를 차지하고 있다. 질소와 산소는 양이 많기 때문에 지구 환경..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19. 9. 30. 환경미생물실험 | 토양의 pH 측정 TIP 토양 pH를 측정하여 토양시료의 화학적 특성을 알아본다 토양의 pH와 토양산성화 토양검정을 할 때 꼭 해야할 항목이 pH이다. 이는 식물의 생산성을 늘리고 경작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양의 pH를 알면 그 토양의 여러 가지 성질에 대해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토양 pH(Soil pH)는 토양의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한 값을 말하는데, 토양의 pH는 3∼9정도의 범위를 가지며 일부 토양은 pH 7(중성)을 기준으로 낮은 수의 값은 산성토양, 높은 숫자의 값은 염기성토양이라고 한다. 식물마다 선호하는 산도의 토양이 다르고, 병, 해충도 잘못된 pH농도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농부나 정원사는 토양산도를 잘 파악해야한다. 요즘에는 토양이 점차 산성화가 되고있다...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19. 9. 30. 이전 1 ···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