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체험리뷰]이지듀 DW-EGF 화이트토닝 크림 체험 대웅제약의 화장품 브랜드인 easydew의 신제품을 제품 출시전 체험해보았어요. 여기서 Easydew라는 브랜드는 쉽고, 가볍고, 누구나 간편하게 효과를 누릴수 있는 대웅의 철학이 담긴 화장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EGF(Oligopeptide) 성장인자를 이용하여 스킨케어 분야에 연구 및 개발 등 과학적 노력과 결실로 아름다움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는 대웅제약의 화장품입니다. EGF는 'Epidermal Growth Factor'의 약자로 ‘상피세포 성장인자’라고 불립니다. 인체의 자연적인 상처치유 과정에서 새살(육아조직)을 돋게 하고 혈관을 재생시키는 몸 안의 상처치유 물질이다. 주로 사람의 체액에 고루 분포되어 있고 5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래 체험분 제품을 받아보았어요~.. IT 과학/블로그관리 2021. 7. 30. 일반화학실험 | 비점 측정 TIP 비점을 측정함으로써 정제된 액체 시료를 확인한다. 융점과 같이 비점 또한 물질의 고유한 특성이다. 물질에 따라 비점이 다름을 알고 비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자. 비점(boiling point) 액체에서 기체 상태로 물질의 상태가 바뀌는 온도이다. 액체 물질의 증기압이 외부 압력과 같아져 끓기 시작하는 온도이다. 보통은 1 기압에서의 값을 말하며 그 물질의 고유한 상수가 된다. 외부의 압력에 따라 끓는점은 변화하게 된다. 외부의 압력이 커질수록 끓는점은 높아지고 외부압력이 낮아지면 끓는점도 낮아진다. (PV=nRT) 순수한 물질은 고유의 끓는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끓는점을 측정하면 물질의 순도를 판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물질이 녹아 있는 용액은 순수한 액체보다 끓는점이 높다.. Chemistry/일반화학 2021. 7. 28. 일반생물학실험 | 아밀라아제의 활성과 온도 TIP 아밀라아제의 온도와 소화 효소의 관계를 실험해본다. 아밀라아제 소화효소(amylase) 녹말에 침을 섞어 따뜻하게 하면 아이오딘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침 속의 아밀라아제의 작용 때문이다. 침 1ℓ 속에는 약 0.4g의 아밀라아제가 들어 있는데, 침이나 위액 속의 아밀라아제는 녹말을 가수분해하여 말토스를 생성하므로 소화작용에 있어서 꼭 필요하다. 아밀라아제는 고등동물뿐만 아니라, 고등식물·곰팡이·세균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한다. 다카미네[高峰讓吉]는 누룩곰팡이가 배양액에 다량의 아밀라아제를 분비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타카디아스타아제(takadiastase)라고 하는 소화제를 만들었다. 또 어떤 종의 곰팡이의 아밀라아제는 녹말을 거의 완전히 가수분해하여 포도당(글루코스)으로 변화시키므로 포..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7. 28. 단위조작실험 | 온도-조성에 따른 상호 용해도 측정 TIP 본 실험에서는 물과 페놀을 각종 비율로 혼합하여 상호 용해도를 측정하고 이 계의 임계공용(용해)온도를 조사한다. 물-페놀 계에서 매우 희석되면 완전 동일 상이 되고, 농도가 짙으면 불균일상이 된다. phase(상) 물리학 화학용어로 어떤 물질이 어느 부분에서건 물리적 화학적으로 같은 성질을 같은 성질을 나타낼 때를 표현하는 것이다 기체상 액체상 고체상이 존재하고 하나의 상으로 이루어지는 균일계 2개 이상의 상으로 이루어지는 불균일계로 나뉜다. 어떤 물질의 어느 부분을 취해도 물리적/화학적으로 같은 성질을 나타낼 때 그 물질은 하나의 상을 이룬다고 한다. 예를 들면 공기는 질소 산소 및 그 밖의 기체의 혼합물이나, 혼합은 완전하고 또한 균일하므로 하나의 상을 이루고 있다. 자유도 상률 하나의 계의 ..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1. 7. 28. 일반생물학실험 | Cell lysis, Bradford Assay TIP Transfection, harvest가 잘 이루어졌는지 알기 위해 cell lysis를 하여 lysate를 얻고 Bradford assay를 통해 protein을 측정한 후 loading sample을 완성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lysis buffer를 계산하여 만든다 2) Deep freezer에 얼려놓은 sample을 가져온다. 3) sample이 어느정도 녹은 후 만들어 놓은 lysis buffer를 140㎕씩 넣는다. 4) Pipetting을 하여 바닥에 붙은 cell을 떨어뜨리고 전부 E-tube에 담는다. 5) E-tube를 약 5초간 vortexing하고 ice에 넣어 10mins 기다린다. 6) Centrifuge (12500rpm, 12mins, 4℃) 7) Pe..