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유기화합물 TIP 1. 수수깡 및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유기화합물의 특징과 구조를 알아본다. 2. 수수깡을 이용하여 DNA 구조를 만들어 본다.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유기화합물이다. 대부분의 유기화합물은 탄소, 수소, 질소와 같이 적은 종류의 원소로 이루어져있는데 다양한 금속의 결합으로 특징들이 다양해 질 수 있다. 유기화합물은 사슬식 화합물과 고리식 화합물로 나눌 수 있다. 또 고리식 화합물은 탄소 원자만으로 고리가 구성되어 있는 탄소 고리식 화합물과 탄소 이외의 원소를 고리안에 포함하는 헤테로 고리식 화합물로 분류 할 수 있다. 탄소 고리식 화합물은 지방족 고리식 화합물과 벤젠 고리를 포함하는 방향족 화합물로 분류 할 수 있다. 수용액 상태에서 이온으로 해리하는 무기 화합물과는 달리 대부분의 물에 녹지..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8. 19. 생명과학실험 | 단백질 발현과 정제 TIP 1. 단백질 발현의 목적 : 특정 유전자를 통해 얻고자 하는 단백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2. 단백질 정제의 목적 : 단백질을 순도 높게 분리 및 정제함으로써 수많은 단백질 중 원하는 단백질만을 얻기 위함이다. 단백질 발현 재조합 단백질 기법은 외부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벡터에 삽입하여 숙주 세포에 도 입하면 마치 숙주 세포의 유전자처럼 발현되는 기법이다. 알로락토오스와 유사한 IPTG를 이용해 Lac repressor와 결합하게 함으로써 lac operator와의 결합을 방해하 여 전사가 일어나도록 한다. 유전자 과발현 시 단백질의 정제가 쉬워지고 정제의 수율이 올라간다. 실험 방법 1. 단백질 발현 1) 알코올램프를 켜고 피펫을 사용해 kanamycin(항생제)을 일부 덜어 SB배양액에 넣고..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1. 8. 18. 일반생물학실험 | 적혈구의 용혈현상과 식물세포의 원형질분리 TIP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혈액의 용혈현상, 수축현상 양파표피의 팽윤현상과 원형질분리 현상을 관찰해본다. 용혈현상 1. 동물 체내에서의 용혈현상 용혈현상은 정상적인 동물체의 혈관 내에서도 일어난다. 동물의 적혈구는 대체로 수명이 4달 정도 된다. 적혈구는 수명이 지나면 지라에서 파괴되고 이를 새로 만들어진 적혈구가 대체한다. 그러나 적혈구가 지나치게 많이 파괴되어 지라에 저장되지 못한 헤모글로빈이 혈액으로 방출되면 이 헤모글로빈이 파괴되어 황달이 발생하기도 한다. 적혈구가 지나치게 많이 파괴되는 경우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이 떨어져 빈혈 현상이 발생한다. 이처럼 적혈구의 파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은 면역 반응이나 독소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겸형적혈구빈혈(sickle cell anemia)은 유전적..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8. 17. 일반화학실험 | 물질의 분자량 측정 TIP 미지의 유기 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의 어는점 강하를 측정하여 그 유기 성분의 분자량을 결정 할 수 있다. 본 실험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순수한 용매, 물, 그리고 미지의 성분이 들어있는 수용액의 어는점들을 각각 측정하여야 한다. 순수한 물의 어는점은 물 시료를 냉각시키면서 시간에 따라 그 온도를 측정해보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냉각 곡선을 그림 1에 나타내었다. 액체는 평형 어는점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그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냉각이라고 한다. 초냉각은 냉각 시, 연속적인 저어줌으로써 최소화 할 수있다. 온도는 어는점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이는 액체가 고체화 될 때 녹는열과 동일한 량의 열이 방출되기 때문이다. 실제 어는점은 냉각 곡선의 수평 부분에 해.. Chemistry/일반화학 2021. 8. 17. 일반물리학실험 | 후크의 법칙 TIP 후크의 법칙을 알아보고, 용수철을 이용하여 용수철 상수를 구하여 본다. 후크의 법칙 용수철은 탄성을 가진 강철선을 나선형으로 꼬아서 만든 것으로 그것이 성형된 처음 의 길이에 비하여 훨씬 큰 길이 변화에서도 복원력을 내게 되어 있다. 길이가 변할 때 강철선이 비틀리게 되는데 비교적 길이변화가 크더라도 비틀리는 정도는 선형성 을 유지하는 한계 내에 있어 용수철저울처럼 힘이나 무게의 측정에 쓰인다. 용수철 의 복원력은 평형위치에서 벗어난 길이에 비례한다. 이를 후크의 법칙이라 하고 비례계수를 용수철상수라 한다. 