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천연물화학 | 인삼과 홍삼 - 성분의 차이와 원인 조사 및 주요성분의 기능 TIP 1. 효능 2. 구성성분 3. 이화학적 특성비교 4. 원인조사 5. 주요성분의 기능 1. 효 능 인삼은 한의학적으로 주로 기허에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보기약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한방의서에 수록되어 체력증강, 피로회복, 소화기계, 신경계, 대사계, 순환기계 등의 기능조절을 위해 단독 또는 처방의 구성 생약으로 활용되어 왔다. 일본약국방에는 자양강장을 목적으로 인삼이 사용되는 반면, 중국얀전에는 백삼의 경우 1) 몸이 허약하고 탈진, 2) 팔다리가 냉하고 맥이 약함 3) 비장이 약해서 식욕부족 4) 폐가 약해서 숨이차고 기침남 5) 진액이 말라서 갈증이 있음 6) 몸안에 열이 있어 갈증이 생김 7) 오랜병으로 몸이 허약하고 마른 상태 8)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면 상태 9) 발기부전과 자궁.. Biology/그외 생물학 2020. 1. 1. 미생물실험 | 미생물의 현미경 관찰 Experiment 1. Gram positive/negative 1. 프레파라트 제작하기 ① 우선 준비된 4개의 슬라이드 글라스에 헷갈리지 않도록 펜으로 균주명을 적어놓는다. 그리고 프레파라트 제작 후 현미경 관찰과정에서 쉽게 균들을 관찰할 수 있게끔 펜으로 균을 놓을 곳의 뒷면에 원을 그려서 영역을 표시해준다. ② Smear – 4개의 튜브에 들어있는 각각의 균들을 Pipet을 이용하여 일정량( 을 각각의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놓는다. 사용한 피펫팁은 알코올램프에 살짝 데어주어서 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한다. ③ 알코올램프를 켜고 균이 올려진 슬라이드글라스의 뒷면을 알코올램프에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살짝 가져다대댄다. ④ Staining – 먼저 준비된 Crystal violet을 슬라이드글라스위의 균.. Biology/미생물학 2019. 12. 31. 일반생물학실험 | 혈액형 판정 및 혈구세포 관찰 TIP 1. 사람의 혈액 속에 들어 있는 혈구를 관찰하여 종류를 판별하며 각각의 구조적 특징과 기능을 알아보고, 혈액형 및 혈액형 판정의 원리를 이해한다. 2. 혈액형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이해하고 미지의 혈액의 혈액형을 판정해 본다. 또한, hemocytometer(혈구 계수기)를 이용하여 백혈구를 관찰하여 보고 혈액에 있는 백혈구의 개수를 추정하여 본다. 혈구 관찰 1. 혈액의 구성 소화, 흡수된 물질이나 산소가 들어 있는 모든 세포의 수송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체내의 순환작용을 순환기관계(Circulary system)라 하고, 이 순환을 담당하는 것을 체액, 그 속에 들어 있는 특수한 세포들, 그리고 이 체약을 담고 있는 조직이다. 고등 동물의 체액은 혈액과 림프(lymph)로 구성되어 있고, 이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2. 28. 생명과학실험 | Chick - embryo 발생과정 관찰 chorioallantoic membrane(CAM) assay TIP 1. 모델생명체인 Chick의 발생과정을 관찰한다. 2. Chick embryo 혈관형성에 all-trans-retinoic acid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척추동물의 모든 기관, 조직은 발생 초기에 형성되는 초기 삼배엽(ectoderm, mesoderm, endoderm)에서 발생된다. 본 실험에서는 초기 삼배엽과 이에서 유래되는 기관들을 관찰한다. 혈관은 처음으로 배아 바깥에 형성되며, chorioallantoic membrane(CAM)에서의 혈관형성은 화학물질이 혈관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법으로 자주 사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retinoic acid가 혈관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실험 방법 1. Chick embryo의 준비 1) 계란의 덜 뾰족한 둥근 부분을 핀셋으로 조심스럽게..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19. 12. 28. 천연물화학 | 천연물 성분의 분리 정제 TIP 1. 유기 용매를 이용한 추출 2.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 정제 3. 