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7. 27. 일반화학실험 | 금속의 결정구조 TIP 결정을 이루고 있는 이온, 원자 분자 또는 원자단 등의 규칙적인 배열인 격자구조(Lattice Structure)에 대해 알아본다. 금속재료의 결정구조 1. 금속의 결정(crystal) : 고체상태의 금속과 같이 구성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있는 것 용융상태하의 액상금속의 원자들은 규칙적인 배열을 하지 않으나, 응고점에 도달하면 원자들은 결정구조에 따르는 규칙적인 배열을 갖게 된다. 2. 다결정체 : 무수히 많은 작은 결정체가 무질서한 상태로 집합 3. 결정립계 : 각각의 결정을 결정립, 결정립과 결정립과의 경계 4. 가열과 냉각의 방법에 따라 결정립의 크기는 변한다. 5. 일반적으로 결정립이 미세하면 강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6. 하나의 결정립을 X선으로 조사해 보면 그 결정립 내에는 원자.. Chemistry/일반화학 2021. 7. 27. 전기공학기초실험 | 전력분석기 사용법 TIP 1. 3상 전력을 공부한다. 2. 각 전력계법에 의한 평형 3상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3상 전력 3상 교류회로는 위상이 다른 3개의 단상 교류 회로를 한 개로 뭉친 것으로 왕복 6개 전선이 필요로 할 것이나 전선은 3개만 있어도 된다. 3상 교류회로에서 각 상의 기전력과 전류의 크기가 같고 위상만 2π/3(120°)일 때 평형(대칭) 3상 회로(balanced three phase circuit)라 하며, 그렇지 않을 때를 불평형 3상 회로(unbalanced three phase circuit)이라 한다. 실험 방법 1. 단상 전력분석 1) 다음과 같이 전력분석기를 결선한다. 2) 부하는 백열전구를 연결한다. 3) 전력분석기를 이용하여 전압, 전류, 유효전력, 무효전력, 역률을 측정.. Engineering/전자전기공학 2021. 7. 26. 일반생물학실험 | 혈관, 혈액, 혈액형과 유전자 빈도 TIP 혈관 및 혈액에 대해 알아보고 혈액형의 판정과 유전자 빈도를 조사한다. 혈액의 구성 사람의 혈액은 무게가 체중의 8%를 차지하며, 물보다 점성이 5~6배 크고 pH는 약 7.4이다. 1. 혈구(blood cell) ① 적혈구(erythrocyte, red blood cell; RBC) : 직경이 6~8㎛ 정도인 가운데가 오목한 원반형이며, 핵이 없다. 적혈구는 혈구 중 가장 그 수가 많아서 혈액 1㎕ 당 약 400만~600만 개가 들어 있다. 적혈구에는 산소를 운반하는 혈색소인 헤모글로빈이 들어 있기 때문에 붉게 보이며, 그 결과 혈액 전체도 붉은 색을 띤다. ② 백혈구(leucocyte, white blood cell; WBC) : 백혈구는 직경이 12~25㎛ 정도로 모양이 일정하지 않으며 핵을..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7. 26. 일반화학실험 | 산화-환원 적정 : 과망간산법 - Redox Titration : Permanganate Titration TIP 과망간산 칼륨과 과산화수소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서 과산화수소의 순도를 결정한다. 산화-환원 반응은 산-염기의 중화 반응과 마찬가지로 우리 주변에서 많이 일어나고 있는 매우 중요한 반응이다. 화합물은 양전하를 가진 원자핵들 주위에 음전하를 가진 전자가 구름처럼 분포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화합물을 둘러싸고 있는 전자는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서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종류에 따라서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종류의 화합물들이 서로 가까이 다가오게 되면 한 화합물로부터 다른 화합물로 전자가 옮겨가는 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처럼 화합물 사이에 전자가 옮겨가는 반응.. Chemistry/일반화학 2021. 7. 26. 일반물리학실험 | 영구자석의 자기장 TIP 1. 자기장의 거리 의존성을 자기 쌍극자의 거리 의존성과 비교하시오. 2. 자석의 자기 능률을 측정하시오. 막대자석은 두 극을 가진다. N극과S극. 일반적으로 N극과 S극으로 표시되고, 두 극을 가지면, 우린 그러한 자석을 dipole(이중극)이라 부른다. 자석의 두 극을 쪼개면, 두 극이 분리되지 않는다. 여전히 각각의 조각은 두 극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2개의 자석은 여전히 두 극을 갖는다. 자기단극(magnetic monopole)은 없다는 우리의 지식을 토대로, 이중극이 자기장의 극원으로 가장 간단한 것이다. 