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진핵세포(Yeast)의 순수 배양 TIP Yeast의 생활사를 이해하고 Yeast의 적절한 배양 조건을 확인하고 순수 배양을 해 본다. Yeast 의 생활사 효모는 자낭균류로서 균사에 격벽이 있어 다세포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담자균류와 더불어 고등 균류로 분류된다. 자낭균류는 대게 균사 끝의 분생자병에서 사슬 형태의 분생포자를 만들어 무성 생식을 한다. 그러나 때로는 균사의 접합으로 자낭을 형성하여 자낭포자를 만드는 유성 생식을 하기도 한다. 자낭포자는 포자낭 속에서 보통 8개가 만들어 지는데, 자낭포자가 만들어질 때 감수 분열이 일어나므로 다양한 형질의 곰팡이가 생긴다. 그러나 효모는 다른 자낭균류와는 달리, 균사가 없으며 대개 출아법에 의한 무성 생식을 한다. 그러나 환경이 나쁠 때는 2개의 효모가 접합하여 자낭 포자를 형성하여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3. 7. 미생물실험 | DH5α와 Pseudomonas syringae에 대한 액체배지 희석법을 이용한 Gentamycin의 MIC측정 TIP 1.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의 의미와 측정 목적의 이해 2. MIC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와 숙지 3. 농도 희석의 방법을 알고 측정에 적용. 4. culture tube의 사용법을 이해하고 실험에 적용 화학요법 (chemotherapy) 감염 미생물에만 선택적으로 독성을 나타내는 화학물질을 투여하여 미생 물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임으로써 숙주의 방어 작전을 도움. 화학요법제(chemotherapeutic agent) = 항미생물제(antimicrobial agent) = 항감염제(anti-infective agent) 광범위의 화학요법제= 항생물질과 같은 천연물질 + 유기합성품 좁은 범위의 화학요법제 화학합성 의약품만 일컫고 천.. Biology/미생물학 2020. 3. 5. 생명화학공학실험 | 효모(Yeast)의 회분식 플라스크 배양 TIP 효모의 플라스크 배양을 통한 회분식 성장 특성을 파악해 본다. 발효(fermentation) 기술 회분식 발효에서 첫 번째 단계는 petri dish, slant tube 또는 보관용 액체 배지에 있던 순수한 효모균을 플라스크에 접종하는 일이다. 접종된 균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교반 반응기에서 배양되며, 균이 대수성장기에서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될 때 일부를 다시 꺼내어, 보다 큰 부피의 액체 배지에 (플라스크 또는 발효기) 접종하여 연속적으로 배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과정이 점차 큰 부피의 발효기로 옮겨가며 여러 번 반복 수행되어 효모의 생장을 최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발효 산업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큰 부피의 발효조에 접종할 충분한 양의 효모균을 얻게 되며, 목적 산물의 생산..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0. 3. 3. 미생물실험 | 액체배지 - 박테리아 배양 TIP 박테리아를 배양한 후 성장한 정도를 알아보는 실험 Pour Plate Method Plate에 시료의 희석액과 배지를 부어 배양한 후 형성된 균의 수를 세는 미생물수 측정법으로 배양 후 흡광도를 측정해 균의 수를 확인한다. 흡광도 측정법 빛이 시료액을 통과할때 흡수되는 양을 측정함으로써 미지물질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실시법은 시료 및 표준액을 적당한 조건에서 반응시켜 제각기 흡광도를 측정해 시료농도를 구하던가 반응시료액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해서 농도를 구한다. 실험 방법 1. Pour Plate Method 1) Bacterial Culture를 1㎖ Plate에 떨어트린다 2) 121℃로 15분 Auto clave한 Medium을 45℃로 식힌 것을 Plate에 붓고 퍼트린다. 3) 하루동안 배.. Biology/미생물학 2020. 3. 2. 