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담수 조류의 관찰 TIP 담수조류의 내부조직을 관찰하여 조류의 종류 및 형태와 일반적인 특징을 이해한다. 조류를 간단한 문장으로 정확하게 정의하자면 산소를 발생하며 광합성을 하는 생물 중에서 선태식물과 양치식물 그리고 종자식물을 제외한 전부라고 할 수 있다. 조류는 일반적으로 수중생활을 하며 엽록소를 갖고 있는 엽상식물이다. 물 속에 살고 있는 식물에는 미역, 다시마와 같은 거시적인 생물도 있지만, 현미경을 사용해야 관찰이 가능한 미시적인 생물도 있다. 이러한 생물들은 대부분 엽록소를 가지고 동화작용을 하고, 부산물로 산소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현미경적인 조류들은 단세포, 다세포체, 혹은 군체로서 생활하며, 고등식물처럼 세포들이 분화하여 조직을 형성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분화되어 있지 않는 조류들의 구조체를 흔히 엽상체라..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5. 12. 생화학실험 | Protein quantification by DC protein assay DC (Detergent Compatible) protein assay 본 반응은 Lowry assay와 거의 동일한 원리로 진행된다. 단백질과 alkaline copper tartrate solution 사이의 반응이 일어나고, 이때 생성된 copper-treated protein이 foline 시약에 의해 환원되면서 푸른 색 변화를 보인다. 이는 단백질 농도에 따라 750㎚ 에서 최대 흡광도를 보이면서 단백질 양을 측정할 수 있다. 1. 장점 및 단점 본 실험은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상태에서 진행하는 비색성 정량법(colorimetric assay)으로, 계면활성제 존재에 따른 실험값의 추가적인 보정이 필요 없다. 또한 15분 내에 최대 색 변화의 90% 이상 진행되므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시약의.. Biology/생화학 2020. 5. 9. 생화학실험 | RNA polymerase 분리 정제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Cell lysis ① pellet을 녹인 후 Buffer LB 26㎖ 분주하여 섞는다. ② 잘 섞은 pellet을 ice에 박혀있는 비커에 붓고 stirring하여 6㎖ lysozyme에 분주한 다음, 66㎖ PMSF와 33㎕ leupeptin도 첨가한다. (20min 반응시간 준다.) ③ 20min 후, 3㎖ 0.8% Sodium deoxycloate 첨가하고 20min 반응 시간 준다. ④ 20min 후, 50㎕ PMSF 첨가하고 5.6㎖ 2M Ammonium Sulfate 첨가한다. ⑤ Total volume 56㎖ 까지 Buffer LB를 첨가한다. ⑥ 5.6㎖ 10% PEI를 아주 천천히 넣어주고 20 min 반응시간 준다. ⑦ 39.00g 4도에서 15min .. Biology/생화학 2020. 5. 5. 일반생물학실험 | Bioinformatics & Sequencing TIP sequencing에 대해 이해하고, sequencing을 통해 알 수 있는 DNA 염기서열을 가지고 BLAST 분석을 통하여 gene의 ORF, homology, restriction enzyme site, motif, 2D structure 등을 알아보고 한다. 생물정보학 1.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물학을 연구하는 모든 분야를 포함 2. 생명의 본질인 DNA 상태에 담겨있는 유전정보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3.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유전정보를 찾아내는 연구 사업을 유전체사업이라 하고, 이러한 유전체 사업의 결과로 얻어진 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유용한 정보를 얻어내는 학문을 생물정보학이라고 함 4. 인간 게놈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를 하는 학문. 즉, 게놈의 서열, 단백체의 연구와 배열, 세포 연..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5. 5. 생화학실험 | UV-VIS KMnO4 극대 흡수 파장 측정 TIP UV-Vis의 기기 사용방법을 습득하고 특급 시약으로 조제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KMnO4의 극대 흡수 파장을 구한다. Beer-Lambert Law 빛의 투광도는 시료의 농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지만 그 로그함수는 다음과 같이 시료의 농도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 log T = K×C C : 시료 중의 흡광물질의 농도, K: 상수 위의 식에서 -log T를 흡광도(absorbance,A)라고 함으로 흡광도는 시료의 농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를 지니게 된다. A = K×C 위의 A = KC의 관계를 Beer's law라고 한다. 