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생물실험 | 토양균 Streaking TIP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추출하여 배양하여 그 과정을 숙지하고 미생물의 존재를 거시적으로 확인한다. 멸균 미생물 관련 실험을 하는데 앞서 멸균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주위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것들이 배지에 오염되어 자라게 된다면 실험하고자 하는 미생물에 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멸균이란 어떤 물체에 있는 모든 생명체가 제거되었거나 죽은 상태를 뜻한다. 멸균이라는 말은 살균이랑 다소 차이가 있다. 살균이란 미생물의 번식능력만을 소실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멸균의 종류에는 크게 4가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열, 투과, 전자기파, 화학약품이다. streaking & spreading 1. Streaking : 세균의 순수배양을 하기 위한 분리방법의 하나로 고체배지상에서 세균이.. Biology/미생물학 2020. 3. 31. 미생물실험 | 항생제 디스크 확산법 항균제 감수성 시험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원법은 Kirby-bauer법이나 현재는 소위 변법 Kirby-bauer(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이다. 이 방법은 증식이 빠른 포도구균, 장내 그람음성 간균 및 Pseudomonas spp. 등에 대해서만 시험할수 있고, 감수성을 정량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최소발육저지 농도(MIC)는 표시할 수 없고, 감수성, 내성 및 중간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예전에서는 중 등고 감수성이 임균에만 사용하였는데 1944년 이후로 없어졌다. 항균제를 직경 6mm디스크에 스며 들게 하여 건조시킨 것을 감수성 디스크로 사용된다. 삼수성 시험용 배지인 Mueller-Hinton한.. Biology/미생물학 2020. 3. 26. 미생물학실험 | Simple staining, Gram staining Simple staining(단일염색) 세균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고정한 후, 한가지 염색액으로 염색해서 세균의 형태, 배열, 크기 등을 신속히 관찰하는 방법을 단순염색이라고 하며, methylene blue, carbol fuchsin, crystal violet, safranin 등의 염기성 염료(basic dye)를 주로 사용한다. 염기성 염료는 양전하를 띠기 때문에, 음전하를 띠는 핵산을 많이 가지고 있는 ribosome이 많은 원형질 부분이나 세포벽이 많은 부분을 염색한다. 다음에 실험할 그람 양성균이나 그람 음성균 모두 세포막이 있으므로, 이론적인 시료의 색이 나오는것이 정상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열고정을 해야 한다는 것인데, 열고정 방법은 건조될 도말 부위가 위로 향하도록 하여 알코올램프 불.. Biology/미생물학 2020. 3. 22. 미생물학실험 | 미생물학 실험 연습 Streak plate method Practice 1. 실험 방법 1) 루프를 수직으로 세워서 화염멸균하고, 멸균한 루프를 식혀준다. 2) 배양된 세균을 조금 찍어 배지에 모양대로 선을 그으면서 1~4회 도말한다. 3) 배지 뚜껑을 조금 열고 루프를 이용하여 세균을 퍼지게 만든다. 4) 1차 도말을 끝낸 후에, 다음 도말시 루프를 멸균한다. 5) 마지막으로, 37도 인큐베이터에 넣어주고 다음날 확인한다. Spread plate Practice 1. 실험 방법 1) pipet에 팁을 꼽아서 튜브 안에 대장균 10㎕를 뽑아낸다. 2) 대장 균을 뚜껑을 완전히 열지 않고 배지 중심에 떨어뜨려 준다. 3) 알코올에 멸균된 삼각 밀대를 불로 다시 멸균시켜준다. 4) 멸균된 삼각밀대를 이용하여, 균이 퍼지도록 밀.. Biology/미생물학 2020. 3. 17. 미생물실험 | Cell counts using Hemocytometer TIP Cell을 배양하는 machine (37도, 5% CO2)에서 꺼낸 sample과 alcohol이 섞인 sample을 비교하여 공기 중에 노출된 sample에서 cell의 생존율을 확인한다. Hemocytometer를 이용한 Cell counting 동물 세포의 수를 세는 방법으로 접종이나 동결보존 등 일정한 수의 동물 세포를 필요로 할 때 이용합니다.