분자생물학실험 | 형질전환 - 세균세포에 의한 DNA uptake TIP 외부의 DNA를 세균에 삽입하는 실험을 통해 세균의 형질전환(transformation)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대부분의 세균 종들은 그들이 성장하는 배지로부터 DNA분자를 uptake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uptake된 DNA분자는 분해되지만(restriction and modification에 의해) 종종 생존하여 복제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그 DNA분자가 숙주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복제 원점(replication origin)을 가지고 있는 플라스미드인 경우 나타난다. 플라스미드의 uptake와 안정적인 보존은 플라스미드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함으로써 탐지된다. 항생제에 민감한 세균 세포가 항생제-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플라스미드를 uptake하여 이 유전자가.. Biology/분자생물학 2020. 3. 1. 생화학실험 | ICC(Immunocytochemistry) TIP 1. 단백질이 어디에서 발현되는 가의 여부를 알 수있고 또한 그 단백질이 어디로 이동하는 가에 대한 것도 볼 수 있다. 2. 살아있는 세포와 cell line 이 2가지를 이용해서 관찰할 수 있으며 서로 장단점이 있다. 각 단백질에 달라붙은 first antibody와 또 그 antibody에 붙는 secondary 형광 antibody에 붙이면 일정 파장을 반사하여 색깔이 보이는 것이다. 실험 결과 실험1. 세포의 모양이 동그란 부분은 왜 그럴까?? A, B는 세포 분열 중기 과정입니다. A-B 순으로 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거죠. C의 경우 대부분 분열과정에 포함시켜 해석하였는데, 사실은 세포 사멸 중입니다. 세포 사멸을 배웠는지 모르겠지만, 세포 사멸 중 특히 Apoptosis 에서는 Nucl.. Biology/생화학 2020. 2. 26. 일반생물학실험 | Catalase 효소의 성질 생화학의 역사에 대한 많은 부분은 효소연구의 역사이다. 생체계에 있어서의 촉매반응이 일어난다고 하는 것에 대하여는 분비물에 의해서 고기가 소화 되거나, 전분이 타액이나 각종 식물 추출액에 의해서 당으로 변한다는 관찰을 통해서, 이미 18세기 초에 인정되었다. 그 후 생물학적 촉매반응(현재는 이것이 효소반응이라는 것이 밝혀졌다.)에 관한 많은 예가 보고되었다. 1850년대에 Louis Pasteur는 효모에 의해서 당이 발효되어 알콜이 생성되는 반응이 “발효계”에 의해서 촉매된다고 생각했다.그는 발효계[후에 효소(Enzyme)라고 명명 되었다.]가 살아있는 효모세포의 구조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하는, 수년동안 지배적으로 시인되었던 견해를 발표하였다. 한편, 1897년에 Eduard Buchner가..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2. 25. 생명과학실험 | 돌연변이 초파리 및 다양한 원생생물 관찰 TIP 1. 초파리의 외부 형태와 암수를 구별할 수 있다. 2. 초파리의 야생형과 돌연변이체의 표현형을 구별할 수 있다. 3. 원생생물의 특징을 알 수 있다. 4. 원생생물의 운동 방식에 따라 분류할수 있다. 해부현미경은 일종의 돋보기라 할 수 있는데 기본원리는 광학현미경과 동일하지만 보이는 상이 상하좌우가 바뀌지 않고 그대로 보이기 때문에 실체현미경이라고도 한다. 학명 생물 종에 대한 명칭은 각 나라나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학술 연구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학문적 어려움을 없애기 위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생물의 이름인 학명을 사용한다.학명은 라틴어화하여 이탤릭체로 기록하고 이명법과 삼명법으로 나뉜다 1. 이명법 ∙ 속명 + 종소명 + 명명자로 표기한다. ∙ 종명이라는 용어 대신에 학명 ..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0. 2. 24. 미생물 실험 | 현미경의 관찰 및 염색 - 여러 가지 미생물 염색법 TIP 다양한 균들과 곰팡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염색 및 관찰하여 보고 각각의 특징을 알 수 있다 Staining의 종류 1. 염색의 이유 미생물은 무색투명하고 곰팡이나 효모에 비해서 크기가 작고 명암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쉽지 않으므로 염색을 해서 관찰하면 쉽게 검체 내의 세균의 유무와 균 양을 간단히 알 수가 있고 세균의 염색상과 형태를 보아서 균종이 추정되어 세균의 동정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세균 감염증 진단에 도움이 된다. 또한 조기에 항생물질의 선택방침을 결정할 수 있다. 