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발효와 해당과정 TIP 모든 생명현상에는 에너지가 필요한데, 생물체는 에너지원을 획득하여 필요한 에너지를 합성해낸다. 이때 독립영양생물의 경우 스스로 광합성 등을 통해 에너지를 합성해내지만, 종속영양생물의 경우 외부에서 에너지원을 흡수할 수밖에 없다. 효모 또한 외부의 에너지원인 포도당 등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합성해내는데, 이때 발효의 방법을 사용한다. 이 때 효모의 발효를 관찰하고, 과정과 생성물을 파악하도록 한다. 또한 효모가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당과 그 최적온도를 알고 설명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양을 통해 효모가 어떤 환경에서 가장 잘 발효하는지 알아본다 해당과정(glycolysis) 해당과정은 개략적으로 보면, 하나의 포도당이 두 개의 피루브산으로 전환되면서 ATP와 NADH + H+ 를 생성한다. 이 과정..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2. 5. 미생물실험 | Nutrient agar plate 만들기 - Pure culture by the streak plate method TIP agar를 이용해 배지를 만들고, 도말 평판 배양법(streak plate method)으로 4종의 미생물을 도말하여 순수분리 배양한다. 배지의 종류(사용형태에 의한 분류) 1. 액체 배지 : 미생물의 생화학적 연구, 대량 배양 등에 이용 2. 고체 배지 : 액체배지에 한천 1.5∼2.0%를 첨가하여 굳힌 것. 순수 분리 배양 등에 이용 (페트리 접시에 평평하게 배양하는 평판배지, 시험관에 비스듬하게 굳힌 사면배지, 시험관의 2/3정도를 평평하게 채운 고층배지 등이 있음) 3. 반고체 배지 : 한천의 양을 0.6% 정도로 첨가하여 굳힌 것. 완전히 굳히는 것이 아니라 젤리 형태로 굳힌 것 균의 접종 방법 1. 분산 도말법(Spread Plate Method) 시료 중에 어떤 종류의 균이 존재하는지.. Biology/미생물학 2019. 12. 4. 유전공학실험 | Plant Genomic DNA isolation TIP 1. 식물에서의 DNA 추출하는 방법을 안다. 2. Agaros Gel Electrophoresis 방법과 그에 따른 식물 DNA 양상을 안다. 식물의 DNA 식물은 진핵생물이므로 그 DNA 또한 진핵생물의 일반적인 DNA와 거의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이 식물세포가 동물과 거의 유사한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광합성 등 식물에 특이적인 기능에 관련된 유전자 및 유전현상 또한 많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현상들을 근본적으로 분자의 측면에서 접근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또한 동물과 비교하여 식물은 외부유전자의 삽입을 통한 새로운 형질을 얻는 과정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재조합 DNA기술을 이용하고 식물유전자를 cloning하여 유전자 조작 및 .. Biology/유전학 2019. 12. 3. 분자생물학개론 | Studying gene expression and Function TIP 1. Studying the transcript of a cloned gene 2. Studying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3. Identifying and studying the translation product of cloned gene 모든 유전자들은 기능하기 위해 발현되어야만 한다. 발현의 첫번째 단계는 상보적인 RNA가닥으로 유전자가 전사되는 것이다. 일부 유전자 - 예를 들어 tRNA 그리고 rRNA분자들을 암호화하고 있는 유전자 - 에서는 전사체 자체가 기능적으로 중요한 분자이다. 다른 유전자들의 경우에, 전사체는 단백질 분자로 번역된다. 유전자가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RNA 전사체를 연구해야만 한다. 특히 분자생물학자는 그 전사.. Biology/분자생물학 2019. 12. 3. 생화학개론 | 핵산의 화학과 대사 TIP 1. 핵산의 구성성분 2 RNA와 DNA 3. Purine과 pyrimidine의 대사 핵산은 생물의 증식이나 생명의 유지에 필수적이며 각 세포 특유의 단백질을 합성하는데 필요한 유전정보를 보존, 전달, 번역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핵산은 nucleotide의 중합체(polymer)이며 nucleotide는 purine 염기(adenine, guanine), pyrimidine 염기(cytosine, thymine, uracil), 인산, ribose 또는 2-deoxyribose로 구성되어 있다. 