즉, 후크 법칙은 물체에 가해진 하중과 그로 인해 발 생하는 변형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고체역학의 기본법칙으로서 1678년 영국의 R. 훅이 용수철의 늘어남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통해 발견하였.. Engineering/물리학 2021. 8. 17. 일반생물학실험 | 식물세포의 원형질막 분리 및 적혈구 용혈로 인한 삼투현상 관찰 TIP 식물세포인 양파 표피세포와 동물세포인 적혈구로 모든 생물체의 생명현상이 일어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세포의 구조를 살피고, 동.식물세포의 차이점과 각각의 특성을 알아본다. 식물세포의 원형질막 분리 식물세포를 등장액에 넣으면 아무런 변화가 없이 정상상태를 유지한다. 이때를 한계 원형질 분리(원형질 분리가 일어나려 할때의 상태)라고 한다. 식물세를 저장액에 넣으면 물이 세포안으로 들어와 세포의 부피가 커지면서 세포내부 에서 세포벽쪽으로 미는 힘이 생긴다. 이때 세포벽이 받는힘을 팽압이라고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물이 세포안으로 계속들어와 팽압이 최대가 되는 상태를 팽윤이라 한다. 즉, 팽윤상태는 세포 부피가 최대이다. 식물세포는 고장액 상에 있으면 세포속의 물이 밖으로 빠져나와 세포의 부피가 줄어 든다..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8. 15. 일반화학실험 | 소시지의 열용량 측정 TIP 물질의 용해열에 의해 발생하는 엔탈피의 변화에 대하여 측정한다. 열용량(Heat capacity) 어떤 물체의 온도를 1℃(혹은 1K)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단위:㎉/℃, ㎉/K) 물질의 온도를 1℃ 높이는데 드는 열량. 같은 물질이여도 양에 따라 값이 다르다. 위 식으로부터 비열 및 질량이 클수록 열용량이 크고, 열용량이 클수록 온도 변화가 작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열용량은 비열 뿐 아니라 질량의 영향을 받으므로, 서로 다른 물질인 경우에는 질량이 같더라도 열용량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엔탈피 어떤 물질이 일정한 압력에서 생성되는 동안에 그 물질속에 저장된 열에너지를 엔탈피라고 하고 기호 H로 표시한다. 엔탈피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화학변화가 일어날 때의.. Chemistry/일반화학 2021. 8. 15. 일반물리학실험 | 탄성계수 측정 TIP 탄성을 지닌 물질을 사용하여 당기는 힘을 바꿔가며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여 탄성계수를 알아본다. 물체에 외력이 작용하면, 늘어나든지 압축되든지 또는 비틀리게 된다. 이와 같이 물체를 변형시키는 힘을 변형력이라 하는데, 이는 단위면적 당 작용하는 힘이다. 그리고 변형은 물체의 변형된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이러한 변형력과 변형이 충분히 작을 때는 이 두 양이 서로 비례하는데 그 비례상수를 탄성계수라 한다. 즉 아래와 같은 관계를 가진다. 탄성계수 = 변형력/변형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그림과 같이 에어트랙 위에 글라이더를 올려놓는다. 2) 에어트랙 끝과 글라이더를 용수철로 연결한다. 3) 처음 위치를 기록한다. 4) 글라이더에 추를 연결한 낚시줄을 연결한다. 5) 도드래를 에어트랙 반대편.. Engineering/물리학 2021. 8. 15. 재료공학실험 | UTM 인장 실험 TIP 인장시험은 공업용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알기위한 기본적인 시험으로써 일정한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대한 물질의 저항성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재료강도에 관한 기본적인 설계 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된다. 이를 통해 공업용 재료의 변형 과정과 응력의 변화를 조사하며 재료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 수축율 등의 기계적인 특성과 탄성한계 비례한계 포아송비 탄성계수의 물리적 특성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응력 외력에 대하여 물체가 나타내는 내부 저항을 단위면적에 타나탠 것으로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하는 표면력으로 정수압 또는 하나의 물체가 다른 물체로부터 받는 압력과 같이 물체의 표면에 작용하는 힘이고, 또 다른 하나는 물체가 다른 물체로부터 받는 압.. Engineering/재료 공학 2021. 8. 15. 고분자공학실험 | UTM 인장 실험 대부분의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정적 및 동적 하중과 변형이 가해지게 되는 데 구조물을 구성하는 재료는 이와 같은 하중과 변형을 감당할 수 있도록 재료의 강도가 설계되어야 한다. 