천연물 성분의 화학구조 결정 4. 핵자기 공명분광법 5. 자외선 및 가시광선 분석법 6. 적외선 분광분석법 7. 질량 분석법 8. X선 분광분석법 1. 유기 용매를 이용한 추출 천연물 연구의 대상으로 채집된 2차 대사들의 일부를 동결 건조한 후 잘게 자르고 유기 용매로 추출한다. 이때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실험실에 따라 다르지만 극성인 용매와 비극성인 용매를 순차적으로 또는 반복해서 사용한다. 비극성인 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MC), 에틸아세테이트(EtoAc) 등이 쓰이고, 극성인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이 사용된다. 거름종이로 거른 추출 혼합용액을 감압하에서 증발하여 농축 하고 생리활성의 유무를 측정한다. 분리하.. Biology/그외 생물학 2019. 12. 27. 미생물실험 | 자연계에 분포하는 미생물의 분리와 순수배양(one colony의 분리) - Screening and Streaking 실험 방법 1. 자연계에 분포하는 미생물의 분리(Screening) ① 실험에 이용할 소지품 등을 미리 준비해 놓은 다음, 여러방법을 이용하여 자연계에 분포하는 미생물을 채취한다. 빈플레이트에 증류수와 함께 담아 흔들어주는 방법과 면종을 이용해 닦는 방법과, 스포이드를 이용해 소지품을 들고 물로 흘러준다던지 배지에 직접 묻혀내는 방법 등이 있다. ② 배지가 담긴 플레이트에 살살 찍어(증류수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배지에 미생물 이묻어날 수 있게 하거나, 증류수를 이용했을 경우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배지가 담긴 플레이트에 2∼3방울 정도 떨어뜨려서 골고루 퍼지도록 하여 준비한다. 2. 순수배양 - one colony의 분리(Streaking) ① 먼저 백금이를 시너레이터에 넣어 살균한다. ② 살균된 .. Biology/미생물학 2019. 12. 27. 분자생물학개론 | Flow cytometer(FACS)의 원리 및 응용 TIP 1. Flow Cytometry 의 발전 역사 2. Flow Cytometry 3. Flow Cytometry 의 원리 4. Flow Cytometry 의 응용 Flow Cytometry의 발전 역사 1930년 스웨덴 Karolinska Institute의 Caspersson이 세포내 핵산과 단백질 양을 측정하기 위해 microspectrophotometer를 개발한 것이 가장 시초이다. 1947년 Northwestern대학(미국)의 Gucker등에 의해 공기를 빠른 속도로 주입하면서 검체를 실려 보내고 입자가 통과하면 빛이 산란되어 photodetector에서 전기 신호를 검출해낼 수 있는 최초의 Flow cytometer가 개발 되었다. 1950년 형광 항체가 개발되었으며 이즈음 hematol.. Biology/분자생물학 2019. 12. 27. 생화학개론 | 다양한 비타민의 종류와 역할 TIP 1. 비타민의 정의 2. 비타민의 필요성 3. Type of Vitamins 비타민(vitamin)은 신체의 건강유지나 발육, 성장에 필수적인 것으로 미량으로 유효한 화합물이며 hormone과는 달리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으므로 음식물에서 충분히 섭취하여야 한다. 비타민이 음식물 중에 함유되어 있지 않거나 흡수가 충분하지 않으면 결핍증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에는 사망하기도 한다. 비타민은 크게 지용성 비타민(fat-soluble vitamin)과 수용성 비타민(water soluble vitamin)으로 분류된다. 섭취 후 체내에서 비타민으로 변화하는 물질을 프로비타민(provitamin)이라 한다. 또 일반적으로 인간이나 포유동물의 체내에서 합성할 수 있어서 반드시 외부에서 섭취할 필요가 없으나 일.. Biology/생화학 2019. 12. 26. 식물생태학개론 | 환경에 대한 식물의 반응 TIP 1. 온도에 따른 식물의 반응 2. 장소에 따른 식물의 반응 3. 여러 가지 겨울나기 4. 생존을 위한 식물의 반응 5. 여러 환경에 따른 식물들의 방어 생물이 살아가는 데 영향을 미치는 외부의 모든 조건을 통틀어 환경 이라고 하는데, 생물은 이러한 환경을 떠나서는 살아갈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생물은 환경의 영향을 받고, 이에 적절히 적응하면서 살아간다. 지금부터 이런 환경에 식물은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도록하자. 온도에 따른 식물의 반응 1. 저온하의 식물 식물 중에는 겨울에 심한 추위 때문에 죽는 것이 있다. 특히 관엽 식물과 양란 같은 열대가 기원인 식물은 겨울철에 잘 죽는다. 또 농작물의 겨울철에 잘 죽는다. 또 농작물의 경우에도 뽕나무나 과수의 눈이 늦서리를 맞아 죽는 일이 많다. 