현미경으로 세균을 관찰할 때는 살아있는 상태로 검경하는 신선표본과 고정한 상태에서 색소로 염색하여 검경하는 고정염색표본이 있다. 신선표본은 세균의 운동상태나 형태, 크기 등이 관찰되고, 고정염색표.. Biology/미생물학 2020. 2. 23. 분자생물학실험 | 세균의 형질전환 Transformation의 원리 E.coli는 linear 또는 circular DNA를 받아들일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transformation이라 하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E.coli cell이 DNA를 uptake 할 수 있는 상태(competent)로 만들어 주기위해 E.coli cell을 Ca과 같은 multivalent ion의 존재 하에 0℃에서 incubation한다. 이때, cation은 E.coli cell membrane에 존재하는 lipid의 negatively charged phosphate와 complex를 이룰 것으로 추정된다. 낮은 온도는 cell membrane을 응고시켜 charged phosphate의 분포를 안정화하여 cation에 의하여 효과.. Biology/분자생물학 2020. 2. 17. 생화학실험 | 대표적인 생화학 실험 TIP 1. 플라스미드 DNA를 통한 박테리아의 형질전환을 관찰한다. 2. selection marker의 원리를 이해하고, 박테리아를 selection한다. 3. PCR에 필요한 재료와 PCR의 원리를 이해하고, 플라스미드의 일부분을 증폭한다. 4. selection한 박테리아로부터 플라스미드를 추출하여 제한효소와 반응시킨다. 5. 제한효소와 반응시킨 플라스미드와 PCR로 증폭한 DNA를 λ/HindⅢ 마커와 같이 아가로오즈 겔로 전기영동을 하여 나오는 결과를 분석하고 이해한다. pBluescript SK & GDA의 구성 및 특징 Plasmid DNA의 일종인 pBluescript Ⅱ SK(+)는 [그림 1]과 같이 구성이 되어있으며 형질 전환시 암피실린의 내성이 생기는 DNA가 selection m.. Biology/생화학 2020. 2. 17. 일반생물학실험 | 초파리 침샘 염색체 관찰 TIP 1. 초파리의 일반적인 특징과 침샘염색체를 관찰할 수 있다. 침샘염색체의 관찰을 통해서 염색체의 구조 및 기능과 유전현상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2. 침샘염색체의 슬라이드 표본을 제작하는 방법을 배우고, 각 염색체의 밴드 패턴과 염색체의 끝 모양을 참조하여 각 염색체를 구별하고 퍼프와 같은 특징을 관찰한다. 쌍시목(Diptera)곤충의 유충은 침샘(salivary gland)에서 세포분열이 없이 염색체의 연속적인 분열을 통해 다사 염색체를 형성한다. 초파리의 침샘 세포의 염색체는 다른 세포의 염색체에 비해 약 100배 정도나 크고, 4쌍의 각 염색체에 특징적인 띠(band)가 나타나므로 비교적 구별이 용이하다. 침샘세포에서 염색체는 8개로 보이는 것이 아니라 각 상동염색체가 접합하여 마치 하..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2. 16. 미생물학실험 | 항생제감수성 - 디스크확산법 실험 방법 1.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1) 백금이로 배양된 배지의 콜로니를 채취한다. 2) 0.5McFarland 시약의 탁도와 같게 볼텍스로 콜로니를 풀어준다. 3) Mueller-Hinton agar 배지 표면에 면봉으로 균액을 고르게 접종한다. 4) 접종한 plate 위에 항균제 디스크를 놓는다. 5) 균액에 접종된 배지를 35℃에 하루 동안 배양한다. [Biology/미생물학] - 미생물실험 | 항생제 감수성 -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일반생물학실험]항생제 감수성 검사 화학 교육 블로그 educhemup.blogspot.com [미생물학실험]항생제감수성 - 디스크확산법 레포트 1. 실험 기구 및 시약 1.1. 실험 재료.. Biology/미생물학 2020. 2. 16. 생명과학실험 | DNA 확인 TIP 브로콜리로부터 추출한 DNA를 이용하여 DNA가 맞는지 확인해본다. DNA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 DNA 클로닝(DNA Cloning)은 유전 공학의 기법 중 하나이다. 조작한 DNA를 세포에 도입하고 복제하는 과정을 거쳐, 무수히 많은 DNA 사본을 얻어내는 기법이다. DNA를 클로닝하기 위한 방법들은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 하나의 공통된 특징은 박테리아를 이용하는 것이다. 유전자나 DNA 절편을 클로닝하기 위해서, 먼저 플라스미드를 박테리아에서 분리한 후 외부의 DNA를 플라스미드에 집어넣는다. 그 결과 플라스미드는 이제 재조합 DNA가 된다.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다시 박테리아 세포에 넣어주면 재조합 박테리아가 된다. 