다시말하면, 막대자석은 북(N)과 남(S)극 두 개의 극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두 극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자석을 쌍극(dipole)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북(.. Engineering/물리학 2021. 7. 26. 일반화학실험 | 알칼리 금속의 주기적 성질 TIP 1. 알칼리 금속 리튬, 나트륨, 칼륨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알아보고 주기율표의 같은 족 원소의 공통적 성질이 나타나는 원인과 순차적 차이가(규칙성) 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원자번호가 커짐에 따라 어떠한 경향성을 띄는지 확인한다. 2. 알칼리 금속을 잘라 용액과의 반응정도를 통해 금속의 반응성의 크기를 이해한다. 알칼리 금속의 물리적 성질알칼리 금속은 주기율표의 가장 왼쪽에 위치한 1족 원소이다. 1족에는 Li, Na, K, Rb, Cs, Fr 이 있다. 알칼리 금속은 최외각의 전자배치가 ns1으로 원자가 전자를 1개 가지므로 같은 주기에서 유효핵전하량이 가장 작기 때문에 원자 반지름은 가장 크고 질량은 가장 작다. 따라서 밀도가 작고 무르며 녹는점과 끓는점도 낮은 편이다. .. Chemistry/일반화학 2021. 7. 24. 일반생물학실험 | 발효와 호흡 TIP 발효와 호흡과정의 속도 비교와 함께, 발효의 산물에 대해 알아보고, 발효와 호흡의 차이를 알아보자 살아 있는 세포를 위한 가장 보편적인 연료는 포도당이다. 많은 다른 화합물은 먹이로서 제공된다. 그러나 이들의 거의 모두는 포도당으로 전환되거나 포도당 대사의 한 단계 한 단계에서 중간 대사물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세포는 ATP라는 형태의 에너지를 수확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세포의 이러한 연료전환 과정에는 발효와 호흡 과정이 포함되는데, 먼저 호흡은 산소를 이용할 수 있을 때 작동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방출한다. 그리고 이것은 피루브산 산호, 시트르산회로, 호흡 사슬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발효는 산소가 없는 조건하에서도 세포가 살아남기 위하여 에너지 생산과정을 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7. 24. 일반화학실험 | 알짜 이온 반응식 TIP 알짜 이온 반응식에 대해 알고 몇 가지 화학 반응을 통하여 반응의 변화를 관찰하고 실험을 통해 반응의 알짜이온 반응식을 쓸 수 있다. 수용액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은 매우 다양하다. 산-염기 반응을 예로 들면, 염산용액과 수산화소듐 용액을 혼합하면 물과 염이 만들어지는 중화반응이 일어난다. 이 반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분자반응식을 적을 수 있다. HCl(aq) + NaOH(aq) → H2O(l) + NaCl(aq) 이 전체 반응식은 반응물, 생성물 및 화학량론을 나타내고 있지만 용액 속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 염산, 수산화소듐 및 염화소듐수용액에는 분자반응식에 나타낸 분자가 아닌 각 이온들이 들어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완전이온반응식을 이용하여 용액속의 반응물.. Chemistry/일반화학 2021. 7. 22. 일반생물학실험 | Transformation - bacterial genetics TIP E.coli의 일종인 DH5α를 transformation하고, LA배지와 LK배지에 배양하여 콜로니가 형성되는지 관찰한다. Transformation 원래 Transformation은 형질전환이란 말이다. 형질전환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DNA에 의하여 생물의 유전적인 성질이 변하는 일을 말한다. 다당류로 이루어진 두꺼운 막, 즉 협막을 가진 S형균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이것을 다당류성 협막을 가지지 않은 R형균에 작용시키면 R형균의 일부가 S형균으로 변한다. 이것은 S형 세균의 DAN 가 R형 세균 속에 들어가서 유전자 발현을 하기 때문이다. 전환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DNA의 최소량은 약 10만분의 1 mol이며, DNA의 single strand를 주는 것보다도 double strand를 주..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7. 22. 생화학실험 | α-glucosidase 저해 평가 TIP α-glucosidase를 억제하면 빵, 감자, 파스타와 같은 녹말이 장에서 분해되는 것을 막아준다. 