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현미경 사용법을 통한 미생물 관찰 및 균수 계측 TIP 1. 현미경의 구조와 사용법을 숙지한다. 2. 측미계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크기를 측정한다. 3. Hematometer법을 이용한 총 균수 계측법을 이해한다. 현미경의 종류 1) 광학 현미경 : 광원이 빛이며,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라고 부르는 2조의 렌즈를 조합하여 미소한 물체까지 확대하여 관찰하기 위한 광학기계. ① 대물렌즈의 근처에 물체를 두고 대물렌즈로 만들어지는 도립된 실상을 대안렌즈의 초점내 에 두어, 대물렌즈로 만들어지는 도립된 실상보다 더 확대된 상을 관찰. ② 현미경의 배율: 일정한 길이의 경통에서는 대물렌즈의 배율과 대안렌즈의 배율의 곱. 즉 확대배율은 대물렌즈가 1∼100배 정도이고, 접안렌즈가 5∼20배 정도, 종합배율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배율을 곱한 것으로 2,000배가량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5. 8. 일반생물학실험 | 미시세계로 통하는 문 현미경 현미경은 조그만 물체를 확대하여 관찰하는 실험 기구로 생물학에서는 필수 기기 중 하나이다. 인류 최초의 현미경은 화란의 루벤후크가 발명하였다. 현미경은 배율과 해상력으로 성능이 구분된다. 배율이란 물체를 얼마나 확대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로 대물렌즈의 배율과 접안렌즈의 배율의 곱으로 나타낸다. 반면, 해상력이란 확대된 상이 얼마나 뚜렷하게 구별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해상도는 근접한 두 물체가 분리되어 보이는 최소거리(Limit of resolution, l.r)로 나타난다. 현미경의 종류에는 해부현미경, 광학현미경, 전자현미경 등이 있는데, 이번 실험에 사용할 광학현미경은 16세기 후반에 얀센이 발명하였고,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현미경으로써 관찰 재료는 빛이 투과될 정도로 얇게 제작해야하며, 집광렌..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4. 15. 일반생물학실험 | 복합현미경과 해부현미경 사용법 TIP 1. 복합·해부현미경의 사용법을 익히고, 대상을 관찰할 수 있다. 2. 현미경의 구조와 각 부분의 기능을 알아보고, 원리를 이해한다. 3. 관찰한 물체를 통해 배율, 해상도 등 현미경의 특성을 이해한다. 4. 차후에 더욱 정밀하고 복잡한 현미경을 사용하는데 기초가 되는 사항을 익힌다. 현미경의 원리 현미경이 물체의 상을 확대하는 원리는 초점거리가 짧은 대물렌즈를 물체 가까이 둠으로 얻어진 1차 확대된 실상을 접안렌즈로 다시 확대하는 것이다. 상이 맺히고 확대하는 것은 물체와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가 조금만 변하여도 바른 상을 맺지 못할 정도로 매우 예민하다. 현미경의 배율은 물체의 원래 크기에 대한 보이는 크기의 비율이다. 현미경 배율은 대물렌즈의 배율과 접안렌즈의 배율의 곱으로 계산한다. 대물렌즈..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4. 13. 일반생물학실험 | 현미경과 파이펫(pipette)의 원리 및 사용법 TIP 1. 일반생물학 실험에 있어서 필요한 여러 가지의 초자류의 조작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2. 광학현미경의 구조와 기능을 익히고 그 밖에 실험에 주로 사용되는 장비인 Pipette, Autoclave, Clean bench, 세포배양기, 원심분리기 등의 기능과 사용방법을 익혀 보도록 한다. 3. 생물학 실험에 사용되는 용어들(부피단위, 질량단위, 농도단위 포함)에 대해서 알아본다. 실험에 필요한 기구 1. 현미경의 종류 현미경은 일반적으로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으로 나뉜다. 광학 현미경은 빛 중에서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을 이용하며, 전자 현미경은 전자빔을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하는 현미경 2. autoclave 고압증기멸균기라고도 한다. 기내를 고온, 고압의 수증기로 채움으로써 기내에 둔 물..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4. 10. 미생물실험 | 균 배양 미생물은 현미경과 같은 기구를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작은 생물이지만 인간과 동물, 그리고 환경에 꼭 필요한 존재이다. 