그러면 세포분열을 통해서 유전적으로 동일한 클론(유전적 복제품..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0. 2. 16. 분자생물학실험 | 대장균의 형질전환 형질전환 Transformation(형질전환)이란 외부 DNA를 host cell(숙주 세포) 내에 넣어주어 세포가 원래의 성질과는 다른 새로운 유전형질을 추가로 얻게 되는 것이다. 모든 종의 세포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DNA 흡수와 결합에 관련된 세포 표현 단백질인 수용성 요소를 가지고 있는 competent cell에서만 transformation 된다. E. coil의 형질전환은 초기에는 발견이 되지 않았으나 bacteria를 차가운 CaCl2로 처리한 다음 잠시 heat shock 하면 bacteriophage λ가 세포 내로 들어가 phage를 형성한다는 사실에 의해 처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처리는 bacteria의 세포막이 DNA가 infection 될 수 있는 compet.. Biology/분자생물학 2020. 2. 14. 일반생물학실험 | 생물정보학 - bioinformatics TIP 웹기반 생물학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전자 및 단백질의 정보를 얻고, 진화적 관계를 알아본다. 생물정보학 1.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물학을 연구하는 모든 분야를 포함 2. 생명의 본질인 DNA 상태에 담겨있는 유전정보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3.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유전정보를 찾아내는 연구 사업을 유전체사업이라 하고, 이러한 유전체 사업의 결과로 얻어진 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유용한 정보를 얻어내는 학문을 생물정보학이라고 함 4. 인간 게놈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를 하는 학문. 즉, 게놈의 서열, 단백체의 연구와 배열, 세포 연구 등을 포함한 폭넓은 학문이다. 5. 수학, 정보학, 통계학, 화학, 생화학 등을 이용하여 인간이 예측하거나 계산하기 힘든 문제들을 대신해 줌 6. 최신 연구 이론을 손..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2. 13. 생태학실험 | Spatial Relations in Plants 생태학에 있어서 개체군의 분포(distribution)를 파악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특정 지역의 개체군의 분포 파악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개체군의 크기값이 크거나 조사지역의 넓이가 클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표본집단을 선택하여 개체군의 크기를 추론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개체군 분포도 추론의 방법의 한가지인 밀도측정(간격법)에 대해 연습하고 T-분포표를 이용한 신뢰도 수준을 파악하는데 있다. 간격법(spacing method) “연속평면상에 분포하는 개체의 분포양식, 개체수 및 분포의 집중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조사지역내에 임으로 설정된 지점에서 근접개체까지의 거리 또는 임의의 개체와 근접개체간의 거리.. Biology/그외 생물학 2020. 2. 13. 생명과학실험 | 타선 염색체 관찰과 핵형분석 TIP 초파리의 타선염색체를 이해하고 관찰한다. 세포분열의 과정들을 관찰한다. 유전정보는 DNA에 저장되고 DNA를 통해 후대로 전해진다. 모든 생물의 세포는 DNA를 포함하고 있다. 진핵생물의 경우 이 DNA가 존재하는 곳은 핵이다. DNA는 핵 안에서 히스톤단백질과 함께 염색체를 이루고 있다. 염색체는 유전정보를 지니고 있는 실 같은 구조다. 이 염색체는 생물체의 종류마다 다르지만 인간의 경우 46개의 염색체를 가진다. 염색체의 구조를 살펴보면 복제를 했을 경우 두 개의 염색분체와 동원체로 이루어져 있다. 동원체는 세포분열 후기에 딸 염색체가 서로 붙어 있는 영역이고 염색분체는 염색체가 세로로 분열할 때 그 염색체의 한 가닥이다. 생물은 세포와 외부와 물질 교환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하나의 세포가 ..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0. 2. 11.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