그.. Biology/그외 생물학 2019. 12. 25. 생명과학실험 | 식물의 겨울나기 - 겨울눈의 관찰 TIP 야외에서의 관찰, 채집을 통하여 식물이 겨울을 나는 모양을 조사하며 겨울의 추위에 견디어 나는 이치를 생각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우선 현미경위에 관찰하려고 하는 나뭇가지를 놓고 배율을 조절하여서 눈의 겉모습을 관찰한 뒤 준비해온 A4용지에 그 모습을 그린다. 2) 그런 뒤 면도칼로 눈 부분을 세로로 잘라 내부 구조를 조사한 뒤 A4용지에 그려 넣는다. 3) 그리고 각 부분의 명칭을 적어 넣는다. 다음엔 껍질을 하나씩 뜯어내고 껍질 개수를 알아본 후에 A4용지에 그려 넣는다. 4) 다른 종류의 눈을 가져왔다면 위에 실험한 것과 동일하게 실험을 한다. [생명과학실험] 식물의 겨울나기 - 겨울눈의 관찰 레포트 1. 실험 목적 1.1. 야외에서의 관찰, 채집을 통하여 식물이 겨울을 나는 ..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19. 12. 25. 미생물학실험 | 평판배양법을 이용한 구강미생물 배양 배지란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기체상으로 얻어지는 것을 제외한 생존, 발육에 불가결한 물을 비롯하여 영양물질로서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발육인자 등이 포함되어있다. 배지는 물리적 상태에 따라 고체배지와 액체배지로 구분한다. 고체배지는 액체배지에 한천, 젤라틴, 실리카겔 등 젤을 형성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고체배지는 목적에 따라 평판배지, 사면배지, 고층배지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평판배지를 이용하였으며 한천(agar)을 이용하여 고체의 형태로 만들었다. 한천(agar)은 홍조류에서 추출한 복합 다당류로 100℃에서 녹으므로 배양 시 고체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 일단 녹으면 45∼50℃까지 액체.. Biology/미생물학 2019. 12. 24. 분자생물학개론 | 이중 특이성 항체의 제조 방법 TIP 1. 생체내 접근법 2. 시험관내 접근법 3. 배합 접근법 생체내 접근법 적합한 동물을 항원으로 면혁화시켜 생체내 항체 레퍼토리를 항원에 노출시킨 후, 동물로부터 관심대상의 항체 또는 항체들을 회수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이중 특이성 항원을 사용한 이중 특이성 항체의 제조 및 관심대상의 두 개의 구조적으로 관련된 분자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의 선택에 적용시킬 수 있다. 적합한 환자(포유동물, 상기 포유동물의 유전자이식 된 형태, 녹아웃 형태를 포함)를 이중 특이성 항원의 면역원성 제제로 면역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면역원성 제제는 (예를 들면) 화학적 합성, 재조합적으로 발현된 이중 특이성 항원을 함유할 수 있다. 프로인트 완전 또는 불완전 보조제, 또는 유사한 면역자극성 화합물 .. Biology/분자생물학 2019. 12. 23. 생화학개론 | 생체 에너지론(Bioenergetics) TIP 1. 생체 열역학(Bioenergetics and Thermodynamics) 2. 고에너지 화합물(The High-Energy Biomolecules) 생물은 환경으로부터 섭취한 화합물의 화학에너지를 적절한 형태로 전환하여 이용함으로써 생명현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생체는 여러 가지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은 저마다 생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내게 된다. 모든 생물학적 반응에는 에너지 전환이 포함된다. 산화과정에서 방출된 에너지와 환원과정에 이용되는 에너지는 동일한 형태의 것으로서 저장, 이용된다.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화학반응을 대사(metabolism)라 하는데 살아 있는 세포 중에서는 물질의 합성대사(anabolism)와 분해대.. Biology/생화학 2019. 12. 23. 일반생물학실험 | 식물의 세포벽 관찰 TIP 전형적인 유세포, 후각세포 후벽세포의 세포벽의 특징과 분포를 알아본다. 식물의 세포벽 세포벽은 식물세포의 전형적인 요소이다. 식물의 세포벽은 섬유소로 형성된 세포벽의 골격구조 사이에 비섬유성 탄수화물 기질이 채워져 있는 상태로 존재한다. 세포벽은 세포가 생장함에 따라 뚜렷하게 층을 이루게 되는데, 원형질체는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세포벽을 형성하므로 오래된 층은 세포의 바깥쪽에, 새롭게 형성된 층은 원형질에 접한 안쪽에 있게 된다. 