오탄당으로서 2-deoxyribose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핵산을 DNA(deoxyribonucleic acid)라 하며 ribose를 가지는 핵산을 RNA(ribonucleic acid)라 한다. D.. Biology/생화학 2019. 12. 2. 생명과학실험 |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 TIP 뼈 조직의 해부학적 관찰을 통하여 osteoclast(조골세포)의 분화에 대하여 이해해 보자. Osteoblast(조골세포) & Osteoclast(파골세포) 뼈의 성장, 유지, 그리고 보수를 위해 중요한 두 가지 bone cell이 있다. 첫 번째는 osteoblast이다. Osteoblast는 단핵 세포로써 뼈를 형성하며 extracellular organic matrix과 Ca2+(PO4)2을 분비하여 결정화를 촉진시킨다. 즉, 척추동물의 경을 만드는 세포로서 세포 밖으로 골질을 분비하고 스스로는 골질에 싸여 골세포로 변한다. 섬유모세포에서 분화한 것으로 분열능력이 크다. 그러나 노화된 뼈에서는 그 수가 감소한다. 두 번째는 osteoclast이다. 파골세포로써 골성분을 파괴하며, 골의 재흡..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19. 12. 1. 미생물 실험 | 평판배양법에 의한 생균수 측정 TIP 평판배양법에 의하여 세균의 생균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고체배지(agar medium) : MR-VP 고체배지를 제조한 후 고압증기 멸균(120℃, 15분)하고 크린벤취에서 고체평판배지를 만든다. 2) 희석(dilution) : 세균 배양액을 멸균한 생리식염수 혹은 증류수로 희석한다. 3) 도말(smearing) : 마이크로피펫으로 희석한 배양액 1㎖를 완전히 굳은 고체 평판배지에 넣고 좌우로 기울이거나 돌려 골고루 분산되도록 한다. 4) 건조(drying) : 평판배지상의 배양액을 자연건조로 건조시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5) 밀봉(sealing) : Sealing film(para film)으로 밀봉하고 실험자, 날짜, 배지명, 희석배수 들을 표시한다.. Biology/미생물학 2019. 12. 1. 일반생물학실험 | 지질의 검정 - 용해도 검정 TIP 1. 3대 주영양소 중 하나인 지질의 기능과 구조 및 특성을 알아보고, 수단 용액을 이용하여 지질을 검정해보자. 2. 생체 주요 구성 성분인 지질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지질과 특이하게 반응하여 발색하는 Sudan Ⅲ를 이용하여 지질의 양을 정량하고 여러 가지 종류의 지질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알아본다. 본 실험의 목적은 생체 주요 구성성분인 지질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다. 실험원리는 지질이 물이나 염류 용액과 같은 극성용매에는 녹지 않고 클로로포름이나 에테르와 같은 비극성 용매에 잘 녹는다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실험방법은 먼저 지질의 염색실험을 위해 고운 땅콩가루에 증류수를 섞고 수단Ⅲ 용액을 첨가하여 발색반응을 확인한다. 그 후 지질의 용해도 실험을 위해 20개의 시험관에 용매인..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2. 1. 분자생물학개론 |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Biological Membrane - 생체막의 구조와 기능 TIP 1. 생체막(生體膜, Biological Membrane) 2. 생체막의 구조와 합성 3. 생체막의 특징(막 단백질) 4. 생체막의 구성성분 5. 생체막의 기능 6. 막의 정지전위와 활동전위 7. 생체 카오스의 구조 8. 생물분자막을 이용한 생물전자소자의 개발 동향 9. 생체막 측정을 위한 아질산 미소감지기(Nitrite microsensor) 개발 10. 인공 세포막 제작 11. 생체막의 연구방향 1. 생체막(生體膜, Biological Membrane) 세포나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소포체·골지체·핵·리소좀 등을 구성하는 막으로, 대부분 단백질과 지질로 이루어진다. 외계와의 경계로서 핵산, 단백질, 기타의 생체물질이 외부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독립된 환경을 형성하여 생명활동을 영위하도록 한.. Biology/분자생물학 2019. 11. 29. 생화학개론 | 단백질 정제 TIP 1. 서 론 2. 단백질 정제의 목적 3. 단백질 용해 과정 4. 단백질의 안정화 5. 단백질의 분리 정제 및 농축 6. 정제된 단백질의 순도 검정 7. 