본 시험은 재료의 강도 설계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정적 인장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인장실험을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시험기의 사용방법을 습득하고, 재료의 강도 해석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역학적 파라미터의 측정 방법과 원리를 이해한다. 둘째, 재료에 가해지는 하중과 측정된 변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재료의 기계적 거동을 이해하고, 이로부터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결정하는 탄성계수,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수축률 등과 같은 재료물성치를 구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셋째, 재료의 기..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1. 8. 15. 일반생물학실험 | 원형질분리, 용혈현상 및 삼투현상 관찰 물질의 유입 또는 유출 방법에는 크게 능동수송과 수동수송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 둘 중 식물, 동물 세포에서의 수동수송에 따른 현상을 관찰하여 농도마다 어떤 차이가 나는지 확인해볼 것이다. 특히 수동수송 중에서 삼투현상, 원형질 분리, 용혈현상에 관한 실험을 하며 농도별 현상을 관찰한다. 특히 삼투현상은 농도별 PEG를 다르게 하여 농도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후 추세선을 그려 확인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농도가 높을수록 삼투압이 높아지는데 이는 추세선이 그려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원형질 분리 또한 농도별로 세포막과 세포벽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중점을 두어 관찰한다. 결과적으로 농도가 높을수록 밀착되어있었던 세포막과 세포벽이 떨어져 쪼그라드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8. 14. 일반화학실험 | 유리 공작 TIP 1. 화학실험에서 유리관은 여러종류의 실험장치들을 만들거나 또는 실험 장치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그밖에 다른 목적으로도 유리관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대단히 많다. 2.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유리관을 자르고, 무디게 하고, 구부리고, 가늘게 뽑고, 끝을 봉합하고 그리고 간단히 유리 기구를 만듦으로써. 유리 공작법의 기본적인 원리를 습득하고, 아울러 앞으로 실험을 할 때 유리관으로 필요한 유리 기구를 만들어 이용할 수 있도록한다. 3. 유리 공작을 통해 앞으로 실험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유리의 성질을 이해한다. 유리는 화학 약품에 대한 우수한 내성 및 그 투명성으로 용기 내의 반응을 쉽게 눈으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실에서는 유리 기구를 많이 사용한다. 이번 실험에서는 불로 유리.. Chemistry/일반화학 2021. 8. 14. 식품분석학실험 | 식초 중의 초산 정량(중화 적정) TIP 1. 부피분석의 원리를 이해한다. 2. 중화반응을 이용한 식품성분의 정량 원리에 대해 이해한다. 3. 중화반응에서 지시약 선택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부피분석 정량하고자 하는 물질을 표준용액과 반응시켜 그 반응이 당량점(반응종점)에 도달하였을 때, 표준용액의 소비량으로부터 정량하고자 하는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분석방법이다. 반응의 당량점을 판단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시약이 많이 이용되는데 지시약은 각 반응에 적당한 것을 잘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부피분석에 사용하는 표준용액의 농도를 정확하게 아는 것도 중요 하다. 그러므로 부피분석에 사용되는 표준용액은 반드시 그 농도계수(factor)가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한다. 1. 부피분석에 의하여 물질을 정량하기 위해서는 ..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1. 8. 14. 일반화학실험 | 평형상수와 용해도 곱 상수의 결정 TIP 색깔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착이온의 농도를 알아내어 착이온 생성반응의 평형상수를 결정하고, Ca(OH)2포화 용액에 공통이온 효과를 이용해서 용해도곱 상수를 결정한다. 반응물을 섞어서 적당한 조건을 만들어주면 생성물이 만들어지기 시작하고, 이런 반응은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평형(equilibrium)에 도달하게 된다. 