즉, 식사 후에 혈당이 증가하는 것을 늦추어 혈당을 낮추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당뇨병이 있는 경우 약물로 사용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α-glucosidase의 저해를 측정한다. α-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글루코시드 가수분해 효소를 가리킨다. 비환원 말단에 존재하는 α-D-글루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α-형 글루코오스를 생성하는 효소의 총칭. 단순히 글루코시다이제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동물, 식물. 미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 아밀라아제의 작용으로 생긴 올리고당의 글루코오스에의 분해와 배당체의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배당체와 글루코시드 결합의 종.. Biology/생화학 2021. 7. 22. 일반화학실험 | Sulfite를 이용한 효소반응 저해 TIP 1. 감자에서 일어나는 효소 갈색화 현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저해제로서 sulfite의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통해 효소 작용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2. 효소는 생물체 내에서 각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단백질이다. 이 효소는 촉매의 역할 즉,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무기촉매와 다르게 온도와 pH의 영향을 받아 일정 구간에서만 활성이 일어난다. 또한 효소는 기질특이성이 있어 특정 물질하고만 반응한다. 갈색화 반응(Browning Reaction) 식품을 가공 또는 저장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의 복잡한 변색반응을 말하며, 갈색화 반응으로 식품의 외관, 향미, 영양가의 변화를 초래한다. 갈색화 반응으로 식품에 바람직한 방향과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결과가 초.. Chemistry/일반화학 2021. 7. 21. 일반생물학실험 | 발효균의 관찰 TIP 현미경의 구조 및 사용법을 익혀 생물학 실험의 원활한 진행을 할 수 있으며 막걸리 속의 효모를 관찰함으로써 주의 사항을 습득한다. 효모의 특성 효모는 곰팡이와 같은 진균류(fungi)에 속하지만 일반적인 곰팡이와 달리 균사를 만들지 않고 단세포로 되어 있고 증식은 주로 출아법(budding)에 의한다. 효모는 공기의 존재와 무관하게 자라는 통성 혐기성 미생물로서 알코올발효능이 강한 종류가 많아서 예부터 양조, 알코올제조 제빵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균체는 식량 및 사료용의 당백질, 비타민, 핵산물질의 원료 등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때로는 된장, 간장, 맥주, 포도주, 청량음료, 꿀 등을 변질시키기도 한다. 세포 형태는 구형이나 타원형을 나타나는 것이 많지만 소시지(sausage)형와 레몬형 등 다양..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7. 21. 생화학실험 | Elastase 저해 활성 평가 TIP 펩타이드는 단백질 성분으로, 길고 짧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백질층을 쌓아주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펩타이드는 수분 결합(수분을 끌어들이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론적으로는 피부 손상을 복구하라고 명령하는 세포 대화 성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주름개선효과를 내고 싶다면 펩타이드의 분열을 저해해야 한다. 펩타이드의 분열을 저해하는 방법 중 하나는 펩타이드 결합의 분열하는 과정에서 촉매역할을 하는 효소인 Elastase를 저해하는 것이다. 실험을 통해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Elastase 활성 저해를 측정한다. 엘라스틴(Elastin)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함께 결합조직에 존재하고 고무탄력성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단백질이며 조직의 유연성, 신축성에 관여하고 있다. 따라서 신축이 항상 반복되는 .. Biology/생화학 2021. 7. 21.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1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