정제된 단백질의 변형 및 오염물질에 대한 처리 단백질은 특이성 있는 효소의 촉매작용과 산소나 금속이온 등의 운반 그리고 세포 대사의 조절, 병인체로 부터의 방어, 구조단백질로 생체의 특정 형태 유지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한다. 단백질들은 20여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있지만 다양한 기능만큼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단백질은 구조와 기능이 다양함으로 몇 개의 부류로 분류하기는 어렵지만, 단백질의 3차구조에 따라 구형을 이루는 구상단백질과 섬유형을 하고 있는 섬유상 단백질로 나뉠 수 있다. 구상 단백질들은 헤모글로빈이나 사이토크롬 c와 같이.. Biology/생화학 2019. 11. 29. 면역학실험 |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TIP 1. 실험을 통해 ELISA가 어떻게 수행되어지고 진단 테스트에 적용되는지 배운다. 2. antigen-antibody, receptor-ligand, enzyme-substract 간의 특정한 protein-protein interaction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ELISA 효소면역측정법이라 불리는 ELISA는 sample에서 antibody나 antigen의 존재를 찾는데 사용되는 생화학적 방법이다. antigen-antibody 반응을 enzyme 표지를 이용하여 enzyme에 대한 substrate를 첨가하여 antigen-antibody 결합체에 붙은 enzyme의 양을 enzyme이 substrate에 대해 작용하여 발색반응이 일어난 정도를 분광 광도계로 측정함으로써 정량하는 방법이.. Biology/면역학 2019. 11. 29. 일반생물학실험 | 생물분자의 검정 TIP 영양소 검출법으로 각 영양소를 검출해보고, 음식물 내 포함된 영양소의 종류를 확인해 본다. 생명활동에 필수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한 공급원들로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3가지가 주된 공급원으로 어떤 음식물에 어떤 영양소가 들었는가를 알아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각 영양소 들은 특정 시약에만 반응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약들을 사용하면 쉽게 음식물의 구성성분을 알아낼 수 있다. 본 실험 과정을 확인 해보면, 꿀물은 베네딕트용액 전분은 요오드 요오드화칼륨용액 계란흰자는 뷰렛용액에 반응하였다. 이를 통해 각각 포도당 녹말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베네딕트 반응은 포도당 이외에 엿당 젖당 과당등과도 유사한 반응을 보이는데 이는 모두 환원력이 있는 당으로 베네딕트 용액속에 포함된 CuSO..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1. 28. 미생물실험 | 미생물 희석법과 생균수 측정 - Spread/Pour plate 세균의 계수 식품이나 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수를 알아보는 방법이며, 배양된 배지에 나타나는 미생물의 colony의 수를 계수하는 것이다. colony의 수를 계수하는 이유는 식품위생과 관련이 깊다. 미생물은 다양한 장소 곳곳에서 존재한다. 우리가 먹는 음식물도 예외가 아니다. 생균수의 측정은 식품의 현재 오염정도나 부패의 진행도 등을 알기위해 측정한다. 우선 식품의 위생검사 목적중 위생성, 보존성의 여부가 생균수 측정만으로 가능하며 각 식품에 정해져 있는 미생물 기준치가 있는데, 그 기준치와 실제 측정하는 식품의 미생물 수를 비교해 보면서 식품이 오염됐는지 알아볼 수 있고, 면역이 약한 환자의 음식 등과 같은 상황에 따라 임의로 미생물의 수를 낮추거나 올리며 조절할 수도 있다. 균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 Biology/미생물학 2019. 11. 26. 생명과학실험 | 뼈 조직의 해부학적 관찰 TIP 1. 뼈 조직을 해부학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 histology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쥐에서 얻은 다리 조직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도록 제작하도록 한다. 2. 또한 이를 통해 histology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인간의 신체 구조 중에 약 15%에 달하는 부분을 뼈가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뼈는 신체의 많은 부분을 차지 하고 있는데, 뼈의 기능으로 인하여 인간은 살아가는 데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 뼈의 기능은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신체 지지 기능이다. 