하지만 시료의 흡광도는 위에서 설명한 시료중의 흡광 물질의 농도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는다. 즉, cuvette의 직경 또는 폭에 따라서 흡광도는 달.. Biology/생화학 2020. 5. 2. 일반생물학실험 | E.coli의 Transformation TIP E.coli의 trasformation 실험을 통해서 유전 공학에 많이 쓰이는 transformation의 기작을 이해하고, 그 방법을 익힌다. Plasmid Plasmid는 원형의 double-stranded DNA로 chromosomal DNA와는 분리되어 있다. 플라스미드는 박테리아나 효모 혹은 기생이나 공생 관계로 보다 고등 eukaryotic cell들 안에 존재한다. 이것은 수천 base pair서부터 100 kilo base pair까지의 다양한 크기를 갖는다. 염색체 DNA와 마찬가지로 이 플라스미드 DNA도 분열전마다 복제된다. 세포 분열 동안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라스미드가 딸세포 속으로 들어가게 되며, 이런 성질로 인해 plasmid는 세대를 계속해서 숙주 세포 안에 존재할 수..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5. 1. 생화학실험 | GPC 기법을 이용한 단백질 분리 및 미지시료의 분자량 측정 TIP 액체에 용해되어 있는 혼합물의 각각의 분자량의 차이를 이용해서 분리하는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은 다공성 입자를 충진한 column을 이용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여러 가지 분자량을 가진 용질이 용해되어 있는 용액을 충진 column의 윗부분에 투입한 후 용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용매만을 coulmn에 공급하면 분자량이 큰 물질은 충진물질의 공극을 통과하지 않고 입자사이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column을 통과하는 시간이 빠르다. 반면에 분자량이 작은 물질은 입자의 공극을 돌아다니다가 빠져나오게 되므로 column을 통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러한 분자량과 column의 통과시간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면 시료의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게된다. Column을 통과한 단백질용액을 일정한 부피씩.. Biology/생화학 2020. 4. 28. 일반생물학실험 | Southern blotting TIP Rice tissue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전기 영동한 후 southern blotting한다. probe와 hybridization 하여 특정 DNA의 존재유무와 정량을 알아본다. Southern blot 1975년에 DNA 조각을 전기 영동하여 분리한 후 nitrocell㎕ose filter에 옮겨서 특정DNA 조각을 확인하는 실험 기법이 southern에 의해 개발되었다. Blotting 또는 hybridization이란 한 가닥으로 된 핵산이 이와 상보적인 염기 서열의 또 다른 한 가닥의 핵산과 적당한 조건에서 만나게 되면 이중나선을 형성하는 현상을 말한다. Southern hybridization은 위의 현상을 이용하는 기법으로, 먼저 genomic DNA을 적당한 res..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4. 28. 일반생물학실험 | 식물 기공의 개폐 기작 TIP 1. 식물 기공 세포의 개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다. 그 중 식물 기공 세포의 개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다. 그 중 K+ 이온의 영향을 관찰한다. 2. 기공의 구조를 관찰한다. 모세관현상 가는 유리관을 물속에 넣으면 유리관의 안쪽을 따라 물이 따라 올라오는데, 이처럼 매우 가는 유리관 같은 공간의 벽을 통해 액체가 따라 올라오는 현상을 모세관 현상이라 한다. 물분자 사이의 응집력보다 물분자와 유리벽 사이에 생기는 접착력이 더 강하면 유리벽을 타고 얇은 물분자막이 형성되며, 그 후에는 표면 장력에 의해 중앙 부분의 물을 빨아 올리게 된다. 