이 때 최초에 형성된 층을 1차세포벽이라 하며, 대부분의 세포들에서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층을 2차세포벽이라 한다. 한편, 식물세포는 세포벽 비후도의 차이에 따라 유세포, 후각세포, 후벽세포로 나눈다. 유세포는 비교적 얇은 1차벽으로 되어 있으며, 후각세포는 1차세포..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2. 22. 면역학실험 | Mouse immune system의 면역반응 test와 해부학적 구조 확인 1주차 실험 1. 실험 목적 1) 마우스 보정방법 숙지한다. 2) Mouse를 구분할 수 있는 numbering 방법 숙지한다. 3) Mouse 채혈 방법 숙지한다. 4) Centrifugation 원리 숙지로 plasma와 serum 차이 이해, 작동 시 주의 숙지한다. 2. 실험 요약 Mouse numbering → Blood collection → Centrifugation → serum 획득 → antigen 희석액 제조 → mouse에 주입 2주차 실험 1. 실험 목적 1) Serum 2차 채취 2) Ag 2차주입(2차면역반응) 3) Cell의 staining을 통해 leukocyte component에 대해 알아본다. 2. 실험 방법 슬라이드 글라스를 알코올에 소독한 뒤 blood를 monol.. Biology/면역학 2019. 12. 22. 생명과학실험 | 염화코발트에 의한 증산량(속도)측정 CoCl2 흡습지를 사용하는 방법은 증산량의 절대치를 측정할 수는 없으나, 같은 환경하 에서 자라고 있는 여러 가지 식물의 증산량을 비교하고자할 때 잘 쓰여진다. 여과지에 약 3%의 묽은 CoCl2 용액을 흡착시킨다음 건조시키면 밝은 청색을 나타내며 흡습지가 습한 공기에 노출되면 분홍색으로 변하는데 대기와 접촉시키지 않은 흡습지를 잎표면에 접촉시켰을 때 변하는 속도는 잎에서 일어나는 증산율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야외에 나가서 증산율을 측정하고 싶은 식물을 선택한다. 2) CoCl2 흡습지를 꺼내어 불로 주변에서 CoCl2가 흡수한 수분을 완전히 파란색으로 될 때 까지 제거시킨다. 3) 2)의 CoCl2 흡습지를 1)의 식물잎에 올려 놓아 그 중앙부위가 분홍색으로 변하는 ..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19. 12. 21. 병원미생물실험 | 토양 속 미생물 채취 및 배양 및 streaking을 이용한 부차 배양 TIP 토양을 채취한 후 그 속의 미생물의 배양 방법을 습득한다. 미생물은 눈에 보이지 않는 생명체를 말하며, 주로 세균과 곰팡이 그리고 바이러스가 대표적인 생명체이다. 특히. 세균은 다양한 자연환경에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독립적으로 생활하고 있다. 세균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배양하고자 하는 세균의 특성을 고려하여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여야 한다. 이러한 환경에는 온도와 pH가 중요하다. 온도는 배양기를 이용하여 조절하며, pH는 배지를 만들 때 조정한다. 준비된 배지에 세균을 접종하기 위해서는 다른 미생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무균조작을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균조작을 위하여 clean bench를 사용하는데, 이는 외부의 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차단 막을 만들고, 외부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 Biology/미생물학 2019. 12. 21. 분자생물학개론 | EGF - 상피세포 성장인자 TIP 1. EGF (Epidermal growth factor)의 정의 2. EGF의 효과 3. EGF 의 활성 4. EGF 와 유사한 물질 EGF (Epidermal growth factor) EGF는 'Epidermal Growth Factor'의 약자로 ‘상피세포 성장인자’라고 불린다. 인체의 자연적인 상처치유 과정에서 새살(육아조직)을 돋게 하고 혈관을 재생시키는 몸 안의 상처치유 물질이다. 주로 사람의 체액에 고루 분포되어 있고 5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국의 생물학자 스탠리· 코헨(Stanley Cohen) 박사에 의해 발견되었다. 코헨 박사는 동물이 상처를 혀로 핥아주기만 하면 아무는 것에 착안하여 생쥐 침샘 연구를 시작했다. 생쥐의 턱밑 샘 추출물을 갓 태어난 생쥐에게 주사하.. Biology/분자생물학 2019. 12. 19.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