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의 counting을 통해 세포의 생존율을 계산함으로써 실험연구에 사용되는 세포가 잘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세포 생존에 유리하도록 환경을 변화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세포의 생존율이 낮음을 알지 못한 채 실험을 했을 경우 산출된 결과가 본래 세포에 의해 나온 결과인지 아니면 죽은 세포에 의해 나타.. Biology/미생물학 2020. 3. 14. 발효미생물학실험 | 종균 배양 및 콩 koji 제조 TIP 대두를 원료로 하는 콩 koji는 주로 전통 장류를 제조하는데 쓰인다. 장류를 제조하는 데 있어 미생물의 영향은 매우 크다. 그렇기 때문에 종균을 직접 배양하여 대두에 접종시키고 koji를 직접 만들어보아 과정을 관찰하고 장류 제조에 이용하고자 이 실험을 행하였다. 1. 종균 배양 (seed culture) : koji를 만들기 위하여 국균 포자를 증식 시킨 것. 발효를 개시하는 데 필요한 접종균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배양. 2. 종국 (seed koji) : 국균을 쌀보리에 배양하여 충분히 포자를 착생시켜 수분 10~20%가 되게 건조한 후 제국시에 국의 종균으로 쓰는 것. 3. 국 (koji) : 증자한 전분질 원료에 순수배양 한 균을 접종하여 번식시킨 것 4. Aspergillus 속 .. Biology/미생물학 2020. 3. 9. 미생물실험 | DH5α와 Pseudomonas syringae에 대한 액체배지 희석법을 이용한 Gentamycin의 MIC측정 TIP 1.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의 의미와 측정 목적의 이해 2. MIC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와 숙지 3. 농도 희석의 방법을 알고 측정에 적용. 4. culture tube의 사용법을 이해하고 실험에 적용 화학요법 (chemotherapy) 감염 미생물에만 선택적으로 독성을 나타내는 화학물질을 투여하여 미생 물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임으로써 숙주의 방어 작전을 도움. 화학요법제(chemotherapeutic agent) = 항미생물제(antimicrobial agent) = 항감염제(anti-infective agent) 광범위의 화학요법제= 항생물질과 같은 천연물질 + 유기합성품 좁은 범위의 화학요법제 화학합성 의약품만 일컫고 천.. Biology/미생물학 2020. 3. 5. 미생물실험 | 액체배지 - 박테리아 배양 TIP 박테리아를 배양한 후 성장한 정도를 알아보는 실험 Pour Plate Method Plate에 시료의 희석액과 배지를 부어 배양한 후 형성된 균의 수를 세는 미생물수 측정법으로 배양 후 흡광도를 측정해 균의 수를 확인한다. 흡광도 측정법 빛이 시료액을 통과할때 흡수되는 양을 측정함으로써 미지물질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실시법은 시료 및 표준액을 적당한 조건에서 반응시켜 제각기 흡광도를 측정해 시료농도를 구하던가 반응시료액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해서 농도를 구한다. 실험 방법 1. Pour Plate Method 1) Bacterial Culture를 1㎖ Plate에 떨어트린다 2) 121℃로 15분 Auto clave한 Medium을 45℃로 식힌 것을 Plate에 붓고 퍼트린다. 3) 하루동안 배.. Biology/미생물학 2020. 3. 2. 미생물 실험 | 현미경의 관찰 및 염색 - 여러 가지 미생물 염색법 TIP 다양한 균들과 곰팡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염색 및 관찰하여 보고 각각의 특징을 알 수 있다 Staining의 종류 1. 염색의 이유 미생물은 무색투명하고 곰팡이나 효모에 비해서 크기가 작고 명암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쉽지 않으므로 염색을 해서 관찰하면 쉽게 검체 내의 세균의 유무와 균 양을 간단히 알 수가 있고 세균의 염색상과 형태를 보아서 균종이 추정되어 세균의 동정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세균 감염증 진단에 도움이 된다. 또한 조기에 항생물질의 선택방침을 결정할 수 있다. 현미경으로 세균을 관찰할 때는 살아있는 상태로 검경하는 신선표본과 고정한 상태에서 색소로 염색하여 검경하는 고정염색표본이 있다. 신선표본은 세균의 운동상태나 형태, 크기 등이 관찰되고, 고정염색표.. Biology/미생물학 2020. 2. 23. 미생물학실험 | 항생제감수성 - 디스크확산법 실험 방법 1.