끌려 올라간 물기둥의 무게가 유리관 사이의 접착력과 같아지는 높이까지 물은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가는 유리관일수록 물의 무게..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4. 26. 생화학개론 | 효소의 고정화(고정화 효소) TIP 1. 효소의 특성 2. 효소의 구조 3. 효소의 분류 4. 효소의 작용 5. 의학 및 산업적으로 활용되는 효소의 종류 6. 효소의 대규모생산 7. 고정화 효소의 특성 8. 고정화 효소를 이용함에 있어서의 장․단점 9. 고정화 효소의 제조 방법 10. 고정화 효소의 산업적 이용 생체촉매인 효소는 하나의 단백질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열, 강산, 강알칼리나 유기용매 등에 의하여 쉽게 활성을 잃는다. 이렇게 변성되기 쉬운 효소를 인위적으로 만든 외부 환경에서 이용하는 것은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효소의 고정화(enzyme immobilization)란 효소를 화학적인 방법이나 물리적인 방법에 의해 인위적으로 그 이동성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생체 내에서는 수천 가지의 효소가 세포막, 세포 .. Biology/생화학 2020. 4. 25. 생화학개론 | 효소 TIP 1. 효소의 성질 (1) 효소의 특이성 (2) 효소의 단위 (3) 효소의 반응특성 2 효소단백질의 형상 (1) 단량체 효소 (2) 소량체 효소 (3) 다효소 복합체 3 효소의 분류 (1) EC 1군 산화환원효소 (2) EC 2군 전이효소 (3) EC 3군 가수분해효소 (4) EC 4군 분해효소 (5) EC 5군 이성질화효소 (6) EC 6군 연결효소 4 효소에 의한 대사조절 (1) 효소량 조절 (2) 효소활성 조절 생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효소(enzyme)는 단순단백질, 복합단백질 또는 올리고머단백질 등으로 되어있다. 효소는 기질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작용(기질특이성)하고 열역학적으로 가능한 특정 화학반응만을 수용액 중의 희박기질에 대하여 온화한 온도나 pH 조건에서 부산물을 생성하지 않고(작용특이성.. Biology/생화학 2020. 4. 25. 분자생물학실험 | Western blotting Western blot은 여러 단백질의 혼합물로부터 어떤 특정단백질을 찾아내는 기법으로서 찾고자 하는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특정단백질의 존재여부를 밝혀낸다. 특정 단백질을 찾기 위해서 먼저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크기별로 분리해낸다. 단백질을 순수하게 크기별로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단백질의 단위 질량당 charge와 3차원 folding 구조를 모두 같게 해줘야 한다. 이런 이유로, 단백질은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 phoresis)를 수행한다. 이는, SDS를 detergent로서 이용하여 단백질을 모두 단위 질량당 같은 정도의 negative charge를 띠.. Biology/분자생물학 2020. 4. 24. 일반생물학실험 | DNA 추출 및 PCR TIP 쥐의 근육세포에서 DNA를 추출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 PCR) 실험에 이용할 product를 만들고 전기영동으로 그 결과를 확인한다. DNA 복제 DNA가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순서를 결정하는 것은 먼저 DNA 2중나선의 일부분이 풀리고, 풀린 두 외가닥 사슬의 어느 한쪽 사슬에서 전령 RNA(messenger RNA:mRNA)가 만들어진다. 이 mRNA는 DNA와 마찬가지로 염기-펜토오스-인산으로 된 뉴클레오티드의 기다란 연결체인데 펜토오스가 리보오스이며, 염기의 종류가 A,G,C 그리고 U(DNA의 T 대신 U이다)인 점이 다르다. 또 DNA처럼 2중나선이 아니고 외가닥 사슬로만 존재한다. DNA의 한 쪽 가닥 위에서 만들어진 mRNA는 그 염..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4. 22. 일반생물학실험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TIP 현미경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 및 사용법을 습득한다. 현미경의 역사 현미경에 관한 기록은 AD 1000년경 그리스와 로마시대의 렌즈의 사용 때부터이다. 미세한 사물을 확대하기 위하여 렌즈를 사용하였지만 현재로서는 그 기원을 밝히기에는 기록이 부족하다. 현재의 현미경과 같은 구조를 지닌 현미경 (Multiple lens) 을 발명한 사람은 1590년대의 네덜란드사람인 얀센 (Zacharias Jansen) 과 John Lipperhey이다. 