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발효 음식문화 | 젓갈 문화
우리나라의 젓갈은 주로 수산 동물을 소금에 절여 삭힌 발효성 가공식품이다. 젓갈이란 젓과 식해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젓은 어패류의 살, 내장, 알을 약 20%의 농도가 되도록 소금에 절여 상온에서 일정기간 보관하여 자체 내에 있는 자가분해효소와 미생물에 의한 발효 작용으로 생긴 유리 아미노산과 핵산 분해산물의 상승작용으로 인해 특유한 감칠맛을 가지게 되는 가공식품의 하나이다. 젓갈의 종류 구분 원 료 종 류 젓 갈 류 어 류 가자미젓, 강달이젓, 고노리젓, 고등어젓, 갈치젓, 까나리젓, 꽁치젓, 능성어젓, 눈치젓, 대구젓, 도루묵젓, 도미젓, 돌치젓, 동태젓, 등피리젓, 디포리젓, 매가리젓, 멸치젓, 모챙이젓, 민어젓, 반지젓, 뱅어젓, 밴댕이젓, 송애젓, 뱀장어젓, 웅어젓, 자리젓, 전어젓, 정어리..
지식 여행/세계의 사회 문화
2021. 8. 26.
-
일반생물학실험 | 여러가지 식물 화분(pollen) 관찰
TIP 여러 가지 식물의 화분을 관찰하여 각 화분의 특징을 살펴보고, 진화론적 관점에서 화분의 구조적 특징과 식물의 수분방법 사이의 관계를 생각해본다. 화분학(palynology) 종자식물의 화분 및 양치식물, 조류, 균류, 세균의 포자에 관한 학문이다. 종자식물의 화분은 웅성배우자체(male gametophyte)로서, 약(anther)의 화분낭(pollen chamber)에서 만들어 진다. 화분은 바람, 물, 또는 벌, 나비, 새, 박쥐 등에 의해 주두(stigma)에 옮겨져서 수분(pollination)되고, 발아구(aperture)를 통해 화분관(pollen tube)이 나오면, 여기에서 정자(sperm)가 옮겨져서 배주(ovule) 속의 난(egg)과 수정(fertilization) 시키는 역할..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8. 21.
-
재료역학실험 | 회전굽힘 피로시험(Rotary Bending Fatigue Test)
TIP 각종 재료의 피로강도를 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계, 구조물의 형상, 크기, 가공법, 하중이 가해지는 방법 등이 피로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토목, 건축물에서 외력이 대체로 정적으로 작용하므로 인장강도를 중요시한다. 반면, 고속으로 회전‧왕복하는 기관이나 부품에 대해서는 하중의 변동이 생기는 예가 많아 인장강도는 중요성이 줄어든다. 외력이 장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작용하고, 대부분 진동을 수반하며 실제의 파단도 인장강도보다 훨씬 작은 항복점 이하의 응력에서 생긴다. 피로란, 여러 정적시험(경도, 인장, 충격시험)의 강도보다도 훨씬 작은 응력을 되풀이해서 작용시킬 때에 물체 전체나 국부적으로 변형이 생기고 시간과 더불어 점차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어느 한도까지 피..
Engineering/재료 공학
2021.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