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1) 백금이로 배양된 배지의 콜로니를 채취한다. 2) 0.5McFarland 시약의 탁도와 같게 볼텍스로 콜로니를 풀어준다. 3) Mueller-Hinton agar 배지 표면에 면봉으로 균액을 고르게 접종한다. 4) 접종한 plate 위에 항균제 디스크를 놓는다. 5) 균액에 접종된 배지를 35℃에 하루 동안 배양한다. [Biology/미생물학] - 미생물실험 | 항생제 감수성 -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일반생물학실험]항생제 감수성 검사 화학 교육 블로그 educhemup.blogspot.com [미생물학실험]항생제감수성 - 디스크확산법 레포트 1. 실험 기구 및 시약 1.1. 실험 재료.. Biology/미생물학 2020. 2. 16. 미생물학실험 | 미생물 배양 및 관찰 배지(medium) 미생물을 배양하고 옮기거나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고체 또는 액체 물질 1.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① 일반배지 : 대량증식용 배지 ② 선택배지(selective medium) : 특정 균종의 성장을 도모하고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서 원하는 균종만 선택적으로 배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배지 ③ 분별배지(differential medium) : 배지에 특수한 생화학적 지시약을 넣어줌으로서 한 종의 미생물을 다른 종과 구별할 수 있게 하는 배지 2. 배지형태(상태)에 의한 분류 ① 고체(고형)배지(solid medium) : 액체배지에 한천(agar) 등의 고형화 물질이 일정량 포함된 것, 미생물의 분리 및 보존을 위해 사용됨(일반적으로 한천(agar)을 1.5~2.0% 정도 넣어서 .. Biology/미생물학 2020. 2. 11. 미생물학실험 | 수생 미생물의 관찰 TIP 1. 수생미생물을 관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2. 연못이나 고인 물에 사는 수생미생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해보고 미생물의 이름을 알아내보고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수생미생물(또는 수서미생물)은 수중에서 생활하는 미생물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천연 육수에는 거의 생물이 살지 않는 물도 있지만 대개는 각종 조류, 광합성 세균, 화학합성 무기영양세균이나 유기영양의 Pseudomonas, Chromo-bacterium, Flavobacterium, Micrococcus 등의 세균이나 원생동물 등이 많이 발견된다. 조류는 엽록소가 있어 산소를 생산하는 광합성을 할 수 있으나, 원시적인 생식구조를 갖는 생물이다. 주로 담수 및 해수에 부유하거나 바닥에 부착해서 서식한다. 원생동물(원충류)은 단세포이.. Biology/미생물학 2020. 2. 8. 미생물이야기 | 바이러스(virus)에 대하여 TIP 1. 바이러스(Virus) 2. 바이러스의 구조 3. 바이러스가 생물체에 침입하는 방법 4. 사람의 바이러스 질환 5. 동물의 바이러스 질환 6. 식물의 바이러스 질환 7. 세균을 감염하는 바이러스 8. 바이러스의 활용 바이러스(Virus) 살아 있는 생물의 세포 속에서만 살 수 있는 미생물. 크기가 매우 작고 구조가 단순하지만, 질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일부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감염하여 홍역, 인플루엔자, 감기와 같은 질병을 일으킨다. 동물이나 식물에 감염하는 바이러스도 있으며, 세균에 감염 하기도 한다. 바이러스는 생물의 세포에 손상을 가져와 병을 일으키지 만 때로는 아무런 해룰 주지 않기도 한다. 바이러스는 매우 원시적인 형태로 그 자체로 보면 번식할 수 없는 무 생물 입자이지만.. Biology/미생물학 2020. 2. 3. 미생물학실험 | 세균 개체수 측정 TIP 1. 세균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2. Hemocytometer를 이용해 현미경을 통해 육안으로 세균수를 측정해보자. 3. 분광광도계를 이용해 세균수를 측정해보자 Hemocytometer를 이용한 세포 계수법 페트로프-하우저 계수기, hemocytometer를 이용하는 방법은 세균용 계산판에 균액을 한 방울 떨어뜨리고 일정구획 내의 세균을 직접 현미경으로 보면서 계산하는 방법이다. 생균, 사균을 포함한 진균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균수가 너무 적으면 부정확한 단점이 있다. Hemocytometer에 cover glass를 덮고 시료 10㎕ 취하여 hemocytometer의 측면의 홈에 loading 한다. (모세관 현상에 의해 고루 퍼짐. 1회용 C-Chip의 경우 cover glass는 필요.. Biology/미생물학 2020. 