평형일 때 실제로는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것이 아니고, 생성물이 만들어지는 정반응과 생성물이 다시 반응물로 되돌아가는 역반응이 정확하게 같은 속도로 일어나는 것이다. 화학반응이 평형에 도달했을 때,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는 일정한 관계를 갖게 된다. 평형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상대적인 양의 비는 평형상수(equilibrium constant)로 나타낼 수 있다... Chemistry/일반화학 2021. 8. 11. 일반생물학실험 | 연체동물의 외형(외부) 및 해부 - 오징어 TIP 오징어의 해부를 통해서 오징어의 운동방법을 알아보고, 연체동물의 외형과 내장기관의 구조를 알아본다. 오징어는 연체동물문(Mollusca), 두족강(Cephalopoda), 이생아강(Dibranchia), 십완목(Decapoda)에 속한다. 머리부분에 다섯쌍의 다리가 있고, 그 중 한 쌍의 촉완에 있는 빨판으로 먹이를 잡거나 교미할 때 상대를 힘껏 끌어안는 수단으로 이 팔을 사용한다. 물을 외투막 안으로 끌어들였다가 몸뚱이 앞에 있는 깔때기 모양의 특별한 구멍을 통해 내뿜으며 이동, 방향조절 가능하다. 천천히 움직일 때는 지느러미로 헤엄을 치거나 다리로 바닥을 기어다닌다. 발달된 눈과 뇌를 가진다. 피부 밑에 있는 적색, 황색, 갈색의 3층으로 된 색소포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 맞게 몸의 색을 변화..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8. 11. 일반화학실험 | N/10 탄산나트륨 표준액의 조제 TIP 1. 무수 탄산나트륨을 정확히 달아서 물에 용해하여 일정 부피로 하여 N/10 탄산나트륨 표준액(1차 표준액)을 조재한다 2. 무수탄산나트륨은 산 표준액의 표정용 표준물질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적정법 분석 적정법은 분석물에 의해 소비한 기지 농도의 시약 양을 측저하는 광범위하고 대단히 유능한 정량분석법 중의 하나이다. 기지 농도의 용액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 적정법은 분석물과 가능하면 완전히 반응해야 한다. 무게 적정법은 부피를 측정하는 대신 시약의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 다르다. 전기량 적정법에서 시약은 분석물과 반응하는 일정 직류의 전기량 크기이다. 이 방법은 전기 화학적 반응의 완결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한다. 적정법들은 일반적으로 빠르고 편리하고 정확하고 쉽게 자동화되기 때문에 일상 분석.. Chemistry/일반화학 2021. 8. 10. 건설재료시험 | 골재의 단위 용적 중량 및 공극률 시험방법 TIP 1.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시험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이라 함은 기건(氣乾)상태 내지 절건상태에 있어서 1㎥당의 단위용적중량을 말한다. 골재의 함수량이 1%를 넘을 경우는 시료 중의 함수량을 측정하여 둘 필요가 있다. 은 아래와 같은 경우에 필요하다. 1) 콘크리트의 제조 및 배합설계에 따른 배합의 결정, 현장에서 골재를 계량할 때 등의 경우 2) 콘크리트 배합시 중량배합에서 용적배합으로 또는 용적배합에서 중량배합으로 환산할 경우 3) 골재의 입도․입형 및 석질의 양부를 검사할 경우 4) 공사현장 등에서 골재의 수송계획을 세우거나 소요량을 계산할 경우 2. 골재의 단위용적 중량은 콘크리트 배합시에 골재를 용적계량할 경우나 골재를 용적으로 반입 계획할 경우 등에 필요하다. 골재의 실적률 및 공극률은 골재가..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1. 8. 10. 환경화학실험 | COD 크롬법 COD(chemical oxygen demend)화학적 산소요구량으로써 수중의 산화 가능한 물질 즉 오염원이 될 수 있는 물질이 산화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산화되어 주로 무기산화물과 가스체로 되기위하여 소비되는 산화체에 대응하는 산소량을 ㎎/L로 나타낸 것이다. COD측정에 있어서는 대체로 외국의 경우 크롬법을 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 공정시험법에서는 망간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크롬법에 의한 경우보다 측정치가 작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크롬법에 의한 COD측정을 하기로 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시료4㎖에 HgSO4 0.4g을 넣는다. 2) 증류수 16㎖를 넣어 전량을 20㎖로 취한다. 3) 0.025N K2Cr2O7 10㎖를 넣는다. 4) 황산-황산은용액 30㎖를 넣는다. 5..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21. 8. 8.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1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