항암제․농약․에너지 생산 등 활용이 안 되는 분야가 없으며, 단 하루 만에도 수백만 마리의 자손을 번식시키는 이 미물중의 미물이 세계를 주름잡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놀라움을 직접 관찰해보기 위해서 지금도 우리 주위에서 끊임없이 번식하고 있는 미생물을 직접 배양해 볼 것이다. 그리고 배양을 하기 위해서 배지를 만드는 것도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도말 자연상태에서는 여러 종류의 생물종이 섞여 자라는데, 이러한 경우 한 종의 미생물을 연구하기 힘들다. 따라서 종의 특성을 연구할 때는 단일세포에서 자라난 세포 집단인 순수배양체(pure culture)가 필요한데, 이를 얻는 방법이 도말이다... Biology/미생물학 2021. 2. 2. 일반생물학실험 | 균류의 관찰 TIP 1. 현미경으로 균류의 형태 관찰하기. 2. 효모, 곰팡이, 버섯 등의 형태와 포자를 관찰하여 균류의 종류와 형태를 알아본다. 균류는 핵이 없는 진핵생물군으로서 세균과는 다른데 그이유는 세균에 비해서 크고, 구조도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균체는 단일세포로 되어 있는 것에서부터 많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는 것까지 다양하다. 효모, 곰팡이, 버섯은 균류의 종류들이다. 효모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진핵생물이다. 가끔 세포가 연결되어 균사같이 보이는 종도 있으나 진정한 균사는 아니다. 보통 출아법이나 이분법같은 무성생식방법으로 번식하나 종에 따라 두 개의 세포가 접합한 다음 감수분열을 통해 자낭포자나 담자포자를 만들어 유성생식으로 번식할 수도 있다. 단세포는 주로 구형이나 타원형이 주된 모양이..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1. 11. 일반생물학실험 | 원생동물 및 곰팡이 관찰 TIP 원생생물 및 곰팡이를 관찰하고 특징을 이해한다. 원생 생물 원생생물은 식물, 동물, 균류와 함께 진핵생물에 속한다. 진핵생물은 원핵생물과 달리 세포 내에 핵과 막으로 둘러싸인 미토콘드리아나 골지체 같은 소기관이 있다. 이런 소기관은 특정 기능이 수행되게끔 특정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진핵생물에 속하는 종들의 대부분이 원생생물이고 대부분의 원생생물은 단세포 생물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식물, 동물과 균류 등 다세포 생물은 원생생물에 뿌리를 두고 있는 큰 몸통의 말단부에 지나지 않는다. 원생생물의 구조와 기능의 다양성 원생생물은 수많은 다양한 생물군을 포함하고 있기에 일반적 특징이라 부를만한 것이 도리어 없다. 굳이 특징적인 점을 찾자면 소수의 군체와 다세포생물을 제외한 원생생물은 대부분이 단세포..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12. 22. 일반생물학실험 | 식물의 줄기와 잎 관찰 TIP 현미경으로 줄기와 잎의 단면을 통해 관다발을 관찰한다. 관다발의 구조 관다발은 물질을 운반하는 통도조직으로 물관부, 체관부로 구성되며 쌍떡잎식물에는 형성층이 있다. 구분 물관 체관 작용 물과 무기양분의 이동통로 유기양분의 이동통로 세포 죽은 세포, 원형질이 없다 살아있는 세포로 구성된다 세포벽 두껍다 얇다 생김새 위아래로 세포벽이 없어져 긴 관모양이며 겉에 다양한 무늬가 있다. 가늘고 긴 세포들이 연결되어 있고, 세포 사이에는 구멍이 많이 뚫린 체판이 있으며 옆에 반세포가 있다. 현미경의 역사 현미경에 관한 기록은 AD 1000년경 그리스와 로마시대의 렌즈의 사용때부터이다. 미세한 사물을 확대하기 위하여 렌즈를 사용하였지만 현재로서는 그 기원을 밝히기에는 기록이 부족하다. 다만 현재의 현미경과 같..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10. 2. 일반생물학실험 | 곰팡이와 원생생물의 관찰 TIP 현미경을 이용하여 균류와 원생생물의 구조를 관찰한다. 관찰한 생물(곰팡이, 원생생물)의 이름과 특징 원생생물은 7개의 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의 세 개 문, 즉 편모충과 아메바가 속하는 위족편모충문, 운동력이 없는 포자를 형성하는 포자충문, 대부분의 섬모충 형태인 섬모충문이 매우 중요함. 1) 짚신벌레 ① 학명 : Paramecium caudatum ② 가장 유명한 원생동물로, 단세포동물이다. ③ 형태 : 몸길이는 170~290㎛이다. 몸은 방추형으로, 앞 끝은 둥글고 뒤끝은 원뿔 모양으로 뾰족하여 짚신 모양이다. 몸 전체에 균일하게 섬모(이동시 이용)가 촘촘히 나 있고, 입은 몸의 거의 중앙부에 깊이 깔때기 모양으로 열리며, 여기서 몸의 앞 끝 왼쪽에 이르기까지 위구부라고 하는 큰 홈이 계속..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9. 26. 일반생물학실험 | 혈구 관찰과 혈액형 분석 TIP 1. 