1. 31. 미생물실험 | Recovery and digestion of the amplified DNA TIP PCR로 증폭된 DNA를 회수하여 절단한다. 그로 인해 형질전환 때, vector을 넣을 DNA를 얻고, 절단하여 vector를 넣고자 함이다. 이 때, vector DNA와 insert DNA 모두 같은 효소로 같은 위치를 절단하고자 한다. Restriction enzyme(제한효소) DNA 특정부위를 자르고 붙일 수 있다. DNA를 자른다는 것은 nucleotide들이 연결되어 있는 인산디에스테르결합(phosphodiester bond)을 끊어내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런 역할을 하는 효소를 nuclease라고 하며 바깥쪽을 자르면 exonuclease, 안쪽을 자르면 endonuclease라고 부른다. endonuclease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제한효소(restriction enzyme / .. Biology/미생물학 2020. 1. 27. 미생물공학실험 | Identification of bacteria by 16S ribosomal RNA gene(rDNA) sequence determination - Bacillus coagulans 탐색 TIP Bacillus coagulans의 분리 Bacillus coagulans가 메주의 생성시에 나오는점과 쌀겨발효시 분리된다는 논문을 통해 관찰된다는 점을 통해서 직접 시료로부터 집적배양을 하고 산생성시 균주 선발 및 순수분리 과정을 통해 균주를 선발한후 16s rRNA 유전자 증폭 시키고 염기서열 분석을 하는 것으로 전략을 세웠다. 실험 방법 1. 집적배양 과정 총 4가지 시료 중 {순창 메주,생기몰 메주,재래식 메주(초기,후기),쌀겨} 재래식 메주를 선택하여서 초기,후기 재래식 메주를 각각 10g을 채취후 MRS broth와 항진균제인(Cyclohexmide,NaN3)을 넣어서 농도를 10ppm으로 맞춰주고 autoclave에 50℃로 배양한다. 2. spreading 과정 autoclave에 .. Biology/미생물학 2020. 1. 20. 미생물공학실험 | 김치 요거트 막걸리 등의 생균제품으로부터 시료 채취 미생물(microorganism, microbe)이란 개체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육안으로는 관찰이 어려워 현미경(microscope)을 사용해야만 관찰할 수 있는 단세포나 세포들의 간단한 덩어리 형태로 된 생물체들을 말하며, 이들의 생명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을 미생물학(microbiology)이라 한다. 사람의 눈은 0.1 ㎜ 이하의 물체를 식별하지 못하는데,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이보다도 작은 크기여서 이들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주로 ㎛( ㎜, m) 단위를 사용한다. 미생물들은 다양하고도 광범위한 생물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세균(bacteria), 곰팡이(mold), 효모(yeast), 원생동물(protozoa), 조류(algae) 및 바이러스(virus)가 포함된다. 미생물들은 그 크기.. Biology/미생물학 2020. 1. 15. 미생물학실험 | MRS Agar 배지의 제조 앞으로 미생물들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배지에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이 실험의 기초가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베이스 위에 여러 미생물의 특성에 맞는 실험 방법 응응하여야 할 것이다. 미생물의 배양에 필요한 배지는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그 특성에 가장 적합한 것들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단순히 미생물만 배양하는 것뿐 아니라, 집락의 형태와 특성, 생화학적 특성, 당 분해 성질, 유전적 특성, 배지의 선택, 구성 성분, 제조방법에 따라 미생물의 성패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 실험을 통하여 기본적인 미생물 배양을 익히고 그 방법을 숙지 하고자한다. 본 실험은 MRS를 사용 만든 액상배지의 L. acidophilus을 고체배지를 직접 배양해 보고 배양 후 일정시간 후에 colony.. Biology/미생물학 2020. 1. 11.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