예를 들어 목 바로 뒷부분에서 시작되어 엉덩이 부근까지 연결된 척추 뼈는 인간이 직립할 수 있도록 우리 몸 전체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뼈가 인간의 몸을 지지해 줌으로써 두 번째 기능인 운동 기능을 수..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19. 11. 25. 유전학개론 | 멘델과 유전 TIP 1. 멘델 2. 멘델의 법칙 3. 유전형질 중에서 멘델 법칙을 따르지 않는 상황 4. 멘델 유전학에 따르지 않는 현상 1. 멘델 오스트리아의 유전학자, 성직자.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서 고학으로 성직자가 되었다. 1815년에 교회의 후원으로 빈 대학에서 물리학․화학․생물학․수학 등을 공부하였다. 그 뒤 브륀 국립 종합 학교에서 자연 과학을 가르치는 한편, 7년간에 걸쳐 교회 뜰에 완두를 가꾸어 유전에 관한 실험을 한 끝에 1863년에 멘델의 유전 법칙을 발견하였다. 2년 뒤 브륀의 자연 과학 협회의 정기 회의에서 그것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유전․진화 연구에서 참으로 획기적인 이 대발견은 알아 주는 사람이 없어 20세기까지 빛을 보지 못하였다. 1868년에 주교가 되었으나, 교회 과세법에 반대.. Biology/유전학 2019. 11. 25. 분자생물학개론 | Studying Gene Location and Structure TIP 1. How to study the location of a cloned gene 2. DNA sequencing - working out the structure of a gene 3. Using cloned genes to study genome structure Cloning 실험은 원하는 유전자를 지닌 재조합 DNA분자의 복사본들을 가지고 있는 colony나 plaque를 제공한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연구계획에서 다음 단계는 그 재조합 DNA분자를 정제하여, 조작된 유전자에 대해 가능한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이다. 예를 들면 Plasmid와 같은 작은 DNA molecule 또는 chromosome과 같이 큰 DNA molecule에서의 유전자 위치를 알아내는 여러 방법이 있다. 이를 위.. Biology/분자생물학 2019. 11. 25. 생화학개론 | 원심분리기 TIP 1. 개 요(분획원심법) 2. 기본 원리 3. 침강 속도(Sedimentation Velocity) 4. 원심분리기의 구조 5. 원심분리법 (centrifugation) 6. 원심분리 이론 7. 원심분리 방법 8. 밀도기울기 원심분리 고려사항 9. 원심분리기의 성능에 따른 분류 10. 원심분리기의 종류 11. 기타 원심분리 관련사항 12. 원심분리기 사용시 주의사항 13. 산업적 응용 14. 원심분리기의 올바른 관리 방법 분획원심법 세포는 몇 천 가지나 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어떤 단백질의 성질, 아미노산 조성, 그리고 아미노산 배열이 결정되기 이전에 그 단백질은 순도가 높은 시료를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은, 단백질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전하, 크기,.. Biology/생화학 2019. 11. 24. 미생물학실험 | 배지만들기 및 공중낙하 미생물 측정 TIP 대기와 개천 등에 여러 가지 미생물이 먼지, 부패물들과 함께 부유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물이나 환경에 오염을 일으키고 그 미생물이 병원체일 경우 질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대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진균의 종류 및 그 수치를 측정함으로서 미생물에 의한 대기의 오염을 알 수 있으며, 대기 중에는 존재하는 미생물이 어떠한 미생물의 분포를 이루느지 알 수 있는 것이다. 미생물의 종류와 특징 공중에서 관찰 할 수 있는 미생물의 종류에는 세균과 진균류가 있다. 세균은 일반적으로 공기중에 부유하거나 낙하되는 것으로 부유세균과 낙하세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측정방법상에도 차이를 둘 수 있다.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세균은 먼지나 농도에 정비례한다는 사실을 미루어보아 공기 청정도와 밀접.. Biology/미생물학 2019. 11. 23.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