사람 혈액 중 혈구를 구성하는 세포들의 구조적 차이를 현미경을 통해 비교하고 혈액형 판정 방법과 원리를 이해한다. 2. 혈액세포의 형태적 차이를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고 혈액형의 판정방법과 원리를 이해한다. 혈액의 정의 보통 혈액은 밀폐된 혈관 속을 순환하는 우리 몸 속의 액체 성분으로 세포외액(extracellular fluid)에 속한다. 혈액량은 사람에 있어 연령, 체형, 성별에 따라 개인차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체중의 6~8%로 건강한 사람은 체중 ㎏당 약 71㎖이다. 또한, 혈액은 동물의 내부 환경을 이루고 있는 체액으로서 항상성을 유지하면서 영양소, 노폐물, 호흡가스 및 호르몬의 운반과 면역물질의 생성, 백혈구의 식균 작용, 응고의 능력 등으로 생물체를 보호하고 pH, 수분량, 체온..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9. 5. 미생물실험 | 세균의 형태 및 크기 측정 TIP 크기의 단위, 세균의 형태와 종류의 다양함, 미생물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프레파라트를 만드는 법에 대하여 배우고, 육안으로 관찰이 불가능한 세균의 크기를 현미경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실험을 통하여 배운다. 세균과 고세균 세균이란 미세한 단세포(單細胞)생물. 넓은 의미의 세균은 원핵균류를 가리키지만 좁은 의미로는 원핵균류 중에서 마이코플라즈마류·점액세균류·스피로헤타류·방 선균류를 제외한 것을 가리킨다. 보통 세균이라고 하면 좁은 의미의 세균류를 가리키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세균(Bacteria)의 형태는 구형, 타원형, 막대형, 나선형, 사상형 등 매우 다양하며 그에 따라 구균, 간균, 나선균, 사상형세균 등으로 구분하여 부른다. 최근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세균과 고세균을 나누어 보는 경향이 .. Biology/미생물학 2020. 7. 10. 일반생물학실험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TIP 현미경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 및 사용법을 습득한다. 현미경의 역사 현미경에 관한 기록은 AD 1000년경 그리스와 로마시대의 렌즈의 사용 때부터이다. 미세한 사물을 확대하기 위하여 렌즈를 사용하였지만 현재로서는 그 기원을 밝히기에는 기록이 부족하다. 현재의 현미경과 같은 구조를 지닌 현미경 (Multiple lens) 을 발명한 사람은 1590년대의 네덜란드사람인 얀센 (Zacharias Jansen) 과 John Lipperhey이다. 당시의 발명품은 주로 해양탐사를 위해 사용되어 그 형태는 망원경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반세기 후의 현미경은 17세기 네덜란드 사람인 레벤후크 (Anthony van Leeuwenhoek :1632~1723) 와 로버트 후크 (Robert Hooke) 에 의해 현..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4. 22. 식품분석학실험 | Physiology & Safety test, Sequencing TIP 현미경을 통해 김치 안에 들어있는 균의 morphology를 보아 Lactobacillus가 들어있는지 확인하고, Safety test를 통해 김치의 안전성을 확인하며, 김치 안에 어떠한 균이 있는지 확실하게 보기 위해 plating한 균을 회사로 보내 sequencing 해 본다. Lactobacillus의 정의 및 특성 Lactobacillus는 유산균 그룹의 속하는 대표적인 균속으로 이 속에 속하는 대부분의 균이 lactose나 sugars를 lactic acid로 바꾸어 에너지를 획득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Lactobacillus는 Gram positive이며 형태적으로 봤을 때에 대부분은 rod shape을 나타내지만 Coryne형을 나타내기도 한다. 대부분 운동성이 ..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0. 3. 30. 생명과학실험 | 타선 염색체 관찰과 핵형분석 TIP 초파리의 타선염색체를 이해하고 관찰한다. 세포분열의 과정들을 관찰한다. 유전정보는 DNA에 저장되고 DNA를 통해 후대로 전해진다. 모든 생물의 세포는 DNA를 포함하고 있다. 진핵생물의 경우 이 DNA가 존재하는 곳은 핵이다. DNA는 핵 안에서 히스톤단백질과 함께 염색체를 이루고 있다. 염색체는 유전정보를 지니고 있는 실 같은 구조다. 이 염색체는 생물체의 종류마다 다르지만 인간의 경우 46개의 염색체를 가진다. 염색체의 구조를 살펴보면 복제를 했을 경우 두 개의 염색분체와 동원체로 이루어져 있다. 