당시의 발명품은 주로 해양탐사를 위해 사용되어 그 형태는 망원경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반세기 후의 현미경은 17세기 네덜란드 사람인 레벤후크 (Anthony van Leeuwenhoek :1632~1723) 와 로버트 후크 (Robert Hooke) 에 의해 현..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4. 22. 생화학개론 | 아미노산과 단백질 화학 TIP 1 아미노산(amino acid) 2 Peptide 3 단백질 단백질은 50개 이상의 L-α-아미노산이 peptide 결합으로 연결된 polypeptide로 생물체의 주요 구성성분이며 생명현상을 나타내는데 가장 중요한 물질이다. 이 polypeptide는 β-구조나 α-나선구조로 섬유상단백질이나 구상단백질을 구성하고 있으며 보조인자(prosthetic group)를 함유하는 것과 함유하지 않는 것이 있다. 단백질은 생체 내에서 여러 가지 화학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단백질, hemoglobin, 혈장단백질, myoglobin 및 β1-1-lipoprotein과 같이 운반에 관여하는 단백질, 밀의 gliadin, 달걀의 ovalbumin, 우유의 casein, 철을 저장하는 ferritin 등의 영양과 .. Biology/생화학 2020. 4. 21. 미생물실험 | 균주 보관법 동결건조법 조작이 저온에서 이루어지므로 열에 약한 물질의 건조법으로 유용하다. 이 방법은 미생물, 의학, 약학방면에서 수분이 많을 때는 불안정하고 또한 열에 극히 민감한 재료(세균, 바이러스, 혈장, 혈청)등을 이 방법에 의해 –10 ~ -30℃의 저온에서 건조시켜 보관하면 상온에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물에 대한 용해성이 뛰어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 식품공업에서 육류, 어류, 야채, 과즙 등을 건조시킬 때 이 방법으로 건조시키면 향, 맛이 남고 천연품에 가까운 인스턴트 음식을 얻을 수 있다. 동결보존시 이용하는 동결보존제는 세포 동결시 세포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이 보존제를 동결배지에 넣어준다. 동결보호제는 세포외액에 얼음결정이 생성될 때 발생하는 삼투압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손상을 막아주고.. Biology/미생물학 2020. 4. 19. 일반생물학실험 | Measure α-Amylase Activity TIP 1. 침에 의한 효소 작용과 그 성분을 유추할 수 있다. 2. Maltose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침에 들어있는 효소의 양을 구할 수 있다. 표준 곡선 (standard curve, master curve, type curve) 대표적인 여러 모델에 대하여 모델 변수의 변화에 따라서 모델의 반응을 이론적으로 계산한 곡선이다. 표준 곡선은 실제 탐사 자료를 해석하고자 할 때 실제 자료와의 비교를 위해 사용되며 대체적으로 가로축과 세로축은 정규화 된 값으로 만들어진다. 아밀라아제 (amylase) 침 1ℓ 속에는 약 0.4g의 아밀라아제가 들어 있는데, 침이나 위액 속의 아밀라아제는 녹말을 가수분해하여 Maltose를 생성하므로 소화작용에 있어서 꼭 필요하다. 아밀라아제는 고등동물뿐만 아니라, 고등식..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4. 19. 생화학실험 | UV-vis spectrophotometer와 standard curve TIP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서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Standard curve를 이용하여 미지시료의 농도를 구하기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1mM의 ρ-nitrophenol을 각각 10, 20, 50, 100, 200μM 농도 1mL를 만든다. ρ-nitrophenol(㎕) DW(㎕) 10μM 10 990 20μM 20 980 50μM 50 950 100μM 100 900 200μM 200 800 2) 10μM나 20μM의 경우 10㎕나 20㎕의 피펫팅이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100μM용액에서 100㎕를 에펜 튜브에 넣고 DW 900㎕를 첨가하면 10μM의 시약을 얻을 수 있고, 20μM농도의 시약도 이 방법을 사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3) 각각 만.. Biology/생화학 2020. 4. 18.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