동원체는 세포분열 후기에 딸 염색체가 서로 붙어 있는 영역이고 염색분체는 염색체가 세로로 분열할 때 그 염색체의 한 가닥이다. 생물은 세포와 외부와 물질 교환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하나의 세포가 ..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0. 2. 11. 미생물학실험 | 수생 미생물의 관찰 TIP 1. 수생미생물을 관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2. 연못이나 고인 물에 사는 수생미생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해보고 미생물의 이름을 알아내보고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수생미생물(또는 수서미생물)은 수중에서 생활하는 미생물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천연 육수에는 거의 생물이 살지 않는 물도 있지만 대개는 각종 조류, 광합성 세균, 화학합성 무기영양세균이나 유기영양의 Pseudomonas, Chromo-bacterium, Flavobacterium, Micrococcus 등의 세균이나 원생동물 등이 많이 발견된다. 조류는 엽록소가 있어 산소를 생산하는 광합성을 할 수 있으나, 원시적인 생식구조를 갖는 생물이다. 주로 담수 및 해수에 부유하거나 바닥에 부착해서 서식한다. 원생동물(원충류)은 단세포이.. Biology/미생물학 2020. 2. 8. 미생물공학실험 | 김치 요거트 막걸리 등의 생균제품으로부터 시료 채취 미생물(microorganism, microbe)이란 개체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육안으로는 관찰이 어려워 현미경(microscope)을 사용해야만 관찰할 수 있는 단세포나 세포들의 간단한 덩어리 형태로 된 생물체들을 말하며, 이들의 생명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을 미생물학(microbiology)이라 한다. 사람의 눈은 0.1 ㎜ 이하의 물체를 식별하지 못하는데,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이보다도 작은 크기여서 이들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주로 ㎛( ㎜, m) 단위를 사용한다. 미생물들은 다양하고도 광범위한 생물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세균(bacteria), 곰팡이(mold), 효모(yeast), 원생동물(protozoa), 조류(algae) 및 바이러스(virus)가 포함된다. 미생물들은 그 크기.. Biology/미생물학 2020. 1. 15. 일반생물학실험 | 표피조직의 관찰 TIP 1. 식물의 표피조직(공변세포)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해 낼 수 있다. 2. 표피의 유형에 대해 학습 한다. 3. 각 분류군의 표피조직을 비교·대조 한다. 4. 식물의 공변세포를 관찰하여 각 기관에 대해 이해한다. 표피 1. 표피조직 원표피에서 발달한 최외각 조직. 공변세포, 근모, 모용 등으로 분화된다. 2. 표피의 기능 ① 수분조절: 각질에의한 수분증발 억제, 기공에 의한 가스 조절 ② 해빛으로부터의 보호: 빛의 반사, 차단으로 인해 잎 보호 ③ 다른생물로부터의 보호: 박테리아나 균류 침입 억제 ④ 무생물로부터의 보호: 바람, 모래, 먼지 등에 의해 찢겨지지 않도록 보호 ⑤ 생식에서의 역할: 주두표피에서 자가수분 억제, 수분매개자 유도, 밀액의 분비, 축적, 방출 ⑥ 분비에서의 역할: 표피성 모..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1. 13. 식품미생물학실험 | 현미경을 이용한 대장균 관찰 TIP 눈으로 볼 수 없는 미생물 중에 대장균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대장균의 형태, 크기, 배열, 움직임, 상태 등을 관찰한다. 표본 제작법과 염색법을 배우고 염색유무에 따른 결과를 보고 차이점을 안다. 단순염색 현미경으로 관찰 할 때 시료에 빛이 투과되어 관찰이 되는데 그 때 염색을 하지 않고 관찰하면 배경과 관찰하는 미생물과 분간이 잘 되지 않아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미생물에 염색을 하여 배경과 확실하게 구분해 미생물 관찰을 쉽게 한다. 실험에서 하게 되는 단순염색(simple staining)은 가장 많이 하고 쉬운 방법이다. 세균의 핵산과 단백질은 대부분 음전하를 띄기 때문에 음전하와 강하게 결합하는 염기성 염색약을 쓰면 염색약이 세포벽에 들어가 세포의 음전하 부위와 이온결합을 하여 염색이..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19. 12. 3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